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주민 합심한 도시재생 중요…모니터링 등 사후 관리 관건"
"산업 규모, 성장성 등 기준으로 전북 신산업 우선순위 도출해야"
도시혁신 산업박람회 이틀째…도시재생·발전 제언 '봇물'
26일 '2023 대한민국 도시혁신 산업박람회'에서는 도시재생 및 도시성장 방안에 관한 여러 제언이 나왔다.

이날 오후 홍명환 제주도시재생지원센터 원장은 '인구 감소 시대 지역 실정에 기반한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 방안'을 주제로 세미나를 열고 "제주는 대한민국의 축소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제주의 특정 지역에 인구가 계속 몰리면서 원도심은 공동화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나타났다"면서 제주 신산머루, 제주 모관지구, 서귀포 월평마을 등 도시재생이 활발한 지역을 소개했다.

홍 원장은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주민이 지역 발전과 도시재생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종합적으로 수립한 실행 계획이 필요하다"며 "도시재생지원센터에 지위와 역할을 부여하지 않는 절차적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제주도가 제정한 '도시재생사업 사후관리 조례'를 언급하면서 "도시재생 사업지를 어떻게 관리할지도 관건"이라며 "(제주의 사례를 모든 지역에 적용할 수 없겠지만) 사업지의 재쇠퇴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예산 투입의 방법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시혁신 산업박람회 이틀째…도시재생·발전 제언 '봇물'
앞서 이날 오전에는 '지역 신산업 성장과 도시혁신 방안'을 주제로 한 세미나도 열렸다.

이영성 서울대학교 교수는 이 자리에서 "부(富)의 지형도는 시대가 정한다"며 "시대가 요구하는 입지를 갖추거나 미래 신산업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도시의 규모는 핵심 산업의 생산성이 극대화되는 지점에서, 핵심 산업이 창출하는 부가가치와 고용자 수에 의해 결정된다'는 런던정경대 버논 핸더슨(vernon henderson) 교수의 말을 인용했다.

또 하의현 전북연구원 연구위원은 '전북 신산업 현황과 지역발전 방안'을 주제로 강연하면서 신산업을 '새롭게 형성되거나 재형성된 산업'으로 규정, "산업 규모, 성장성, 입지 특화성 등을 바탕으로 전북이 육성해야 할 신산업의 우선순위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27일에도 지역의 도시 발전을 고민하는 2개의 세미나가 열릴 예정이다.

연합뉴스, 전국도시재생지원센터협의회, 전북도시재생지원센터, 도시재생산업진흥협회는 '지역 거점시설의 효율적 활용 방안 및 사례' 세미나를 공동 주최한다.

또 LH토지주택연구원은 '지방시대 실현을 위한 지역 혁신 방향'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열 예정이다.

이러한 세미나는 전북 익산에서 전날 개막한 도시혁신 산업박람회의 일환이다.

박람회장에 모인 지자체, 공공기관 민간기업은 오는 28일까지 400여개의 부스를 차리고 도시재생 우수 사례와 정책을 소개한다.

이밖에 세미나, 전시회 등도 함께 열어서 지역 균형발전, 도시재생, 지역 소멸 위기의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