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원 대표 "전통공연용 한복 만들기 30년…후대 위해 백서 내고 싶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Zoom In
'올해의 한복인 상' 받는 김지원 모리노리 대표
무대 조명까지 계산해 원단 염색
'전통공연 한복계의 샤넬'로 불려
실용적 일상한복 '모리노리'엔
자유로움과 한국적 '시크' 담아
'올해의 한복인 상' 받는 김지원 모리노리 대표
무대 조명까지 계산해 원단 염색
'전통공연 한복계의 샤넬'로 불려
실용적 일상한복 '모리노리'엔
자유로움과 한국적 '시크' 담아

옷짓는원은 김지원 대표가 1994년 내놓은 맞춤 한복 브랜드다. 전통무용, 창작극 등 무용가들을 위한 맞춤 한복을 주로 만든다.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 한복, 국립무용단과 국립국악원의 공연용 한복, 청와대 국빈행사용 옷 등이 김 대표의 손을 거쳤다. 그는 20일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주최하는 ‘2023 한복문화주간’ 기념행사에서 한복문화 확산과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올해의 한복인 상’을 받는다.

김 대표는 “옷짓는원이 한국적 철학을 담은 맞춤 전통 복식이라면 모리노리는 전통에 국한되지 않는 자유로움과 편안함”이라며 “최근엔 외국에 사는 한국인, 외국인 등이 온라인으로 주문하는 건수가 늘고 있다”고 했다. 모리노리는 기성복을 지향하지만 소비자가 원하면 5만원가량 추가해 맞춤복으로도 입을 수 있다. 옷을 대량 생산하거나 매장을 빠르게 늘릴 수 없는 이유다.

전통과 현대, 옛 세대와 현 세대 간의 ‘소통’이 모리노리의 중요한 키워드다. 김 대표는 “한복을 젊은층이 가깝게 느끼길 바라는 마음이 컸다”고 했다. 그래서 모리노리의 제품 하위 카테고리를 ‘입을 만한 웃도리’, ‘변변한 아랫도리’, ‘어디갈 때 걸릴 거리’, ‘가볍게 두를 거리’ 등 재미나게 지었다.
그는 한 번도 중장기 목표 같은 걸 세워본 적이 없다. 하루하루 그날의 목표를 위해 바쁘게 살았다. “어릴 때 골수암으로 죽을 고비를 넘겼기 때문에 살아있는 것만으로 감사한 일”이라고도 했다. 김 대표는 “내년이 한복한 지 30년 되는 해인데 구체적 목표를 세우진 않았지만 내가 (한복 만들고 싶어하는) 누군가의 꿈이 되어주면 좋을 것 같다”고 했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