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받은 액수 그대로 돌려준 게 잘못인가요' 축의금 물가 논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소비자물가가 하루가 다르게 오르는 상황에서 '내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한탄이 절로 나온다. 10년래 최대·최장 인플레이션(고물가)을 이어가는 상황에서 축의금도 물가상승률을 고려해서 과거 받은 액수보다 올려서 되돌려줘야 할까.
"10년 전 축의금 10만원 받은 직장 동료가 결혼해서 똑같이 10만원 축의금 냈다가 '너무 한 것 아니냐'는 말을 들었다"는 직장인 A 씨의 사연이 최근 화제가 됐다.
A 씨 동료는 "물가상승률, 화폐가치 하락을 생각하지 않고 같은 금액을 냈다"며 불만 섞인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10년 전 10만원의 가치는 지금 20만원에 해당한다는 주장이다.
또 다른 직장인 B 씨는 "2019년 결혼했다. 그때 참석한 동료가 이번에 결혼한다길래 축의금 명단을 찾아보고 5만원 이체만 해주고 참석은 하지 않았다"면서 "신혼여행 다녀와서 작은 선물을 돌리면서 저는 안 주길래 그러려니 했는데 '축의금을 5만원 했다'고 뒷담화하고 다닌다는 걸 알게 됐다"고 말했다.
B 씨는 "미안한 마음이 들어 죄인처럼 지내고 있다"면서 "원하면 더 줄 수 있지만 보통 받은 만큼 주는 게 맞는 거 아닌가"라고 조언을 구했다.
네티즌들은 B 씨에게 "'동료는 5만원 내고 밥도 먹고 갔다'고 소문을 내라", "바빠서 못 갔으면 5만원이면 된 거 아닌가", "성의 표시 하는 게 중요하지 액수가 중요한 게 아니다. 이번 일을 계기로 사람 한 명 걸러낼 수 있어서 좋은 기회라 생각하라"라고 답했다.
경조사비를 기브앤테이크(give and take) 즉 상부상조라 생각하는 인식이 강한 현실에서 고물가가 계속되자 이를 둘러싸고 민폐 논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5년 전 퇴사로 인해 연락이 끊긴 직장 상사가 자기 자녀 결혼식에 오지 않은 직원들에게 일제히 입금 안내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는 사연은 씁쓸함을 자아냈다. 식대 인상·가계 부담으로 인해 경조사비에 대한 부담이 늘어나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로 불편하게 하는 축의금은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문제는 어디서부터 끊어야 하는지다. 국민연금 같아서 내가 낸 게 있어서 혹은 받은 게 있어서 끊지를 못한다."
서로에게 부담을 주는 돌잔치, 결혼식 하객 문화를 바꿔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선뜻 그럴 수 없는 현실을 이처럼 국민연금에 비유한 네티즌도 있었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
"10년 전 축의금 10만원 받은 직장 동료가 결혼해서 똑같이 10만원 축의금 냈다가 '너무 한 것 아니냐'는 말을 들었다"는 직장인 A 씨의 사연이 최근 화제가 됐다.
A 씨 동료는 "물가상승률, 화폐가치 하락을 생각하지 않고 같은 금액을 냈다"며 불만 섞인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10년 전 10만원의 가치는 지금 20만원에 해당한다는 주장이다.
또 다른 직장인 B 씨는 "2019년 결혼했다. 그때 참석한 동료가 이번에 결혼한다길래 축의금 명단을 찾아보고 5만원 이체만 해주고 참석은 하지 않았다"면서 "신혼여행 다녀와서 작은 선물을 돌리면서 저는 안 주길래 그러려니 했는데 '축의금을 5만원 했다'고 뒷담화하고 다닌다는 걸 알게 됐다"고 말했다.
B 씨는 "미안한 마음이 들어 죄인처럼 지내고 있다"면서 "원하면 더 줄 수 있지만 보통 받은 만큼 주는 게 맞는 거 아닌가"라고 조언을 구했다.
네티즌들은 B 씨에게 "'동료는 5만원 내고 밥도 먹고 갔다'고 소문을 내라", "바빠서 못 갔으면 5만원이면 된 거 아닌가", "성의 표시 하는 게 중요하지 액수가 중요한 게 아니다. 이번 일을 계기로 사람 한 명 걸러낼 수 있어서 좋은 기회라 생각하라"라고 답했다.
경조사비를 기브앤테이크(give and take) 즉 상부상조라 생각하는 인식이 강한 현실에서 고물가가 계속되자 이를 둘러싸고 민폐 논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5년 전 퇴사로 인해 연락이 끊긴 직장 상사가 자기 자녀 결혼식에 오지 않은 직원들에게 일제히 입금 안내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는 사연은 씁쓸함을 자아냈다. 식대 인상·가계 부담으로 인해 경조사비에 대한 부담이 늘어나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로 불편하게 하는 축의금은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문제는 어디서부터 끊어야 하는지다. 국민연금 같아서 내가 낸 게 있어서 혹은 받은 게 있어서 끊지를 못한다."
서로에게 부담을 주는 돌잔치, 결혼식 하객 문화를 바꿔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선뜻 그럴 수 없는 현실을 이처럼 국민연금에 비유한 네티즌도 있었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