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니스트 후지타 마오가 지난 24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체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지휘 세묜 비치코프)와 드보르자크 피아노 협주곡을 협연하고 있다. 인아츠 제공
피아니스트 후지타 마오가 지난 24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체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지휘 세묜 비치코프)와 드보르자크 피아노 협주곡을 협연하고 있다. 인아츠 제공
한국인 특유의 한(恨)은 우리가 가장 잘 표현하는 것처럼, 오직 그 나라 사람만이 제대로 불러낼 수 있는 정취란 게 있다. 기교적으로 뛰어난 연주자도, 작품을 깊이 분석한 지휘자도 그 나라 음악가가 아니라면 절대 온전히 이해할 수 없는 고유의 감성 말이다. 체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그 나라의 '전설' 드보르자크 작품으로 꽉 채운 공연을 들고 온다는 소식에 “진짜가 온다”는 반응이 쏟아진 이유다.

지난 24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어둡던 무대에 조명이 켜지자 러시아 출신의 세계적인 지휘자 세묜 비치코프가 천천히 걸어 나왔다. 첫 곡은 드보르자크가 쓴 연주회용 서곡 3부작 중 ‘인생’이란 주제를 담고 있는 ‘사육제’ 서곡이었다.

비치코프는 소문대로였다. 엄격한 지시와 통제로 악단을 극한으로 몰아붙이기보다는 연주자들이 스스로 노래할 수 있도록 일종의 음악적 공간을 만들어주는 섬세한 지휘를 선보였다. 그 덕에 체코 필 특유의 따뜻하면서도 두터운 보헤미안 톤이 완연히 살아날 수 있었다. 관현악의 장대하고도 정감 어린 선율과 트라이앵글, 탬버린, 심벌즈 등 특색 있는 타악기들의 활기 넘치는 리듬은 시종일관 예민하게 조형됐다.
피아니스트 후지타 마오가 지난 24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체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지휘 세묜 비치코프)와 드보르자크 피아노 협주곡을 협연하고 있다. 인아츠 제공
피아니스트 후지타 마오가 지난 24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체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지휘 세묜 비치코프)와 드보르자크 피아노 협주곡을 협연하고 있다. 인아츠 제공
이어 무대에 오른 인물은 소니 클래시컬과 전속 계약(월드와이드)을 맺은 첫 일본인 피아니스트 후지타 마오였다. 그가 들려준 곡은 기교적으로나 감정적으로나 연주하기 까다로운 데 비해 효과가 좋지 않다는 이유로 무대에 잘 오르지 않는 드보르자크의 유일한 피아노 협주곡(빌렘 쿠르츠 편곡 버전)이었다.

이 작품에서 피아노는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솔로라기보단 악단과 동등한 선상에 서서 악상을 함께 발전시키는 동반자에 가까운데, 마오는 드보르자크의 의도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다는 걸 보여줬다. 감미로운 음색과 건반을 스치는 듯한 유연한 터치로 풍부한 양감을 만들면서도 지나친 감정 표현으로 전체의 조화를 깨뜨리는 일은 철저히 통제했다. 다만 셈여림 폭과 강세의 정도를 키우면서 긴장감을 유발해야 하는 순간까지 유려한 흐름을 유지해 다소 밋밋하다는 인상을 남겼다.

마지막 작품은 체코인으로서의 애국심과 투쟁 정신을 독일 음악의 형식을 빌려 표현한 드보르자크 교향곡 7번이었다. 비치코프와 체코 필은 그야말로 살아 숨 쉬는 연주를 들려줬다. 저음 현의 풍부하면서도 장엄한 울림과 고음 현의 부드러우면서도 처절한 음색이 균형을 이루면서 긴장감을 불러일으켰고, 그 위로 올라선 금관과 목관은 각자의 선율을 명료히 드러내면서 입체감을 만들어냈다. 1악장에서 비치코프는 심오한 주제와 목가적인 주제를 매끄럽게 넘나들면서 매 장면 새로운 감정을 이끌어냈다. 체코 필은 그의 손끝을 따라 마치 한 몸처럼 움직였다.
러시아 출신 지휘자 세묜 비치코프가 지난 24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체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지휘하고 있다. 인아츠 제공
러시아 출신 지휘자 세묜 비치코프가 지난 24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체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지휘하고 있다. 인아츠 제공
2악장에선 윤슬(햇빛에 반짝이는 잔물결)처럼 찬란하면서도 아련한 음색과 거대한 포물선을 그리는 듯 둥글게 뻗어나가는 거대한 음향으로 드보르자크의 서정을 펼쳐냈다. 잠시 시간이 멈췄다고 착각할 정도로 인상적이었다. 4악장. 비치코프는 선율에 새로운 성부가 더해지는 순간마다 아주 얇은 층을 쌓아 올리듯 정교하게 악상의 변화를 이끌면서 드보르자크의 투쟁을 설득력 있게 그려냈다. 체코 필은 한순간도 억지로 힘을 줘 소리를 몰아치지 않았다. 음향적 균형을 유지하는 가운데 점진적으로 음향의 밀도를 높이고 표현의 폭을 키우면서 극의 절정을 선사했다. 꾹꾹 눌러왔던 박수가 터져 나오는 순간이었다.

"오케스트라가 익명화되고 있는 음악계에서 자신만의 정체성, 음향, 성향 등 고유의 언어를 가진 체코 필의 존재는 매우 소중하다." 이달 내한을 앞두고 가진 인터뷰에서 비치코프가 한 말이다. '왜 드보르자크는 체코 필하모닉의 소리로 만나야 하는가'를 보여준 연주였다.

김수현 기자 ksoo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