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우외환' 카카오…삼성처럼 준법감시기구 만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그룹차원 지배구조 개선책 내놔
외부인사로 구성된 조직 신설
신사업·투자 때 외부평가 추진
김범수 "나부터 반성하겠다"
매주 CEO 회의…비상경영 돌입
외부인사로 구성된 조직 신설
신사업·투자 때 외부평가 추진
김범수 "나부터 반성하겠다"
매주 CEO 회의…비상경영 돌입
SM엔터테인먼트 시세조종 의혹으로 금융감독원의 고강도 수사를 받고 있는 카카오가 지배구조 개선책을 내놨다. 외부 인사로 구성된 준범감시기구를 신설해 법률 리스크를 세세하게 검증하기로 했다. 준법경영에 속도를 내기 위해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과 매주 경영회의도 열 예정이다. 이번 조치로 계열사의 자율 경영을 강조하던 카카오의 조직 문화가 바뀔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카카오는 지난 3월 경쟁자인 하이브의 SM엔터 인수를 막기 위해 이 회사 주식을 시세조종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금융감독원 자본시장특별사법경찰은 지난 26일 배재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 등 세 명과 카카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를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넘겼다. 금융업계 일각에선 특사경이 김 창업자를 추가 조사한 후 구속영장을 따로 신청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 카카오는 현재 상황을 ‘최고 비상경영 단계’로 규정했다. 경영진이 참석하는 회의를 매주 월요일 열기로 한 것도 이 때문이다. 경영 혁신 방안을 주기적으로 논의해 고강도 준법감시 문화를 발 빠르게 확립하겠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김 창업자는 “최근 상황을 겪으며 나부터 부족한 부분을 반성했다”며 “더 강화된 준법경영 및 통제 시스템을 마련하는 게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인 감시기구의 모습은 삼성이 2020년 독립 외부 감시기구로 꾸린 준법감시위원회와 비슷할 것이란 업계 전망이 나온다. 이 기구는 법조계 학계 등 외부 인사 위주로 구성돼 있다. 삼성은 26일 삼성SDI 삼성SDS에서 열린 이사회에서 선임사외이사제도 도입을 결정했을 때도 준법감시위와 사전 협의를 거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CA협의체의 공동체준법경영실만으로는 경영 투명성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고 카카오 경영진이 판단한 것”이라며 “자율 경영에 익숙하던 계열사들도 준법감시 시스템을 마련하고 이를 검증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
리스크 관리 체제 가동
카카오는 30일 창업자인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사진)과 홍은택 카카오 대표, 주요 공동체(계열사) CEO 등 20명이 경영 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을 핵심으로 한 지배구조 개선책 마련에 합의했다. 계열사 경영을 CEO 자율에 맡겨왔던 카카오가 그룹 차원의 리스크 관리 체제를 가동하는 방향으로 경영 기조를 바꿨다는 점이 눈에 띈다.카카오는 지난 3월 경쟁자인 하이브의 SM엔터 인수를 막기 위해 이 회사 주식을 시세조종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금융감독원 자본시장특별사법경찰은 지난 26일 배재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 등 세 명과 카카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를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넘겼다. 금융업계 일각에선 특사경이 김 창업자를 추가 조사한 후 구속영장을 따로 신청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 카카오는 현재 상황을 ‘최고 비상경영 단계’로 규정했다. 경영진이 참석하는 회의를 매주 월요일 열기로 한 것도 이 때문이다. 경영 혁신 방안을 주기적으로 논의해 고강도 준법감시 문화를 발 빠르게 확립하겠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김 창업자는 “최근 상황을 겪으며 나부터 부족한 부분을 반성했다”며 “더 강화된 준법경영 및 통제 시스템을 마련하는 게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카카오 “외부 통제도 받겠다”
카카오는 준법감시기구를 단순히 외부 조언을 받는 수준이 아니라 각 계열사 경영을 실질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조직으로 만들기로 했다. 구속력이 있는 수준으로 감시기구를 꾸릴 게 아니라면 이번 회의를 열지도 않았을 것이라는 게 카카오의 설명이다. 카카오는 신사업이나 대규모 투자를 할 경우 사회적 영향에 대한 외부 평가를 받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구체적인 감시기구의 모습은 삼성이 2020년 독립 외부 감시기구로 꾸린 준법감시위원회와 비슷할 것이란 업계 전망이 나온다. 이 기구는 법조계 학계 등 외부 인사 위주로 구성돼 있다. 삼성은 26일 삼성SDI 삼성SDS에서 열린 이사회에서 선임사외이사제도 도입을 결정했을 때도 준법감시위와 사전 협의를 거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CA협의체의 공동체준법경영실만으로는 경영 투명성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고 카카오 경영진이 판단한 것”이라며 “자율 경영에 익숙하던 계열사들도 준법감시 시스템을 마련하고 이를 검증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