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이화그룹 사태로 증권사는 뭇매 맞는데, 한국거래소 책임없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감에서 거래소 잘못 안 따져
허위 공시 막는 시스템 만들어야
증권부 류은혁 기자
허위 공시 막는 시스템 만들어야
증권부 류은혁 기자
![[취재수첩] 이화그룹 사태로 증권사는 뭇매 맞는데, 한국거래소 책임없나](https://img.hankyung.com/photo/202311/07.33715211.1.jpg)
이화전기에 수천만원을 투자했다는 개미 투자자는 최근 전화 통화를 하면서 “억울해서 잠이 오지 않는다”며 30분 넘게 하소연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화그룹 매매정지 사태를 다룬다고 해서 실시간으로 지켜봤지만 정작 거래소 문제에 대해선 일언반구도 없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ADVERTISEMENT
그런데 거래소는 같은 날 오후 2시22분께 검찰의 기소 내용과 회사 측 해명 내용이 다르다며 조회공시를 재차 요구하면서 이화전기의 주식 거래를 다시 정지시켰다. 계열사인 이트론과 이아이디 거래도 중단시켰다. 현재 이들 이화그룹 3사는 상장폐지 절차가 진행 중이다.
이번 사태는 거래소의 조회공시 제도 허점을 드러냈다. 부실 기업이 조회공시 요구에 불리한 정보를 숨기거나 무성의하게 답변하더라도 거래소는 확인할 방법이 없는 것이다. 당시 검찰은 이화그룹 계열사 거래 정지가 풀렸다는 소식에 화들짝 놀라 계열사별 횡령 금액 등을 정리한 문서를 거래소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ADVERTISEMENT
거래소는 이화그룹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해 지난 6월부터 유관기관들과 ‘조사 정보 공유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다고 항변한다. 하지만 고의로 허위 공시를 하는 기업을 걸러내는 등 근본적인 제도 개선안은 논의되지 않고 있다. 제2, 제3의 이화그룹 사태를 막기 위해서라도 거래소와 정부, 국회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