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경기남·북부에 수소 경제 클러스터 조성' 제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소경제 클러스터 조성 방안 연구' 보고서 발간
화석 연료 에너지 기반 탄소경제 대체
화석 연료 에너지 기반 탄소경제 대체
세계 시장 규모가 2759조원으로 성장할 수소경제를 선점하기 위해 경기도가 평택-화성-안산과 양주, 파주에 수소경제 클러스터를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26일 경기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수소경제 클러스터 조성 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수소경제는 수소에너지 기반의 친환경 경제산업구조로 최근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 화석 연료 에너지 기반의 탄소 경제를 대체할 수 있다는 기대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한국도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으로 수소집적단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울산 등 5개 시도에서 수소 클러스터 조성을 준비 중이다. 연말부터는 수소 특화단지 선정 작업에 본격 착수할 예정이다.
경기연구원은 도가 다른 어느 지역보다 수소경제 추진과 클러스터 정책에 커다란 잠재력을 지녔다고 진단했다.
이는 수소 활용을 중심으로 수소경제 실적 양호(수소차 보급 등), 충분한 규모의 잠재적 수소 소비시장 보유(인구와 경제 규모 등), 교통 통신인프라 및 숙련된 인력, 전후방 기업 입지, 지속이 가능한 수자원, 가용할 수 있는 풍부한 토지자원, 수소 인프라와 기술에 대한 자금지원 등을 갖추고 있어서다.
연구원은 이에 따라 수소 관련 기업들이 집적 이익을 위해 상호 연결된 수소경제 클러스터를 경기 남·북부에 조성하자고 제안했다.
먼저 남부에서는 평택시 수소 특화단지, 평택 포승(BIX)지구, 자동차 클러스터, 화성시 화성호 간척지대 부지, 양감면 H-테크노밸리(반도체‧자동차 부품 특화), 안산시 신길 일반산업단지까지 이어지는 평택-화성-안산 벨트를 지목했다.
평택시 등 3개 시에 연료전지발전소, 소부장기업단지, 생산 허브, 자동차 클러스터 등을 연계 조성해 앞으로 수소 시장을 지배할 그린수소 생산의 대규모 전초기지로 활용하자는 계획이다.
북부는 양주시 은남일반산업단지에, 파주시는 거곡리‧석곶리 일대, 파평일반산업단지, 미활용군용지 중 한 지역에 각각 수소경제 클러스터를 조성해 미래 남북평화 협력 시대 대비 친환경에너지 협력 기반을 마련하자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이 같은 클러스터 전략을 통해 2030년까지 수소생산 허브 10개소, 수소 생산량 1천300 톤, 수소 배관망 300㎞, 수소충전소 200개소, 수소연료전지발전량 1.5GW, 수소 기업 1천500개 사, 수소 도시 12개소 등을 달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철구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향후 탄소중립과 신성장동력의 선도에 경기도가 주도적 역할을 하려면 수소경제 클러스터만큼 유용한 정책 방안은 없을 것”이라며 “중앙정부의 각종 수소 산업 집적화 정책 공모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고, 민간사업자들과 파트너십을 이뤄 수소경제 클러스터 조성에 더욱 힘을 쏟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
26일 경기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수소경제 클러스터 조성 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수소경제는 수소에너지 기반의 친환경 경제산업구조로 최근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 화석 연료 에너지 기반의 탄소 경제를 대체할 수 있다는 기대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한국도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으로 수소집적단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울산 등 5개 시도에서 수소 클러스터 조성을 준비 중이다. 연말부터는 수소 특화단지 선정 작업에 본격 착수할 예정이다.
경기연구원은 도가 다른 어느 지역보다 수소경제 추진과 클러스터 정책에 커다란 잠재력을 지녔다고 진단했다.
이는 수소 활용을 중심으로 수소경제 실적 양호(수소차 보급 등), 충분한 규모의 잠재적 수소 소비시장 보유(인구와 경제 규모 등), 교통 통신인프라 및 숙련된 인력, 전후방 기업 입지, 지속이 가능한 수자원, 가용할 수 있는 풍부한 토지자원, 수소 인프라와 기술에 대한 자금지원 등을 갖추고 있어서다.
연구원은 이에 따라 수소 관련 기업들이 집적 이익을 위해 상호 연결된 수소경제 클러스터를 경기 남·북부에 조성하자고 제안했다.
먼저 남부에서는 평택시 수소 특화단지, 평택 포승(BIX)지구, 자동차 클러스터, 화성시 화성호 간척지대 부지, 양감면 H-테크노밸리(반도체‧자동차 부품 특화), 안산시 신길 일반산업단지까지 이어지는 평택-화성-안산 벨트를 지목했다.
평택시 등 3개 시에 연료전지발전소, 소부장기업단지, 생산 허브, 자동차 클러스터 등을 연계 조성해 앞으로 수소 시장을 지배할 그린수소 생산의 대규모 전초기지로 활용하자는 계획이다.
북부는 양주시 은남일반산업단지에, 파주시는 거곡리‧석곶리 일대, 파평일반산업단지, 미활용군용지 중 한 지역에 각각 수소경제 클러스터를 조성해 미래 남북평화 협력 시대 대비 친환경에너지 협력 기반을 마련하자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이 같은 클러스터 전략을 통해 2030년까지 수소생산 허브 10개소, 수소 생산량 1천300 톤, 수소 배관망 300㎞, 수소충전소 200개소, 수소연료전지발전량 1.5GW, 수소 기업 1천500개 사, 수소 도시 12개소 등을 달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철구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향후 탄소중립과 신성장동력의 선도에 경기도가 주도적 역할을 하려면 수소경제 클러스터만큼 유용한 정책 방안은 없을 것”이라며 “중앙정부의 각종 수소 산업 집적화 정책 공모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고, 민간사업자들과 파트너십을 이뤄 수소경제 클러스터 조성에 더욱 힘을 쏟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