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지난 3분기에 전 분기 대비 0.6% 성장했다. 수출 증가와 함께 세 분기 연속 성장하며 상반기에 비해 하반기 경기가 회복하는 ‘상저하고’ 흐름이 나타났다. 하지만 미국의 고금리 장기화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으로 경제 회복이 이어질지 불확실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3분기 韓 성장률 0.6%…불안한 '상저하고'
26일 한국은행의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속보치)’에 따르면 작년 4분기 -0.3%로 역성장한 한국 경제가 올 1분기 0.3%, 2분기 0.6%에 이어 3분기에도 0.6% 성장했다.

3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0.3% 늘었다. 2분기 -0.1%에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정부소비도 사회보장 현물 수혜 중심으로 0.1% 증가했다. 특히 수출이 반도체·기계 등을 중심으로 3.5% 늘며 성장을 이끌었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반도체 등 정보기술(IT) 경기가 조금씩 살아나 수출 부진을 완화하며 성장에 기여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투자는 건설투자가 2.2% 증가했지만 설비투자는 기계류의 부진으로 2.7% 감소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국회 국정감사에서 “시장에선 보수적·비관적인 이야기로 0.4%, 잘 나오면 0.5% 정도로 봤는데 실적치는 0.6%로 나왔다”며 “당초 정부가 전망한 경로와 궤를 같이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올해) 연간 성장률을 1.4%로 전망하고 있는데 조금 보수적으로 보면 1.3%, 조금 더 낙관적으로 보면 1.5%”라고 했다.

반도체 수출 회복에 바닥 탈출했지만
중동·美고금리에 경기 급반등 불확실

3분기 성장률이 0.6%를 기록하자 정부는 ‘상저하고’ 흐름이 뚜렷해졌다고 평가했다. 반도체 경기가 회복되면서 4분기엔 성장세가 더 가팔라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제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3분기 GDP’를 항목별로 보면 수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2분기 0.9% 감소한 수출이 3분기엔 3.5% 증가했다. 반도체와 기계를 중심으로 수출이 호조를 보인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정부는 4분기에는 수출이 더 좋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집계하는 통관 기준 명목 수출액은 9월까지 12개월째 감소세를 나타냈지만 10월부터는 플러스로 전환할 가능성이 크다고 정부는 보고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D램 반도체 단가 상승이 본격화하면서 수출이 서프라이즈 수준으로 급속히 회복되고 있다”며 “빠른 수출 회복세에 힘입어 4분기엔 한국 경제가 최소 0.7% 이상 성장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올 4분기 성장률이 0.7% 정도면 올해 연간 성장률 1.4%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 계열 무디스 애널리틱스는 이날 논평에서 “한국 경제는 수출이 성장을 견인하면서 최악의 경기 침체에서 벗어나고 있다”며 “올해 성장률 전망치 1.4%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4분기 경제가 기대만큼 강하게 반등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우려도 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이 어디로 어떻게 튈지 모르는 데다 미국의 고금리도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이스라엘-하마스 사태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 미국에서 고금리가 지속되는 점 등이 우리 금융·외환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며 “IT(정보기술) 경기 등을 보면 (올해 예상치인) 1.4%에 부합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현실적으로 불확실한 요인이 많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했다.

소비자와 기업의 심리도 악화하고 있다.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8.1로 9월(99.7)보다 1.6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7월 103.2까지 오른 뒤 석 달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0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도 전 산업 업황 BSI가 70을 기록해 9월(73)보다 3포인트 내렸다. 2월(69) 후 8개월 만의 최저치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경기가 아직까지 본격 회복세에 접어들었다고 판단하기는 이르다”며 “기울기가 완만한 상저하고로 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에서 “강한 상저하고 사이클과는 다소 거리감이 있다”며 “고금리 충격에 따른 금융시장 긴축 발작, 각종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심리지표 악화는 하방 위험”이라고 밝혔다.

강진규/강경민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