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가을, 런던 ‘엘리펀트 앤 캐슬’에 위치한 저스틴 모티머(Justin Mortimer, b.1970)의 작업실을 방문했을 때 그는 말라가는 꽃 그림을 그리고 있었다. 죽음의 냄새가 물큰 피어나는 꽃그림에 이어 계조가 풍부한 어두운 배경 위로 드러난 여러 인물 풍경화를 본 순간 우리에게 닥치지 않은 불길한 사건의 징후들이 느껴졌다. 에볼라 바이러스와 시리아 난민의 이주, 시위와 폭동 현장 등에서 영감을 받은 그의 그림을 보고 있으면 우리가 애써 부인하거나 모른척하던 불편한 것들(방 안의 코끼리)을 정면에서 마주하는 느낌이 들었다.
저스틴 모티머 스튜디오_런던_ 2019 / 사진_이장욱
작가는 스물한살에 ‘내셔널 포트레이트 갤러리’에서 주최한 BP Portrait Award에서 1등 상을 받은 바 있고 목 잘린 여왕의 초상을 그린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 LINK: https://www.arte.co.kr/art/theme/2939) 이후 작가는 신체 일부나 전부 가 들어간 어둡거나 그로테스크한 분위기의 작품을 통해 자신만의 색깔을 구축했다. 작업실 방문이 있었던 2019년 10월 이후 그는 일 년 뒤에 열릴 한국에서의 첫번째 개인전(2020.9.24~11.27, 스페이스K 과천)을 위해 열정적으로 신작 제작에 들어 갔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세계는 COVID-19 대유행에 혼란 속으로 빠졌고 작가 또한 2020년 3월에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 그림을 그려야 하는데 런던에 이동 금지령과 봉쇄령까지 내려지자 그는 작업실을 갈 수도 없는 상황이 되었다. 인간의 마을에서 벌어지는 불안의 징후들을 모아 암울한 미래를 예견하는 그림을 그리는 것과 지금 당장 벌어지고 있는 두려운 오늘을 그리는 것은 엄연히 다른 행위이다. 머릿속 악몽이 현실로 나의 눈앞에 벌어질 때 그것은 소설이 아닌 일기이자 다큐멘터리가 된다. 그래서 그는 바이러스가 한참 창궐하는 동안에는 오히려 방역복을 입은 사람의 그림을 그릴 수가 없었다. COVID-19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 고통과 집에서 드로잉과 작은 그림들 위주의 작업만 해야 하는 현실에 분노해 주먹을 벽에 내리친 5월 이후 그는 나머지 그림들을 왼손으로 완성할 수밖에 없었다.
¹ 방안의 코끼리: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모두가 모른척하거나 언급하지 않는 일을 뜻함. ² 검은 코끼리: ‘검은 백조’와 ‘방 안의 코끼리’의 합성어. 검은 백조는 발생할 확률이 매우 낮은 일을 뜻한다. 따라서 검은 코끼리는 방치하던 문제가 실제 큰 사건으로 등장하게 되는 것을 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