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금리 상승 강력한 경제 반영…하락 가능성 있지만 장담 못해"
"美, 일부 분야 지나치게 中 의존…수출통제·투자제한 이어질 것"
美재무 "美경제 견조하고 강력한 성장세…연착륙 가능성 높아"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26일(현지시간) 미국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자평하고 급격한 인플레이션 국면으로부터 연착륙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미중 관계가 장기적으로 최악의 국면을 지났다고 평가하면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지난해 11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첫 대면 정상회담 이후 양국간 소통의 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옐런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연율 4.9%로 집계되며 '깜짝 성장세'를 보인 것과 관련, "이것은 강력한 숫자이며, 미국 경제는 매우 잘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옐런 장관은 "그 같은 속도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지는 않지만, 미국은 견조하고 강력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며 "미국 경제는 연착륙할 가능성이 높고 이는 매우 좋은 일"이라고 강조했다.

고공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미국 국채금리에 대해선 "이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는 국제적 현상"이라며 "이는 미국 경제의 유연성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 심리가 반영된 것이지, 경기 후퇴의 징후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장기적으로 국채 금리는 내려갈 가능성이 있지만, 그러나 누구도 장담할 수는 없다"며 "국채 금리 상승은 분명히 강력한 경제를 반영한다"고 덧붙였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전쟁이 국제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선 "현재까지는 큰 영향은 없으며, 국제 유가도 안정적"이라면서 "확전 시 물론 추가 영향이 있겠지만 현재로서는 앞서 나가는 것은 성급한 일"이라고 밝혔다.

하마스의 배후로 지목된 이란의 원유 수출 대금을 재동결한 것과 관련해선 "해당 자금에서 한 푼도 건드려진 부분이 없다"며 "대부분 한국의 은행에 동결돼 있던 자금은 카타르로 이전돼 이란으로 송금되는 과정에 있었고, 자금은 여전히 그 상태로 있다"고 부연했다.

재무부는 하마스의 이스라엘 침공 이후인 지난 12일 한국의 은행에서 카타르로 이전된 이란의 원유 수출 대금 60억달러에 대해 재동결 조치를 내렸다.

옐런 장관은 미중 관계에 대해선 "미국은 그간 클린 에너지 등 일부 분야에서 지나치게 중국에 의존해 왔다"며 "국가안보 관점에서 타협하기 힘든 분야이며, 이런 차원에서 수출 통제와 투자 제한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옐런 장관은 다만 안보와 직결된 부분으로 가능한 타깃을 좁게 한정한다는 미국 정부의 일관된 원칙을 재확인하며 "중국 경제 성장에 해를 끼치려는 의도는 전혀 없다"면서 중국과는 기후 변화 등 협력이 필요한 부분도 산재한다고도 지적했다.

그는 특히 지난해 11월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의 첫 대면 정상회담을 거론하며 "당시까지 2년가량 미중 간에는 고위급 회담이 전혀 없었다"며 "팬데믹 기간 미중은 위험한 상황에 놓였던 것이 사실"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팬데믹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거치며 우리는 공급망이 위태롭다는 점을 자각했고, 중국 등 일부 나라에 과도하게 의존한다는 사실도 깨달았다"고 설명했다.

또 "우리는 이 같은 취약성을 감소하고 공급망을 다변화하기 위해 '리쇼어링(해외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이 필요하며, 믿을 수 있는 나라들에 투자를 강화하는 '프렌드 쇼어링'도 중요하다"고도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