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금대출 마련하기 쉽지 않네”…전국 아파트 입주율 6.4%P 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출 문턱이 높아진 여파로 잔금 마련에 애를 먹는 입주예정자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달 새 전국 아파트 입주율(입주 지정 기간이 도달한 아파트 가운데 자금을 완납한 가구 비중)은 6%포인트 넘게 하락했다.
18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지난 8월 71.5%에서 지난달 65.1%로 6.4%포인트 떨어졌다. 미입주 사유는 기존 주택매각 지연(36.2%), 세입자 미확보(25.5%), 잔금대출 미확보(21.3%), 분양권 매도 지연(10.6%) 등 순서로 많았다. 잔금대출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응답이 지난 8월 9.8%에서 지난달 21.3%로 크게 증가한 게 눈에 띄었다.
주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높은 시중은행 대출금리와 특례보금자리론 대상 축소,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종료 등 서민 대출상품 규제 등을 원인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기존 주택매각이 늦어져 입주를 못하고 있다는 응답 비율은 같은 기간 45.1%에서 36.2%로 하락하며 대조를 이뤘다.
입주율은 지역별로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 서울(85.3%→85.4%)과 인천·경기권(79.1%→79.6%)은 입주율이 소폭 상승했다. 반면 지방은 지난 8월 69.5%에서 지난달 61.6%로 입주율이 뚝 떨어졌다. 특히 강원권(62.0%→46.6%)의 낙폭이 컸다. 외지인의 강원도 아파트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지역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되고 있어서다. 이달 입주 전망도 밝지 않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이달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를 전월(95.6) 대비 3.2포인트 하락한 92.4로 내다봤다. 이 지수가 100을 넘으면 입주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는 뜻이다. 서울의 입주전망지수는 지난달 108.5에서 이달 109.0으로 기준선인 100을 계속 상회하고 있다. 하지만 지방(93.2→90.0)과 인천(103.8→92.5)은 입주전망지수가 하락했다.
주택산업연구원 측은 “정부가 지난달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을 발표하며 공급확대 시그널을 보낸 것과 최근 대출금리가 오르고 있는 게 상쇄작용을 일으켜 당분간 아파트 분양과 입주 전망이 횡보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
18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지난 8월 71.5%에서 지난달 65.1%로 6.4%포인트 떨어졌다. 미입주 사유는 기존 주택매각 지연(36.2%), 세입자 미확보(25.5%), 잔금대출 미확보(21.3%), 분양권 매도 지연(10.6%) 등 순서로 많았다. 잔금대출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응답이 지난 8월 9.8%에서 지난달 21.3%로 크게 증가한 게 눈에 띄었다.
주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높은 시중은행 대출금리와 특례보금자리론 대상 축소,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종료 등 서민 대출상품 규제 등을 원인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기존 주택매각이 늦어져 입주를 못하고 있다는 응답 비율은 같은 기간 45.1%에서 36.2%로 하락하며 대조를 이뤘다.
입주율은 지역별로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 서울(85.3%→85.4%)과 인천·경기권(79.1%→79.6%)은 입주율이 소폭 상승했다. 반면 지방은 지난 8월 69.5%에서 지난달 61.6%로 입주율이 뚝 떨어졌다. 특히 강원권(62.0%→46.6%)의 낙폭이 컸다. 외지인의 강원도 아파트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지역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되고 있어서다. 이달 입주 전망도 밝지 않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이달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를 전월(95.6) 대비 3.2포인트 하락한 92.4로 내다봤다. 이 지수가 100을 넘으면 입주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는 뜻이다. 서울의 입주전망지수는 지난달 108.5에서 이달 109.0으로 기준선인 100을 계속 상회하고 있다. 하지만 지방(93.2→90.0)과 인천(103.8→92.5)은 입주전망지수가 하락했다.
주택산업연구원 측은 “정부가 지난달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을 발표하며 공급확대 시그널을 보낸 것과 최근 대출금리가 오르고 있는 게 상쇄작용을 일으켜 당분간 아파트 분양과 입주 전망이 횡보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