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연구진, 3D 바이오프린터로 인공피부 제조 기술개발
부산대학교 연구팀이 포함된 국제 공동연구진이 3D 바이오프린팅을 통해 대량생산을 할 수 있는 인공피부 제작에 성공했다.

부산대는 정보의생명공학대학 의생명융합공학부 김병수 교수팀이 포항공대·중국 베이징 이공대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3D 바이오프린팅을 통한 피부 표피층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이 기술은 재현성이 높은 동일한 품질의 인공피부를 일정하게 제작할 수 있고, 대량생산을 할 수 있어 인공피부를 활용한 화장품이나 신약 검증 때 실험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피부 실험에 동물이 쓰여 도덕적·윤리적 문제도 있었고, 유럽에서는 화장품 검증 때 동물실험을 전면 금지하기도 했는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발전이라고 부산대는 설명했다.

연구팀은 인공피부를 만들기 위해 각질세포를 포함하는 젤라틴(유도 단백질)을 3D프린터의 잉크로 사용했다.

각질세포를 포함하는 젤라틴 잉크를 피부 진피 위에 동일한 높이로 프린팅한 뒤 젤라틴만 녹고 각질세포는 남아 단일 층으로 남도록 했다.

김 교수는 "동물실험의 윤리적인 문제와 사람·동물 간의 유전적 차이로 인해 신약·화장품 산업은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피부 프린팅 기술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테스팅 플랫폼으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지원사업, 선도연구센터육성사업과 산업통상자원부 민·군 기술개발 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