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쏘려면 먼저 말을 쏘아야 하고, 적을 잡으려면 먼저 왕을 잡아야 한다.”

당나라 시인 두보의 시 ‘전장에 나아가며(前出塞)·6’에 나오는 구절이다. 두보는 ‘출새(出塞)’라는 제목의 시를 9수 짓고 나서 후에 5수를 더 지었다. 여기에 ‘전출새(前出塞)’와 ‘후출새(後出塞)’라는 제목을 붙였다. ‘전장에 나아가며(前出塞)·6’의 원문은 이렇다.

활을 당기려면 강궁을 당겨야 하고
화살을 쓰려면 긴 것을 써야 하느니
사람을 쏘려면 먼저 말을 쏘아야 하고
적을 잡으려면 먼저 왕을 잡아야 한다.
사람을 죽이는 데도 한계가 있고
나라를 세움에도 경계가 있는 법.
능히 적의 침략을 막을 수 있다면
어찌 그리 많은 살상이 필요한가.

‘전출새’는 토번(吐蕃·지금의 티베트) 정벌 등 당 현종의 영토 확장 전쟁을 풍자한 시다. 적을 잡으려면 먼저 왕을 잡아야 한다는 게 핵심 주제인데, 그만큼 애꿎은 병사와 백성의 목숨을 살리고 전쟁의 피해를 줄이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적을 잡으려면 먼저 왕을 잡아야 한다 [고두현의 인생명언]

‘가짜 화살’로 적장을 제거한 지혜

이른바 ‘금적금왕(擒賊擒王, 적을 잡으려면 우두머리부터 잡아라)’은 병법 삼십육계의 공전계(攻戰計) 제18계에도 등장한다. <신당서(新唐書)> ‘장순전(張巡傳)’에 나온다.

장순이 안록산의 반란군에 맞서 수양성을 지킬 때였다. 적장 윤자기(尹子琦)는 13만 대군으로 성을 포위했다. 장순의 군사는 고작 7000여 명. 군량마저 바닥나 성이 함락될 위기에 놓였다.

장순이 병서의 ‘금적금왕’을 떠올렸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았고, 수많은 적 가운데 적장을 찾는 게 어려웠다. 그래서 묘책을 냈다. 그는 부하들에게 쑥대와 볏짚으로 ‘가짜 화살’을 만들어 적에게 쏘게 했다. 화살을 맞은 적들은 어리둥절했다. 건초 화살을 집어 든 적군 병사가 누군가에게 달려가더니 무릎을 꿇고 화살을 바쳤다.

이 모습을 본 장순은 “바로 저 체격 큰 사람이 적장이다”라며 집중사격을 명했다. 숨어 있던 사수들이 일제히 진짜 화살을 쏘았다. 그 가운데 한 대가 윤자기의 왼쪽 눈에 꽂혔다. 장수가 쓰러지자 적들은 혼비백산했고, 장순은 곧바로 남은 병력을 이끌고 달려 나가 오합지졸들을 일순에 쓸어버렸다. 적장 한 명을 잡아 13만 대군을 와해시킨 것이다.

1000명으로 수만 대군 물리친 묘책

이보다 1년 전 옹구성 전투에서도 장순의 지혜는 빛났다. 1000여 명으로 반란군 수만 명과 맞선 상황. 두 달간 300여 차례의 공격을 막느라 갑옷을 벗지 못하고 밥도 제대로 먹지 못할 지경이었다.

급기야 화살이 바닥나고 말았다. 고민하던 장순은 볏짚 인형을 많이 만들어 한밤중 성벽으로 내려보냈다. 마치 검은 옷을 입은 군사들이 새카맣게 내려오는 것처럼 보이게 했다. 적장은 야습이라고 생각해 성벽을 향해 일제히 화살을 퍼붓도록 명령했다. 날이 밝은 뒤에야 사람이 아니라 허수아비라는 걸 알게 됐다.

장순의 군사들은 인형의 등에 무수히 박힌 화살을 뽑아 ‘실탄’을 확보했다. 며칠 뒤 심야에 장순이 또 허수아비들을 성 아래로 내려보내는 걸 본 적장은 “더 이상 속지 않는다”며 거들떠보지도 않았다.

그러나 이번에는 허수아비가 아니었다. 장순이 보낸 특공대였다. 아무런 경계도 하지 않던 반란군은 이 기습작전으로 맥없이 무너졌다. 적장을 잡지 않고 눈을 속이는 것만으로도 수만 대군을 물리친 것이다. 이 또한 대규모 살상을 피하고 이룬 승리였으니 ‘금적금왕’의 절묘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 교훈은 옛 군사 전략뿐 아니라 현대 경영학, 정치사회학, 인생 여정에 두루 활용할 수 있다. 오래전 역사에서 새로운 영감을 얻는 온고지신, 법고창신의 사례는 지금 우리 주변에서도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

고두현 시인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