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포집저장활용기술(CCUS)의 세계-下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ZA.34271097.1.jpg)
미국 정부가 과거 해당 기술의 탄소 포집 기여도를 명분으로 내세워 에너지 기업들에 막대한 세액 공제 혜택을 제공했던 것도 환경단체들의 비판을 샀다. 실상은 미국 에너지 업계를 지원하기 위한 조치였다는 지적이다.
美는 기후위기 대응의 '탈' 씌운 산업 경쟁력 확보에 '실탄 총력'
석유증산기술(EOR)은 땅속에서 원유를 채굴할 때 처음보다 압력이 하락해 채굴량이 줄어들면 물이나 가스를 주입해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방법이다. 처음에는 주로 물이 사용됐지만, 기업들은 점차 물보다 저렴한 탄소를 활용해 유전의 회수율을 높여왔다.미국 정부는 2008년부터 탄소 격리 기술에 세법상 45Q 세액 공제 조항을 적용해줬다. 2018년부터는 CCUS 확산을 장려하기 위해 45Q 인센티브를 대폭 늘려 1t당 최대 50달러의 세금 크레딧을 제공해주기로 했다. 그러나 미 정부가 자국 석유 산업의 EOR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세액 공제 제도를 활용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거셌다. 당시까지만 해도 미국에서는 CCUS보다 EOR 프로젝트 수가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사진=EPA](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ZA.34759096.1.jpg)
미국은 기세를 몰아 EOR에 대해 "CCUS와 마찬가지로 탄소감축 수단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미국의 주장에 동조하는 국가들은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중국 등 산유국들이 대부분이다. 나머지 대부분의 나라들은 "EOR에 탄소저감 효과를 인정하는 순간 산유국 중심으로 탄소경제 주도권을 가져갈 수밖에 없다"며 반대하는 상황이다.
누가 뭐래도 탄소감축 기여도 有…급성장하는 CCUS시장
국제 사회에서 CCUS가 2050년 넷제로(탄소중립) 목표에서 탄소감축에 기여하는 정도는 평균 15%로 추산되고 있다. 이 같은 수치는 CCUS와 EOR을 둘러싼 미국의 속셈이 어떻든, 또는 "CCUS는 화석연료의 지속적인 사용에 면죄부를 준다"며 반대하는 환경단체의 입김이 얼마나 거세든 CCUS가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 플레이어'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글로벌 에너지 대기업 경영진이 "인류가 화석연료를 당장 끊어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화석연료를 외면하기보다 우리가 보유한 탄소 처리 관련 전문성을 활용하는 게 진정한 기후위기 대응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글로벌 CCUS 시장은 2019년 국제해사기구(IMO) 등이 탄소의 국가 간 이동(수출) 및 해외 저장을 허용하기로 합의한 뒤로 더욱 활기를 띠고 있다.
![빠르게 커지는 전 세계 CCUS 시장. 출처=IEA](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01.34910584.1.jpg)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