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에 벚꽃 피는 順으로…2040년 지방대 60%가 소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구 5000만을 지키자 (39)
지방대 충원율·취업률 모두 낮아
생존 가능성, 전남 19%로 최저
경남 21%·부산 30%…서울 81%
지방대 충원율·취업률 모두 낮아
생존 가능성, 전남 19%로 최저
경남 21%·부산 30%…서울 81%

17일 한국경제연구원이 양정호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에게 의뢰한 연구의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출생아 25만 명(2022년 기준)과 대학입학정원 47만 명이 그대로 유지되면 2040년에는 50% 이상의 대학이 신입생을 채울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ADVERTISEMENT
그 결과 신입생 경쟁률은 서울과 거리가 멀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원 내 신입생 충원율과 졸업자 취업률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지방대는 신입생 경쟁률, 신입생 충원율, 취업률 등이 모두 낮았다. 한때 인기를 누린 지방 거점 국립대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들 대학의 취업률은 50~60% 정도로 사립 지방대와 비슷했다.
ADVERTISEMENT
양 교수는 “수도권 쏠림현상과 함께 지역 간 경제력 불균형이 점차 심화하고 지방대학 소멸 위기가 확산하고 있다”며 “현재 지방대학 미충원율은 수도권의 두 배에 달해 2040년에는 지방대 60%가 소멸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지방대를 살리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먼저 급격한 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을 국가 존폐의 위기 상황으로 판단해 전담 부처를 설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대학 재정 투자를 늘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으로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OECD 평균 정부의 대학 재정 지원 규모를 1로 볼 때 한국은 0.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0.9) 프랑스(1.2) 등 주요국보다 낮다.
ADVERTISEMENT
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