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가격 인상에 '밀크플레이션' 현실화…발효유 상승률 14.7%로 18년5개월만 최고
아이스크림 15.2%↑·분유 10.6%↑…소비자단체 "아이스크림도 가격 내려야"
라면·과자는 물가 상승률 둔화…가격 인하 효과에 지난달 '마이너스' 전환
지난달 우유 물가 상승률 14.3%…금융위기 이후 '최고'
지난달 우유의 물가 상승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4년여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발효유 상승률은 18년여만에 가장 높았다.

또 우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분유와 아이스크림도 오름폭이 확대됐다.

우유 원유(原乳) 가격 인상에 따른 '밀크플레이션'(우유+인플레이션)이 현실화하는 모습이다.

반면 가격 인하 효과로 라면과 과자는 물가 상승률이 둔화하다 지난달에는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우유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22.03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3% 상승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던 2009년 8월(20.8%) 이후 14년 2개월 만의 최고치다.

또 발효유 물가 상승률이 14.7%로 2005년 5월(14.7%) 이후 18년 5개월 만에 가장 높고 아이스크림은 15.2% 오르면서 2009년 4월(26.3%) 이후 14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우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분유도 10.6%로 오름폭이 대폭 확대됐다.

[표] 올해 월별 우유 등 유제품 물가 상승률 추이 (단위: %)
┌────┬────┬────┬────┬────┬─────┬─────┐
│ 월 │ 총지수 │ 우유 │ 분유 │ 발효유 │아이스크림│ 빵 │
├────┼────┼────┼────┼────┼─────┼─────┤
│ 1 │ 5.2 │ 8.6 │ 2.1 │ 12.0 │ 7.9 │ 14.8 │
├────┼────┼────┼────┼────┼─────┼─────┤
│ 2 │ 4.8 │ 8.9 │ 11.6 │ 14.3 │ 13.6 │ 17.7 │
├────┼────┼────┼────┼────┼─────┼─────┤
│ 3 │ 4.2 │ 9.0 │ -0.4 │ 14.4 │ 13.7 │ 10.8 │
├────┼────┼────┼────┼────┼─────┼─────┤
│ 4 │ 3.7 │ 8.9 │ 6.3 │ 11.1 │ 10.5 │ 11.3 │
├────┼────┼────┼────┼────┼─────┼─────┤
│ 5 │ 3.3 │ 9.1 │ 4.8 │ 13.1 │ 5.9 │ 11.5 │
├────┼────┼────┼────┼────┼─────┼─────┤
│ 6 │ 2.7 │ 9.0 │ 4.6 │ 13.7 │ 9.4 │ 11.5 │
├────┼────┼────┼────┼────┼─────┼─────┤
│ 7 │ 2.3 │ 9.3 │ 8.1 │ 13.7 │ 10.7 │ 8.1 │
├────┼────┼────┼────┼────┼─────┼─────┤
│ 8 │ 3.4 │ 9.4 │ 8.4 │ 13.5 │ 14.3 │ 5.9 │
├────┼────┼────┼────┼────┼─────┼─────┤
│ 9 │ 3.7 │ 9.3 │ 7.5 │ 9.0 │ 14.0 │ 5.8 │
├────┼────┼────┼────┼────┼─────┼─────┤
│ 10 │ 3.8 │ 14.3 │ 10.6 │ 14.7 │ 15.2 │ 5.5 │
└────┴────┴────┴────┴────┴─────┴─────┘
(자료=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이처럼 우유 관련 제품의 물가 상승률이 기록적인 수준을 보인 것은 지난달 우유 원유 가격이 인상된 데 따른 것이다.

지난달 유업체들은 원유 가격 인상에 흰우유와 발효유 등의 유제품 가격을 일제히 인상했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은 흰우유 제품 '나100%우유'(1L)의 출고가를 대형할인점 기준으로 3%가량 올렸다.

이에 따라 대형마트에서 나100%우유 가격은 2천900원대로 상승했다.

또 매일유업이 우유 제품 가격을 4∼6% 올리고 발효유·치즈 제품은 6∼9% 상향 조정했으며 남양유업은 흰우유 제품 '맛있는우유GT'(900㎖) 출고가를 4.6% 인상했다.

지난달 우유 물가 상승률 14.3%…금융위기 이후 '최고'
다만, 우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빵의 경우 물가 상승률이 5.5%로 둔화했다.

이는 식품 기업들이 원유 가격 인상에 앞서 지난 7월 빵 가격을 일제히 인하한 결과로 풀이된다.

SPC는 지난 7월부터 순차적으로 식빵류, 크림빵 등 30개 품목의 가격을 평균 5% 인하했고, SPC가 운영하는 파리바게뜨도 식빵과 바게트 등 제품 10종의 가격을 100∼200원 내렸다.

CJ푸드빌이 운영하는 뚜레쥬르 역시 7월부터 단팥빵, 크림빵 등 15종의 제품 가격을 평균 5.2% 인하했다.

이에 따라 빵의 물가 상승률은 6월 11.5%에서 7월 8.1%, 8월 5.9%, 9월 5.8%에 이어 지난달 5.5%로 둔화세를 보였다.

지난달 우유 물가 상승률 14.3%…금융위기 이후 '최고'
라면과 스낵과자는 가격 인하 효과에 물가 상승률이 아예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지난 달 라면 물가 상승률은 -1.5를 보여 2021년 6월(-0.1%) 이후 2년 4개월 만에 처음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라면 물가 상승률은 6월 13.4%에서 7월 10.0%, 8월 10.7%, 9월 7.5%로 둔화세를 보이다가 지난달에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또 스낵과자의 물가 상승률도 6월 10.5%에서 7월 8.1%, 8월 7.7%, 9월 6.4%로 둔화세를 이어갔고 지난달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파이의 물가 상승률도 지난 6월 11.1%에서 지난달 4.1%로 둔화했다.

앞서 정부와 소비자단체 압박에 농심이 7월 신라면과 새우깡 출고가를 4.5%, 6.9% 각각 인하한 것을 비롯해 오뚜기, 삼양식품, 팔도 등 라면 업체들이 제품 가격을 일제히 내렸고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와 해태제과도 스낵과자와 비스킷 등의 가격을 인하했다.

지난달 우유 물가 상승률 14.3%…금융위기 이후 '최고'
최근에는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빙과업체들이 원유 가격 인상을 이유로 과도하게 제품 가격을 올렸다며 아이스크림 가격 인하를 요구하고 나서기도 했다.

협의회는 "빙과업체들이 원재료 함량이나 가격 등과 같은 구체적인 제품 정보를 알 수 없다는 점을 악용해 소비자를 기만했다고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가격 인하를 요구했다.

한 빙과업체 관계자는 "단순히 원유 때문이 아니라 각종 원자재, 포장재, 물류비, 인건비, 전기요금, 가스요금 등 제반 경비가 모두 상승해 가격을 올린 것"이라며 "원유만을 이유로 들어 가격을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강조했다.

[표] 올해 월별 라면·스낵과자 물가 상승률 추이 (단위: %)
┌───────┬─────┬─────┬─────┬─────┬─────┐
│ 월 │ 총지수 │ 라면 │ 비스킷 │ 스낵과자 │ 파이 │
├───────┼─────┼─────┼─────┼─────┼─────┤
│ 1 │ 5.2 │ 12.3 │ 7.6 │ 14.0 │ 12.7 │
├───────┼─────┼─────┼─────┼─────┼─────┤
│ 2 │ 4.8 │ 12.6 │ 7.5 │ 14.2 │ 9.4 │
├───────┼─────┼─────┼─────┼─────┼─────┤
│ 3 │ 4.2 │ 12.3 │ 6.8 │ 11.2 │ 11.0 │
├───────┼─────┼─────┼─────┼─────┼─────┤
│ 4 │ 3.7 │ 12.3 │ 6.3 │ 11.1 │ 9.5 │
├───────┼─────┼─────┼─────┼─────┼─────┤
│ 5 │ 3.3 │ 13.1 │ 4.8 │ 10.5 │ 12.4 │
├───────┼─────┼─────┼─────┼─────┼─────┤
│ 6 │ 2.7 │ 13.4 │ 5.3 │ 10.5 │ 11.1 │
├───────┼─────┼─────┼─────┼─────┼─────┤
│ 7 │ 2.3 │ 10.0 │ 4.2 │ 8.1 │ 11.2 │
├───────┼─────┼─────┼─────┼─────┼─────┤
│ 8 │ 3.4 │ 10.7 │ 3.7 │ 7.7 │ 11.5 │
├───────┼─────┼─────┼─────┼─────┼─────┤
│ 9 │ 3.7 │ 7.5 │ 3.0 │ 6.4 │ 10.1 │
├───────┼─────┼─────┼─────┼─────┼─────┤
│ 10 │ 3.8 │ -1.5 │ 1.9 │ -0.9 │ 4.1 │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