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열공 '화공특강'…경북 혁신의 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소 등 미래산업 유치 일등공신
대통령도 관심…李지사 책선물
도청사 옮겨간 안동신도시 활기
대통령도 관심…李지사 책선물
도청사 옮겨간 안동신도시 활기
경상북도 공무원들이 화요일마다 여는 공부모임 ‘화공특강’이 250회를 눈앞에 두고 있다. 도청 전체를 학구적인 분위기로 바꾼 화공특강은 지방시대에 맞는 정책을 찾고 실행하는 촉매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는 평가다.
1일 경상북도에 따르면 도가 이철우 지사 취임 후 2018년 11월 시작한 화공특강은 이달 250회를 맞을 예정이다. 경상북도의 유튜브 채널 ‘보이소TV’에 게재되는 화공특강 내용은 최고 5만 뷰를 기록하는 등 화제를 모으고 있다.
화공특강이 시작된 계기는 도청의 안동신도시 이전이다. 50년 동안 대구에 있던 도청사는 2016년 안동신도시로 이전했다. 도청 관계자는 “지금은 영화관과 스타벅스 매장도 생겼지만 당시엔 쇼핑시설과 대형서점 등 문화시설이 없었다”며 “업무가 끝나면 신도시 상가에서 삼삼오오 술 한 잔 하며 시간을 보내는 분위기였다”고 회고했다.
22개 시·군에서 경상북도로 전입하는 공무원은 물론 고시 출신 사무관도 경상북도 근무 희망자가 급감했다. 불편한 교통 때문에 외부와의 접촉이 줄면서 경상북도 공무원의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이 지사가 화공특강을 시작한 것은 이런 분위기를 바꿔보려는 시도였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등 공무원은 물론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 김영훈 대성그룹 회장 등 기업인들이 잇달아 연사로 등장해 경상북도 공무원들과 질문을 주고받았다. 화공특강은 ‘서안동의 다보스포럼’이라는 별칭까지 얻었다.
화공특강은 도청의 문화를 학습조직으로 바꾼 데 그치지 않고 ‘지방시대’ 정책 실행조직으로 발전하고 있다. 경상북도는 지난 3월 전국에 15곳이 지정된 국가산업단지 후보지 가운데 지자체 중 가장 많은 3개를 유치했다. 또 2차전지와 반도체특화단지 등 첨단산업 특화단지 2개 동시 지정도 화공특강의 산물이다. 임휘승 자치행정국장은 “소형모듈원전(SMR), 원자력수소, 바이오 등 국가산단과 특화단지 유치를 위해 14회의 특강에 국내 최고 전문가를 모셔 전문성을 다졌다”고 말했다.
포항과 예천 등 2개의 데이터센터 유치도 화공특강이 가져온 성공 사례다. 경상북도는 지난 9월 산업통상자원부, SK에코플랜트 등과 ‘육양국과 연계한 1조5000억원 규모의 데이터센터’ 유치 투자협약을 맺었다. 이 협약은 2021년 11월 화공특강 후 이 지사와 차담을 나누던 대기업 관계자가 ‘육양국을 유치해보라’고 제안한 데서 시작됐다. 당시 이정우 빅데이터과장이 이를 듣고 투자 유치로 연결시켰다.
SMR과 수소에너지는 마이크로소프트 등 클라우드 기업들이 데이터센터 전력원으로 눈여겨보는 분야다. 글로컬대 예비 선정 최다(3곳), 일자리사업 3년 연속 최고, 청년정책 전국 1위 등의 성과 역시 배워서 정책으로 만든 ‘연구중심 도정’의 결과다.
윤석열 대통령도 화공특강에 큰 관심을 보였다. 이 지사는 지난해 당선인 신분으로 방문한 윤 대통령이 화공특강에 대해 묻자 강의내용을 모은 책을 선물하기도 했다.
안동=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1일 경상북도에 따르면 도가 이철우 지사 취임 후 2018년 11월 시작한 화공특강은 이달 250회를 맞을 예정이다. 경상북도의 유튜브 채널 ‘보이소TV’에 게재되는 화공특강 내용은 최고 5만 뷰를 기록하는 등 화제를 모으고 있다.
화공특강이 시작된 계기는 도청의 안동신도시 이전이다. 50년 동안 대구에 있던 도청사는 2016년 안동신도시로 이전했다. 도청 관계자는 “지금은 영화관과 스타벅스 매장도 생겼지만 당시엔 쇼핑시설과 대형서점 등 문화시설이 없었다”며 “업무가 끝나면 신도시 상가에서 삼삼오오 술 한 잔 하며 시간을 보내는 분위기였다”고 회고했다.
22개 시·군에서 경상북도로 전입하는 공무원은 물론 고시 출신 사무관도 경상북도 근무 희망자가 급감했다. 불편한 교통 때문에 외부와의 접촉이 줄면서 경상북도 공무원의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이 지사가 화공특강을 시작한 것은 이런 분위기를 바꿔보려는 시도였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등 공무원은 물론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 김영훈 대성그룹 회장 등 기업인들이 잇달아 연사로 등장해 경상북도 공무원들과 질문을 주고받았다. 화공특강은 ‘서안동의 다보스포럼’이라는 별칭까지 얻었다.
화공특강은 도청의 문화를 학습조직으로 바꾼 데 그치지 않고 ‘지방시대’ 정책 실행조직으로 발전하고 있다. 경상북도는 지난 3월 전국에 15곳이 지정된 국가산업단지 후보지 가운데 지자체 중 가장 많은 3개를 유치했다. 또 2차전지와 반도체특화단지 등 첨단산업 특화단지 2개 동시 지정도 화공특강의 산물이다. 임휘승 자치행정국장은 “소형모듈원전(SMR), 원자력수소, 바이오 등 국가산단과 특화단지 유치를 위해 14회의 특강에 국내 최고 전문가를 모셔 전문성을 다졌다”고 말했다.
포항과 예천 등 2개의 데이터센터 유치도 화공특강이 가져온 성공 사례다. 경상북도는 지난 9월 산업통상자원부, SK에코플랜트 등과 ‘육양국과 연계한 1조5000억원 규모의 데이터센터’ 유치 투자협약을 맺었다. 이 협약은 2021년 11월 화공특강 후 이 지사와 차담을 나누던 대기업 관계자가 ‘육양국을 유치해보라’고 제안한 데서 시작됐다. 당시 이정우 빅데이터과장이 이를 듣고 투자 유치로 연결시켰다.
SMR과 수소에너지는 마이크로소프트 등 클라우드 기업들이 데이터센터 전력원으로 눈여겨보는 분야다. 글로컬대 예비 선정 최다(3곳), 일자리사업 3년 연속 최고, 청년정책 전국 1위 등의 성과 역시 배워서 정책으로 만든 ‘연구중심 도정’의 결과다.
윤석열 대통령도 화공특강에 큰 관심을 보였다. 이 지사는 지난해 당선인 신분으로 방문한 윤 대통령이 화공특강에 대해 묻자 강의내용을 모은 책을 선물하기도 했다.
안동=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