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생명 빅데이터 분석 결과…"저소득층 사망률 고소득층의 1.5배"
"암 생존율 70%로 개선…충분한 치료 시 생존 가능성 높아"
"암치료 핵심은 돈? 진단보험금 5천만원 이상시 사망률 절반"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암 사망률이 소득 상위 20%인 5분위의 1.5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기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암의 특성상 치료비 등이 생존 확률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한화생명은 자사 빅데이터 전문가 그룹인 데이터랩(DataLAB)에서 2008∼2022년 암 보험급 지급고객을 대상으로 소득수준에 따른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국내 연간 암 발생자수는 1999년 10만1천849명에서 2019년 24만7천952명으로 2.5배 증가했다.

다만 5년 생존율은 1993∼1995년 39.4%에서 2015∼2019년 65.6%로 상승했다.

데이터랩은 암 생존율에 미치는 요인을 찾아보기 위해 2008∼2022년 암 진단보험금 수령고객의 사망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 1분위가 31.8%로 5분위(20.7%)의 약 1.5배였다.

2분위는 29.9%, 3분위는 28.4%, 4분위는 26.8% 등으로 집계돼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사망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전과 달리 암 생존율이 70% 가까이 되는 만큼 소득이 높으면 더 좋은 의료기관에서 많은 치료 기회를 제공받아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는 설명이다.

"암치료 핵심은 돈? 진단보험금 5천만원 이상시 사망률 절반"
데이터랩은 암 진단보험금 수령고객의 5년 이내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5천만원 이상 보험금 수령고객의 암사망률은 15.7%로 진단보험금이 없는 고객 사망률(34.4%)의 절반 이하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5천만원 이상의 암 진단보험금을 보유하면 소득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암 사망률은 20% 미만으로 낮게 나타났다.

아울러 암 진단보험금을 많이 보유할수록 암 치료 중 기존 병원 대비 상급병원으로 병원을 변경하는 전원율이 높아졌다.

"암치료 핵심은 돈? 진단보험금 5천만원 이상시 사망률 절반"
데이터랩은 "치료비용 부담이 줄어들수록 더 적극적으로 상급병원에서 치료받는 경향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돈'은 암 치료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이를 대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암 진단보험금이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한화생명 데이터랩 전경원 팀장은 "암 발생을 막기는 어렵지만 암보험을 통해 사망률을 낮추는 것은 가능하다"면서 "납입해야 하는 보험료를 감안할 때 암 진단보험금 5천만원 정도가 생존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적정 수준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암치료 핵심은 돈? 진단보험금 5천만원 이상시 사망률 절반"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