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항상 불타오르게 하라 [장석주의 영감과 섬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장석주 시인·문학평론가
양배추가 자라는 너른 서쪽 밭에도, 단풍 든 숲의 나무들에도, 나를 절반만 사랑하고 떠난 여자의 좁은 어깨에도 가을의 비가 내린다. 가을의 비는 투명 비커에서 양파가 흰 뿌리를 내리듯이 고요하다. 간혹 비는 구름이 품은 도토리 알들이 소쿠리에 쏟아지듯 소리를 내며 떨어지기도 한다. 의자들은 네 다리로 바닥 위에 서 있고, 나는 그 의자에서 책을 읽는다. 지금 병상에 창백한 이마를 드러낸 채 누워 저 비를 하염없이 바라보는 사람도 있겠다. 가을의 빗소리에서 서늘함을 느끼는 까닭은 가을이 가고 있다는 징후 때문이었을까.
어머니, 하고 입술을 달싹이며 나지막이 부르는 소리에 어머니는 아무 대답도 하지 않는다. 한 번 돌이킬 수 없는 것은 영원히 돌이킬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탄생과 죽음, 우연의 불가피함들. 온갖 불행과 재난을 회피하고 살아남은 자에게 밀물처럼 밀려드는 안도와 슬픔들.
조카 애가 청첩장을 갖고 찾아왔을 때 나는 놀랐다. 내 아련한 기억 속에서 조카 애는 늘 어린애다. 그런데 결혼이라니! 하지만 남동생의 딸은 서른이 넘은 중학교 교사다. 그 애가 태어났을 때 남동생의 부탁으로 이름을 지었다. 이제 숙녀로 자라나 결혼을 앞둔 조카 애는 내가 작명한 이름을 늘 자랑스럽게 여겼다고 한다. 질경이 풀보다 더 하찮은 내가 누군가에게 의미 있는 이름 하나를 지어줬구나.
끼니때가 지났나? 갑자기 출출해진다. 잔치국수를 만들어 먹으려고 서둘러 찬장과 냉장고를 뒤져 굵은 멸치 한 줌과 다시마 한 조각, 대파, 양파, 다진 마늘을 준비해 육수를 끓인다. 소면 한 줌을 끓여 육수가 그득히 담긴 대접에 넣는다. 그다음 계란 지단과 채 썰어 프라이팬에 기름을 약간 둘러 볶은 애호박을 고명으로 얹고 양념장을 넣는다. 잔치국수 만드는 것쯤은 어렵지 않다. 반찬은 아삭아삭 씹히는 총각김치 한 보시기로도 충분하다. 잔치국수 한 그릇을 다 비우자 금세 배가 불러온다.
사춘기 때 한 소녀를 사랑했으나 나는 비겁했다. 그러니 끝내 입 밖으로 발설하지 못한 내향인의 짝사랑이었다. 아버지와는 늘 서늘했다. 나는 아버지의 무능력에 분노하고 엇나갔다. 에밀 시오랑의 책을 좋아한다는, 신축 아파트 현장에서 건축 자재를 지고 비계를 오르내리는 노동자 청년을 한동안 따라다녔다.
학교에 부적응한 것은 내가 평범한 사물들처럼 미덕과 인내심을 기르는 데 실패한 탓이다. 정규 교육과정에서 이탈해 시립도서관과 음악감상실 등지에서 청소년기를 보냈다. 스무 살이 돼 장병 신체검사를 받았으나 체중 미달로 군 입대마저 무산됐다. 그 작은 실패에도 낙담하고 쓸쓸해졌는데, 그건 내가 진심으로 군대 취사장에서 밥 짓는 일을 해도 좋겠다는 생각을 품었었기 때문이다.
내가 좋아하는 것은 가을의 비 말고도 많다. 날 저물 무렵 골목에서 어머니가 아이를 부르는 목소리, 백지의 침묵, 파리나무십자가소년합창단이 부르는 성가, 풀밭에 뒹구는 모과들의 무심함, 강가에 흩어진 돌들, 야생 염소의 울음소리, 새의 꽁지깃, 기지개를 켜며 하품하는 고양이, 비눗갑 안에서 비누가 마르는 걸 좋아한다는 것도 나는 미처 깨닫지 못했다.
나는 모르는 것들 속에서 그 모름을 외면한 채 살아왔다. 모른다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종종 자신에게 질문을 던진다. 모름은 존재의 기본값이다. 모름은 내 모든 앎과 삶에 반향하며 내 안에서 울려 퍼지는 메아리다. 그건 우리가 항상 삶에 대해 겸손해져야 할 의무를 환기시킨다.
앙상한 나무와 헐벗은 대지를 휩쓰는 한밤중의 북풍에 귀를 기울이며 온몸을 떨어봤어야 한다. 자연사박물관에서 멸종한 생물들의 이름을 헤아려 보고, 월러스 스티븐스의 시 ‘검은 새를 바라보는 13가지 방법’을 외우며, 체온이 식은 죽은 자의 머리맡에서 하룻밤을 새운 적도 있어야 한다. 늘 그늘을 피해 양지만 딛고 산 사람은 인생의 진실을 절반만 알 수 있을 뿐이다. 온전한 인간이 되기 위해서라면 아, 나를 “비명 지르게 하라, 불타오르게 하라.” (레슬리 제이미슨의 책 제목)
가을의 비가 내릴 때…
팔에 오소소 소름이 돋아 옷장에서 몸에 걸칠 카디건을 꺼내 거실에 나왔더니 처음 보는 낯선 이가 우두커니 서 있다. 나는 놀라서 묻는다. 당신은 천사인가요? 아니요, 나는 천사가 아닙니다. 나는 당신의 그림자일 뿐입니다. 그 환영은 돌연 사라졌다. 새벽에 밥을 짓는 어머니의 자식으로 나는 자라났다. 밤을 새우며 무언가를 끼적이는 자식의 몸이 상할까 봐 어머니는 걱정했다. 그 어머니는 이미 10여 년 전에 돌아가셨다.어머니, 하고 입술을 달싹이며 나지막이 부르는 소리에 어머니는 아무 대답도 하지 않는다. 한 번 돌이킬 수 없는 것은 영원히 돌이킬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탄생과 죽음, 우연의 불가피함들. 온갖 불행과 재난을 회피하고 살아남은 자에게 밀물처럼 밀려드는 안도와 슬픔들.
조카 애가 청첩장을 갖고 찾아왔을 때 나는 놀랐다. 내 아련한 기억 속에서 조카 애는 늘 어린애다. 그런데 결혼이라니! 하지만 남동생의 딸은 서른이 넘은 중학교 교사다. 그 애가 태어났을 때 남동생의 부탁으로 이름을 지었다. 이제 숙녀로 자라나 결혼을 앞둔 조카 애는 내가 작명한 이름을 늘 자랑스럽게 여겼다고 한다. 질경이 풀보다 더 하찮은 내가 누군가에게 의미 있는 이름 하나를 지어줬구나.
끼니때가 지났나? 갑자기 출출해진다. 잔치국수를 만들어 먹으려고 서둘러 찬장과 냉장고를 뒤져 굵은 멸치 한 줌과 다시마 한 조각, 대파, 양파, 다진 마늘을 준비해 육수를 끓인다. 소면 한 줌을 끓여 육수가 그득히 담긴 대접에 넣는다. 그다음 계란 지단과 채 썰어 프라이팬에 기름을 약간 둘러 볶은 애호박을 고명으로 얹고 양념장을 넣는다. 잔치국수 만드는 것쯤은 어렵지 않다. 반찬은 아삭아삭 씹히는 총각김치 한 보시기로도 충분하다. 잔치국수 한 그릇을 다 비우자 금세 배가 불러온다.
사춘기 때 한 소녀를 사랑했으나 나는 비겁했다. 그러니 끝내 입 밖으로 발설하지 못한 내향인의 짝사랑이었다. 아버지와는 늘 서늘했다. 나는 아버지의 무능력에 분노하고 엇나갔다. 에밀 시오랑의 책을 좋아한다는, 신축 아파트 현장에서 건축 자재를 지고 비계를 오르내리는 노동자 청년을 한동안 따라다녔다.
학교에 부적응한 것은 내가 평범한 사물들처럼 미덕과 인내심을 기르는 데 실패한 탓이다. 정규 교육과정에서 이탈해 시립도서관과 음악감상실 등지에서 청소년기를 보냈다. 스무 살이 돼 장병 신체검사를 받았으나 체중 미달로 군 입대마저 무산됐다. 그 작은 실패에도 낙담하고 쓸쓸해졌는데, 그건 내가 진심으로 군대 취사장에서 밥 짓는 일을 해도 좋겠다는 생각을 품었었기 때문이다.
모름은 존재의 기본값이다
“내가 목말라 한다고 바다를 가져오지는 말라.” (노르웨이 시인 올라브 H 하우게의 시구) 지상의 바람들은 한 점의 물방울들이 실어 나르고, 그 물방울에도 한 톨의 소금 성분이 섞였을지도 모른다. 뭔가를 사랑한다면 그걸 오래 바라봐야 한다. 관습의 눈으로는 말고 낯선 시선으로! 나는 바쁘다는 핑계로 뭔가를 오래 응시하지 못했다. 갈망하는 그 무엇도 가질 수가 없었고, 가야 할 곳에 가지 못한 채로 살았던 나는 가끔 혼자 흐느끼곤 했다. 내 나이 스물다섯 살일 때 나는 이미 한없이 무력했다. 나의 가장 아름다운 시절은 환영인 듯 저 멀리에서 아른거렸다.내가 좋아하는 것은 가을의 비 말고도 많다. 날 저물 무렵 골목에서 어머니가 아이를 부르는 목소리, 백지의 침묵, 파리나무십자가소년합창단이 부르는 성가, 풀밭에 뒹구는 모과들의 무심함, 강가에 흩어진 돌들, 야생 염소의 울음소리, 새의 꽁지깃, 기지개를 켜며 하품하는 고양이, 비눗갑 안에서 비누가 마르는 걸 좋아한다는 것도 나는 미처 깨닫지 못했다.
나는 모르는 것들 속에서 그 모름을 외면한 채 살아왔다. 모른다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종종 자신에게 질문을 던진다. 모름은 존재의 기본값이다. 모름은 내 모든 앎과 삶에 반향하며 내 안에서 울려 퍼지는 메아리다. 그건 우리가 항상 삶에 대해 겸손해져야 할 의무를 환기시킨다.
양지만 딛고 산 사람은 모르지
어쩌면 해가 뜨고 진다는 단순한 앎 말고 그 밖의 것은 잉여일지도 모른다. 모름이 삶을 그르친 원인의 전부는 아닐 테지만 나는 어리석었다. 내 삶을 파괴한 크고 작은 실패의 흔적들을 되짚어보니, 후회와 회한이 밀려와 새록새록 뼈에 사무친다. 온전한 인간이 되려면 백일몽과 노스탤지어만으로는 부족하다. 나는 매사에 더 처절했어야 한다. 더 뜨겁게 사랑하고, 더 차갑게 불의에 맞서야 했다. 내가 원하는 것을 가질 수 없을 때 내가 원하지 않는 일을 거부하며 더 꿋꿋했어야 한다.앙상한 나무와 헐벗은 대지를 휩쓰는 한밤중의 북풍에 귀를 기울이며 온몸을 떨어봤어야 한다. 자연사박물관에서 멸종한 생물들의 이름을 헤아려 보고, 월러스 스티븐스의 시 ‘검은 새를 바라보는 13가지 방법’을 외우며, 체온이 식은 죽은 자의 머리맡에서 하룻밤을 새운 적도 있어야 한다. 늘 그늘을 피해 양지만 딛고 산 사람은 인생의 진실을 절반만 알 수 있을 뿐이다. 온전한 인간이 되기 위해서라면 아, 나를 “비명 지르게 하라, 불타오르게 하라.” (레슬리 제이미슨의 책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