'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13년 만에 완간… "히스토리 아닌 스토리 쓰고 싶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나는 미술사가이고, 끝까지 미술사가이기를 바랍니다. 학자이기보다는 사람들에게 미술사 이야기를 들려주는 사람이기를 바라니까요."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는 17일 서울 광화문에서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완간 기념 기자 간담회를 갖고 "이 책을 통해 한국미술의 히스토리가 아니라 스토리를 쓰고 싶었다"고 말했다.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는 '한국미술 전도사'를 자임하는 유 교수가 10년여에 걸쳐 한국미술사 전반을 정리한 통사다. 그가 "훗날 누군가 '유홍준이 누구냐' 물으면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를 쓴 사람이다'고 답하게 될 것"이라 할 정도로 공을 들인 역작이다. 그간 학계가 축적한 관련 연구를 집대성한 결과물이기도 하다.
2010년 1권이 출간된 이후 이번 5·6권 동시 출간으로 완간되기까지 13년이 걸렸다. 모두 합쳐 2500쪽에 달하는 분량이다. 5권은 한국적 미(美)의 정수로 칭송돼온 도자기, 6권은 조선시대 공예를 다뤘다.
"1권에서 '밑줄 치며 각잡고 읽는 글이 아니라, 소파에 기대 편하게 읽는 한국미술사 통사를 쓰고 싶다'고 해놓고, 이렇게 두껍게 쓰게 될 줄은 나도 몰랐습니다.(웃음)"
유 교수는 문화유산 답사 시절부터 가져온 습관대로 부채 뒷면에 간담회에서 할 말을 빼곡하게 메모해왔다. 가장 첫 줄에 적어둔 건 그의 도전, 새로 선보인 공예 분류 기준이다.
이번에 출간된 6권의 부제는 '조선: 공예, 생활·장식 미술'. 기존에 조선시대 공예를 지공예, 목공예처럼 소재나 기술을 기준으로 나눴던 것과 달리 유 교수는 과감하게 왕실공예, 규방공예, 선비공예, 민속공예 등 수요자를 기준으로 분류해 정리했다.
유 교수는 "공예는 기술와 예술의 결합"이라며 "미감을 중심으로 했을 때는 사용의 측면에서 접근하는 게 맞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1~3권은 매해 1권씩 책을 냈지만, 건축·불교미술·능묘조각·민속미술을 다룬 4권을 내는 데에는 3권 이후 9년이나 걸렸다. '조선시대 공예사'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 이때부터 고민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분류해도 되는지 고민이 들어서 한국고미술협회 등 공예 전공자들에게도 원고를 보냈어요. 그랬더니 재밌는 게, 고미술협회에서 '우리도 그렇게 해보고 싶었는데, 학계 분류를 따르느라 못 하고 규방문화전 등 전시회만 그렇게 나눠서 해봤다'고 하더군요."
영남대 교수 및 박물관장, 문화재청장 등을 역임하고 베스트셀러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를 쓴 그에게도 '통사'는 평생의 숙제, 쉽지 않은 과제였다. "회화사 전공자인 제가 한국미술사 통사를 쓴다는 건 피부과 의사가 의학개론을 쓰고, 형법학자가 법학개론을 쓰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털어놨다.
유 교수의 부채에는 "이 다음에 나를 밟고 넘어서는, 또 다른 한국미술사 통사가 나왔으면"이라고도 적혀 있었다. 그가 기대하는 건 장르 구분이 아닌 시대 구분에 따라 정리된 한국미술사다.
그는 "서양에서는 미술사 전공을 그리스미술 전공, 바르크미술 전공 하는 식으로 시대로 나눈다"며 "르네상스 전공자의 경우 그 시대의 경제, 회화, 조각 등을 넘나드니까 콘텐츠가 풍부해진다"고 했다.
이어 "사람들이 '왜 서양 미술사는 재밌는데 한국 미술사는 재미 없냐'고 하는데, 한국 미술사도 조각사, 회회사가 아니라 18세기로 나누면 기술 중심이 아니라 문학, 실학 사상 등이 녹아들어 흥미진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중과 학계의 거리를 좁히기 위해 노력해온 그는 이번 책에서도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판(책에 싣는 사진)에 큰 공을 들였다. 유 교수는 "내 책이 갖고 있는 최고의 매력은 도판과 그에 대한 설명이 같은 페이지에 있는 것"이라며 "글은 흘러가는데 도판이 그 페이지에 등장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면 글을 보완하거나 도판을 빼서 다시 작업을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다 보니 유물 사진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냈다. 유 교수는 "문화유산 사진을 책에 하나 싣는 데 게재료를 보통 20만원, 30만원씩 내야 한다"며 "그걸 안 받는 게 국립중앙박물관이라 요즘 젊은 학자들 책을 보면 죄다 국립중앙박물관 사진만 실려 있는데, 학술적으로도 문제"라고 했다. 그는 "반면에 내 글을 연세대 논술 시험에 말없이 가져다 쓴 적이 있는데, 사전 유출을 우려해 시험이 다 끝나고서야 내게 전화로 양해를 구했다"며 "나는 도리어 영광이라고만 했다"고 말했다.
한자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유 교수는 "요즘 어려서부터 한문을 안 가르치는 건 문화적 재앙"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 젊은이들 중에서 한문 잘하는 사람이 어마어마하게 빛을 보게 될 것"이라며 "서양학문에서 라틴어와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13년에 걸쳐 책을 마쳤지만 여전히 쓰고 싶은 글은 많다. 그는 "이왕 이렇게 쓴 김에 근현대 미술사도 쓰라고 주변에서 말하는데, 아직은 잘 모르겠다"며 "진짜 하고 싶은 건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총 6권을 줄여서 '젊은이를 위한 한국미술사' 단 한 권을 만들고 싶다"고 했다. 그는 "내년쯤 작업을 시작하면 내후년에는 출간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는 17일 서울 광화문에서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완간 기념 기자 간담회를 갖고 "이 책을 통해 한국미술의 히스토리가 아니라 스토리를 쓰고 싶었다"고 말했다.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는 '한국미술 전도사'를 자임하는 유 교수가 10년여에 걸쳐 한국미술사 전반을 정리한 통사다. 그가 "훗날 누군가 '유홍준이 누구냐' 물으면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를 쓴 사람이다'고 답하게 될 것"이라 할 정도로 공을 들인 역작이다. 그간 학계가 축적한 관련 연구를 집대성한 결과물이기도 하다.
2010년 1권이 출간된 이후 이번 5·6권 동시 출간으로 완간되기까지 13년이 걸렸다. 모두 합쳐 2500쪽에 달하는 분량이다. 5권은 한국적 미(美)의 정수로 칭송돼온 도자기, 6권은 조선시대 공예를 다뤘다.
"1권에서 '밑줄 치며 각잡고 읽는 글이 아니라, 소파에 기대 편하게 읽는 한국미술사 통사를 쓰고 싶다'고 해놓고, 이렇게 두껍게 쓰게 될 줄은 나도 몰랐습니다.(웃음)"
유 교수는 문화유산 답사 시절부터 가져온 습관대로 부채 뒷면에 간담회에서 할 말을 빼곡하게 메모해왔다. 가장 첫 줄에 적어둔 건 그의 도전, 새로 선보인 공예 분류 기준이다.
이번에 출간된 6권의 부제는 '조선: 공예, 생활·장식 미술'. 기존에 조선시대 공예를 지공예, 목공예처럼 소재나 기술을 기준으로 나눴던 것과 달리 유 교수는 과감하게 왕실공예, 규방공예, 선비공예, 민속공예 등 수요자를 기준으로 분류해 정리했다.
유 교수는 "공예는 기술와 예술의 결합"이라며 "미감을 중심으로 했을 때는 사용의 측면에서 접근하는 게 맞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1~3권은 매해 1권씩 책을 냈지만, 건축·불교미술·능묘조각·민속미술을 다룬 4권을 내는 데에는 3권 이후 9년이나 걸렸다. '조선시대 공예사'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 이때부터 고민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분류해도 되는지 고민이 들어서 한국고미술협회 등 공예 전공자들에게도 원고를 보냈어요. 그랬더니 재밌는 게, 고미술협회에서 '우리도 그렇게 해보고 싶었는데, 학계 분류를 따르느라 못 하고 규방문화전 등 전시회만 그렇게 나눠서 해봤다'고 하더군요."
영남대 교수 및 박물관장, 문화재청장 등을 역임하고 베스트셀러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를 쓴 그에게도 '통사'는 평생의 숙제, 쉽지 않은 과제였다. "회화사 전공자인 제가 한국미술사 통사를 쓴다는 건 피부과 의사가 의학개론을 쓰고, 형법학자가 법학개론을 쓰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털어놨다.
유 교수의 부채에는 "이 다음에 나를 밟고 넘어서는, 또 다른 한국미술사 통사가 나왔으면"이라고도 적혀 있었다. 그가 기대하는 건 장르 구분이 아닌 시대 구분에 따라 정리된 한국미술사다.
그는 "서양에서는 미술사 전공을 그리스미술 전공, 바르크미술 전공 하는 식으로 시대로 나눈다"며 "르네상스 전공자의 경우 그 시대의 경제, 회화, 조각 등을 넘나드니까 콘텐츠가 풍부해진다"고 했다.
이어 "사람들이 '왜 서양 미술사는 재밌는데 한국 미술사는 재미 없냐'고 하는데, 한국 미술사도 조각사, 회회사가 아니라 18세기로 나누면 기술 중심이 아니라 문학, 실학 사상 등이 녹아들어 흥미진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중과 학계의 거리를 좁히기 위해 노력해온 그는 이번 책에서도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판(책에 싣는 사진)에 큰 공을 들였다. 유 교수는 "내 책이 갖고 있는 최고의 매력은 도판과 그에 대한 설명이 같은 페이지에 있는 것"이라며 "글은 흘러가는데 도판이 그 페이지에 등장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면 글을 보완하거나 도판을 빼서 다시 작업을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다 보니 유물 사진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냈다. 유 교수는 "문화유산 사진을 책에 하나 싣는 데 게재료를 보통 20만원, 30만원씩 내야 한다"며 "그걸 안 받는 게 국립중앙박물관이라 요즘 젊은 학자들 책을 보면 죄다 국립중앙박물관 사진만 실려 있는데, 학술적으로도 문제"라고 했다. 그는 "반면에 내 글을 연세대 논술 시험에 말없이 가져다 쓴 적이 있는데, 사전 유출을 우려해 시험이 다 끝나고서야 내게 전화로 양해를 구했다"며 "나는 도리어 영광이라고만 했다"고 말했다.
한자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유 교수는 "요즘 어려서부터 한문을 안 가르치는 건 문화적 재앙"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 젊은이들 중에서 한문 잘하는 사람이 어마어마하게 빛을 보게 될 것"이라며 "서양학문에서 라틴어와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13년에 걸쳐 책을 마쳤지만 여전히 쓰고 싶은 글은 많다. 그는 "이왕 이렇게 쓴 김에 근현대 미술사도 쓰라고 주변에서 말하는데, 아직은 잘 모르겠다"며 "진짜 하고 싶은 건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총 6권을 줄여서 '젊은이를 위한 한국미술사' 단 한 권을 만들고 싶다"고 했다. 그는 "내년쯤 작업을 시작하면 내후년에는 출간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