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 여파에…HUG 신규채용 지원율, 5분의 1로 '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업무 폭증·부정적 경영평가 영향…"평가제 개선해야"
전세사기 여파로 업무 부담이 폭증한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신규 채용 지원율이 4년 만에 5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김민기 의원이 HUG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9월까지 HUG의 신규 채용 인원은 36명, 지원자 수는 1천253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른 채용 경쟁률은 34.8대 1 수준이다.
2019년 49명 모집에 8천620명이 몰려 175.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4년 사이 5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 것이다.
2020년 118.3대 1, 2021년 89.5대 1 수준이었던 채용 경쟁률은 전세사기 사태가 불거진 지난해 47.5대 1로 급락했고, 올해까지도 내림세를 지속하고 있다.
HUG에 대한 선호도가 떨어진 것은 전세사기 여파로 업무 부담이 가중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공기업은 대기업 등 사기업에 비해 업무 강도가 낮고 '워라밸'(일과 생활의 균형)을 지키기 수월하다고 인식되는데, HUG의 경우 전세사기 사태가 불거지면서 이런 기대가 깨졌다.
HUG의 급여 수준이 하향된 것도 경쟁률 하락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2022년도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에서 HUG에 미흡(D) 등급을 부여했다.
공공기관 임직원의 성과급은 경영평가 등급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데, 일반적으로 D등급 이하면 성과급을 전혀 받을 수 없다.
이에 따라 보통(C) 등급 이상이었던 공공기관이 D등급 이하로 떨어지면 임직원이 받는 실질 급여가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HUG가 낮은 등급을 받은 것은 부동산 경기 악화와 전세사기 등으로 전세금 반환보증 변제금이 크게 늘면서 재무적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보증기관으로서 해야 하는 채무 변제 업무가 늘어날수록 경영평가 등급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평가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성과관리 분야의 전문가인 이찬 서울대 산업인력개발학과 교수는 "경영실적 평가는 과도하게 많은 평가 문항을 모든 공공기관에 일률적으로 적용한다는 점에서 시기에 따라 업적과는 별개로 피해를 보는 기관들이 생긴다"며 "정권마다 평가 지침이 바뀌는 등 일관성이 떨어지는 부분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평가받는 입장에서는 조직을 개선하고 서비스의 질을 높일 동기를 유발하기 어려운 환경"이라며 "공공기관에서 경영평가 업무를 했던 퇴임자들을 활용하는 등 기관별 특성과 내부 조직 맥락에 적합한 심사가 이뤄지도록 개선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김민기 의원이 HUG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9월까지 HUG의 신규 채용 인원은 36명, 지원자 수는 1천253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른 채용 경쟁률은 34.8대 1 수준이다.
2019년 49명 모집에 8천620명이 몰려 175.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4년 사이 5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 것이다.
2020년 118.3대 1, 2021년 89.5대 1 수준이었던 채용 경쟁률은 전세사기 사태가 불거진 지난해 47.5대 1로 급락했고, 올해까지도 내림세를 지속하고 있다.
HUG에 대한 선호도가 떨어진 것은 전세사기 여파로 업무 부담이 가중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공기업은 대기업 등 사기업에 비해 업무 강도가 낮고 '워라밸'(일과 생활의 균형)을 지키기 수월하다고 인식되는데, HUG의 경우 전세사기 사태가 불거지면서 이런 기대가 깨졌다.
HUG의 급여 수준이 하향된 것도 경쟁률 하락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2022년도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에서 HUG에 미흡(D) 등급을 부여했다.
공공기관 임직원의 성과급은 경영평가 등급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데, 일반적으로 D등급 이하면 성과급을 전혀 받을 수 없다.
이에 따라 보통(C) 등급 이상이었던 공공기관이 D등급 이하로 떨어지면 임직원이 받는 실질 급여가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HUG가 낮은 등급을 받은 것은 부동산 경기 악화와 전세사기 등으로 전세금 반환보증 변제금이 크게 늘면서 재무적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보증기관으로서 해야 하는 채무 변제 업무가 늘어날수록 경영평가 등급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평가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성과관리 분야의 전문가인 이찬 서울대 산업인력개발학과 교수는 "경영실적 평가는 과도하게 많은 평가 문항을 모든 공공기관에 일률적으로 적용한다는 점에서 시기에 따라 업적과는 별개로 피해를 보는 기관들이 생긴다"며 "정권마다 평가 지침이 바뀌는 등 일관성이 떨어지는 부분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평가받는 입장에서는 조직을 개선하고 서비스의 질을 높일 동기를 유발하기 어려운 환경"이라며 "공공기관에서 경영평가 업무를 했던 퇴임자들을 활용하는 등 기관별 특성과 내부 조직 맥락에 적합한 심사가 이뤄지도록 개선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