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사업 착수…"중부내륙권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 디딤돌"
세종 스마트·충주 바이오헬스 국가산단 지정…2029년 완공
국토교통부는 세종시 연서면 일대 275만㎡ 부지를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로 지정하고 스마트시티, 자율주행과 연계한 첨단 소재·부품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한다.

또 충북 충주시 대소원면 일대 224만㎡를 '충주 바이오헬스 국가산업단지'로 지정해 첨단바이오·정밀의료산업 융복합 클러스터로 키운다.

국토교통부는 29일 이 같은 내용의 국가산단 조성계획을 발표하고 본격 사업 추진에 나선다고 밝혔다.

국가산단은 지역의 특성과 자원을 활용한 사업을 고도화하기 위해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해 대규모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1990년부터 올해 10월까지 총 48개 산단이 지정됐다.

세종 스마트 국가산단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세종도시교통공사가 내년 중 사업에 착수, 2026년 상반기에 착공할 계획이다.

총 사업비는 1조6천170억원이며 2029년 완공이 목표다.

소재산업 쪽에선 의료와 비금속업종, 부품산업에선 금속, 전기·전자, 자동차 등이 주력 유치업종이다.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면 8천206억원의 경제 유발 효과와 5천916명의 고용 유발 효과가 기대된다.

세종 스마트·충주 바이오헬스 국가산단 지정…2029년 완공
충주 바이오클러스터도 LH가 내년 사업에 착수해 2026년 상반기 착공한다.

완공 목표 시점은 2029년이다.

충주기업도시와 연계해 7천500억원의 경제 유발 효과와 4천여명의 고용 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국토부는 전망했다.

바이오헬스 산업의 경우 세계적인 인구 고령화로 잠재력이 커 주요 선진국들이 적극 투자에 나서고 있다.

김정희 국토부 국토정책관은 "충청권에 조성되는 세종 스마트 국가산단과 충주 바이오헬스 국가산단은 행정수도와 신성장 첨단산업이 연계되는 중부내륙권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디딤돌이자 국가균형발전의 주춧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