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 충북지사 주민소환운동본부 준비위원회'는 23일 운동본부 공식 출범을 알리면서 "서명활동이 전환기를 맞을 것"이라고 밝혔다.

충북지사 주민소환 단체 "5만명 서명…후반 전환기 기대"
이 단체는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역 원로로 구성된 고문단, 11개 시군 대표와 각계 인사를 포함한 공동대표단 26명으로 운동본부를 꾸려 소환운동의 후반전 준비를 마쳤다"며 이같이 전했다.

앞서 이 단체는 지난 8월 8일 "24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청주 오송 지하차도 참사의 책임을 묻겠다"며 김 지사에 대한 주민소환 추진을 선언했다.

이 단체에 따르면 이날 현재 700여명의 수임인을 통해 도민 약 5만명이 주민소환 서명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단체는 "주요 시민사회단체와 더불어민주당 등의 협조가 없는 상황에서 일부 단체와 일반시민들이 힘을 합쳐 만든 결과로는 상당히 의미 있는 숫자"라며 "서명운동 시한까지 주민소환 요건을 충족하리라 자신한다"고 말했다.

이어 "도민의 뜻을 무시하고 오송참사의 책임을 회피하는 김 지사를 주민소환하는 것은 진정한 유권자의 권리이자 민주주의의 실천"이라며 "소환운동은 김 지사가 사퇴하는 날까지 지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오는 12월 12일(120일)까지 예정된 서명운동의 참여 인원이 충북 인구의 10%인 13만5천438명을 넘기면 선거관리위원회에 주민소환 투표를 요구할 수 있다.

투표에서 전체 유권자의 3분의 1 이상이 참여하고, 투표자 과반이 찬성하면 김 지사는 직을 잃는다.

한편 충북도는 주민소환법에 따라 서명운동과 위법행위 감시에 필요한 경비 26억4천400만원을 선관위에 납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