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가 이어지면서 신용점수 1점이 아쉬운 상황이다. 토스, 카카오뱅크 등 핀테크 앱에서 ‘신용점수 올리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소득, 통신료, 공과금 납부내역 등의 정보를 신용평가사에 제공해 점수를 올려주는 서비스다.

신용점수 올리고 싶다면 실수로라도 연체 말아야
하지만 “처음 몇 번은 잘 올라가더니 이젠 아무리 클릭해도 점수가 높아지지 않는다”며 아쉬워하는 사람이 많다. 단순한 정보 제공으로 신용점수를 올리는 데는 한계가 있어 각자 관리 태도를 바꾸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조언이 나온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금융감독원에는 대출 심사의 주요 평가 요소인 신용점수에 관한 민원이 이어지고 있다. 신용점수는 NICE평가정보(NICE)와 코리아크레딧뷰로(KCB) 등 개인신용평가회사(CB)가 개인 신용정보 등을 통계적 방식으로 분석해 1~1000점으로 수치화한 것이다. 향후 1년 내 90일 이상의 장기연체 등 신용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을 평가한다.

“내 점수가 떨어져서 억울하다”는 소비자들의 불만이 이어지자 금감원은 개인들의 신용평가 관리 유의사항을 안내했다. 핵심은 실수로라도 연체가 발생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최근 5년간 연체 이력이 있고 연체 금액이 10만원 이상이라면 5영업일 이내에 상환하더라도 연체정보가 금융권에 공유된다. 각 금융회사가 연체정보를 등록해 전 금융권에 전파되고 CB가 신용평가에 활용하는 것이다.

만약 연체가 불가피하다면 신용회복위원회에 신속채무조정(연체 전 채무조정)을 신청하는 게 좋다. 연체가 예상되거나 연체일이 30일보다 짧다면 신복위에서 상담받을 수 있다. 신속채무조정을 활용하면 이미 등록된 단기 연체정보가 해제돼 신용 회복에 유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고금리 대출을 최소한으로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CB는 개인의 신용점수를 평가할 때 일정 기간의 거래 행태도 분석해 반영한다. 저축은행, 대부업 등에서 고금리 대출을 받으면 신용평점에 부정적 요인이 된다. 이 대출을 상환해도 마찬가지다. 연체 없는 거래가 누적돼 신용평점이 회복되기까지는 최장 3년이 걸린다.

기본적으로 대출을 적게 받는 게 좋다. 신용대출이 아니라 주택담보대출을 받아도 신용평점은 하락한다. 담보가 있더라도 채무 상환에 대한 부담이 차주에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신용점수를 올리기 위해선 CB에 제공할 수 있는 정보를 늘리는 게 유리하다. 신용거래(신용카드 등)를 하지 않았다면 신용거래정보 부족군으로 분류된다. 핀테크의 ‘신용점수 올리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게 좋다. 비금융 성실납부 정보를 제공해 얻은 신용점수 가점 활용 기간은 제출 후 최대 1년인 경우가 많아서다. 다만 카드 할부를 습관적으로 이용하거나 카드대출을 자주 쓰면 점수가 깎인다. KCB와 NICE 점수가 다른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CB가 활용하는 신용정보 범위 및 평가 기준은 저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최한종 기자 onebe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