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인재 지방정착률 50%로 높이고 디지털 혁신지구 5곳 조성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일 지방의 디지털 경제 총생산액을 30조원으로 높이겠다는 목표 등을 담은 '지방 디지털 경쟁력 강화방안'을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발표했다.

제2차 지방시대위원회 의결을 거쳐 수립된 강화방안에는 지방대학 디지털 인재의 지방 정착률을 50%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농어촌 주민 등 지방 취약계층의 디지털 활용 능력을 국민 평균의 83%까지 상향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지방에도 판교테크노밸리에 버금가는 디지털 신산업의 구심점을 마련하기 위해 디지털 기업이 1천개 이상 집적된 '국가 디지털 혁신지구'를 오는 2030년까지 전국에 5개 이상 조성하고, 선도 지역 중심으로 인공지능(AI)·디지털트윈·블록체인·메타버스 등 4대 신기술 기반도 본격 구축하기로 했다.

또 2027년까지 지역 강소 소프트웨어(SW) 기업 100개 이상과 디지털전환(DX) 고도화 제조기업 5천개를 각각 육성하고, 지방 주민의 생활·안전을 개선하기 위해 디지털 SOC(사회간접자본)도 300개 이상 신규 확충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빌리지 사업 예산을 작년 100억원에서 올해 632억원으로 늘리고, 지방 하수시설 가상화로 침수를 선제 예방하며, 지역 병의원 의료 데이터 기반 AI 진단 설루션도 보급할 계획이다.

또 비학위 디지털 고급·전문 교육과정의 60% 이상을 비수도권에 안배해 지방 기업이 요구하는 현장형 디지털 인재를 확충한다고 과기정통부는 전했다.

지방의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 SW마이스터고를 신규 지정하고, 2027년까지 AI영재학교 2개교(광주·충북) 신설도 추진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디지털이 지방에 젊음과 활력을 불어넣을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며 "지방에서도 창업에 적극 도전하는 인재와 글로벌 스타트업을 배출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디지털 생태계가 조성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방 디지털경제 30조원 규모로"…정부, 지방 디지털 집중육성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