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 이스라엘 신용등급 첫 강등 검토…"전쟁 길어지면 재정·경제 여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9일(현지시간) 무디스는 ‘A1’인 이스라엘의 장기 외화 및 자국 통화 발행자 등급을 하향 조정 검토 대상에 올렸다고 발표했다. A1은 무디스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평가 등급으로 현재 일본과 중국이 속해 있다. 등급 검토는 일반적으로 3개월 동안 이뤄지며 검토 기한은 더 길어질 수 있다.
분쟁이 공공 재정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도 전망했다. 이스라엘은 현재 국내총생산(GDP)의 4.5%를 국방비로 지출하고 있지만, 이번 분쟁으로 국방비 지출이 늘어나면서 재정적자가 증가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무디스는 “분쟁 이전에는 이스라엘 재정 적자가 GDP의 약 2% 수준일 것으로 예상했지만 국방부 지출이 증가하면 적자가 더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무디스는 “이번 분쟁은 지난 수십년 동안의 폭력 사태보다 더 심각하다”며 “이번 검토 기간 분쟁의 지속 기간과 규모, 공공 재정 및 경제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주요 신용평가사 피치도 이스라엘의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 관찰대상’으로 지정하고 분쟁이 격화될 경우 신용등급 강등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날 요아브 갈란트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가자지구 국경에 집결한 자국군에 “팔레스타인인들의 포위망이 곧 내부에서 보일 것”이라고 말해 지상전이 임박했음을 다시 시사했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