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용 "안성 주민 44년 피해" vs 홍기원 "상류 폐수 평택호로"

2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는 평택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문제를 놓고 지역구가 서로 다른 여야 의원 2명이 설전을 벌였다.

1979년에 지정된 평택시 송탄·유천취수장 상수원보호구역을 두고 안성지역 주민들은 44년간 지역 개발과 주민 재산권 행사가 묶어 피해를 보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국감현장] 평택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놓고 여야 의원 설전
이를 두고 안성시가 지역구인 김학용 국민의힘 의원은 "안성시민이 일방적으로 재산권 피해를 보고 있는데 피해를 보는 (안성)지역에서는 상수원보호구역 규제를 풀 방법이 없다"며 "경기도가 수수방관하고 있는 것은 일종의 직무유기다.

직접 나서야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평택시민들이 차라리 깨끗한 물이라도 먹으면 마음이라도 편할 텐데, 아시는 것처럼 농업용수로 사용할 정도의 3급수"라며 "광역 원수를 제공하는 관로를 까는 문제를 경기도가 전향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평택시갑이 지역구인 홍기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평택 상수원보호구역으로 평택은 피해가 전혀 없고 인근 지자체만 피해를 보고 있다는 것은 사실과 매우 다르다"며 "평택시민들도 큰 피해를 보고 있다.

수질 악화에 대한 걱정이 매우 크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용인, 안성에서 내려오는 물은 물론 화성, 오산 또는 수원에서 나오는 폐수도 전부 하류에 있는 평택의 진위천, 황구지천, 안성천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평택호를 통해 서해로 나간다"고 했다.

이에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금 평택, 안성, 용인 포함해서 상수원 보호, 공장 설립, 반도체 클러스터 용수 문제 등에 여러 가지 이견과 갈등이 있다"며 "협의체를 만들어서 사안별로 하고 있지만, 같이 협의해서 슬기로운 방안을 만들어 나가도록 해보겠다"고 답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