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마' 했던 공매도 금지 현실로…여의도서 무슨 일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포 서울 편입 이어 또 '초강수' 총선 카드
금융당국 "공매도 내년 상반기 말까지 금지"
금융투자 업계 "증시 대위기 아닌데 굳이…"
일단 시장엔 호재…'숏커버링 수혜주' 주목
금융당국 "공매도 내년 상반기 말까지 금지"
금융투자 업계 "증시 대위기 아닌데 굳이…"
일단 시장엔 호재…'숏커버링 수혜주' 주목
6일 증시 역사상 네 번째로 공매도가 전면 금지됐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표심을 의식한 여당과 정부가 '김포의 서울 편입'에 이어서 개인 투자자 약 1400만명의 숙원인 공매도 한시적 금지까지 실현하기로 한 것이다. 금융투자 업계는 우려와 낙관이 상존하지만 당장 증시에 급한 불은 진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데 입을 모았다.
전날 오후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은 임시금융위원회를 통해 '증권시장 공매도 금지조치안'을 의결했다. 이후 정부 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내년 6월 말까지 증시에 상장된 모든 종목의 공매도를 공매도 전면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코스피와 코스닥, 코넥스 전 종목이 대상이 된다.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것을 예상해 갖고 있지 않은 주식을 빌려서 파는 투자 기법을 뜻한다. 이후 주가가 내려가면 싸게 사서 주식으로 되갚아 이익을 내는 식이다. 공매도 전면 금지는 역대 이번이 네 번째다. 앞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11년 유럽 재정위기, 2020년 코로나19 위기 당시 공매도가 한시적으로 금지됐다. 이후 2021년 5월부터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지수 구성 종목에 한해 공매도를 다시 허용했지만, 다른 중소형주들에 대해선 현재까지도 공매도 금지가 계속 적용되고 있다.
앞서 공매도를 금지했던 시기는 각각 2008년 금융위기, 2011년 유럽 재정위기, 2020년 코로나 팬데믹 때다. 금지 조치로 국내 증시는 하락세를 멈추고 반등 효과를 봤다. 2020년 당시만 봐도 공매도 금지 기간(2020년 3월 16일~2021년 5월 2일) 동안 각각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는 각각 77.7%, 87.7% 상승했다. 패닉셀링(공포에 의한 투매)이 출현할 만큼 위기 상황인 증시에 공매도 금지를 일시적으로 허용하는 건 금융 안정화 차원에서 적절한 조치다. 하지만 앞선 세 차례 시기와 지금의 상황을 견주기에는 상황이 다르다는 지적이 많다. 올 9월 이후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가 각각 7%, 15%대 빠지기는 했지만 금융위기와 팬데믹 수준의 위기 국면인지는 의문이라는 것이다.
한 헤지펀드 운용사 대표는 "위법적인 공매도 관행을 개선해야 하는 것엔 동의하나 지금이 적절한 시기인가에 대해선 의문"이라며 "정치적인 목적에서 정책수단을 이용하게 되면 혼란과 사회적 비용만 키우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지금 시장에 서서히 나타나는 동력(모멘텀)은 미국 금리 동결로 국채 수익률이 급락하면서 만들낸 것"이라며 "원화 환율 급락으로 외국인 수급이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많이 빠진 주식이 반등하는 것인데 공매도 금지의 효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짚었다.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도 "시장이 그늘을 벗어나 막 활기를 되찾는 시기 타이밍 좋게 공매도 금지 조치를 내놓는 건 정책이 아닌 정치에 가까워 보인다. 공매도가 '숏커버링'(공매도한 주식을 되갚기 위하 다시 주식을 사들이는 것)으로 인해 가격을 밀어 올려주는 기능도 있지 않느냐"며 "여러 순기능을 제쳐두고 성급히 결정한 듯해 아쉬움이 크며 오히려 불법 공매도에 대한 처벌이 더 시급해 보인다"고 밝혔다.
시장은 특히 공매도 거래대금 최상위권인 이차전지 종목들의 강한 반등을 점쳤다. 직전 거래일인 지난 3일 기준 유가증권시장에서 포스코퓨처엠과 LG에너지솔루션은 각각 공매도 거래대금 555억원, 434억원을 기록해 공매도 거래 상위 1, 2위에 이름을 올렸다. 코스닥시장에서도 에코프로비엠(737억원), 에코프로(649억원), 엘앤에프(242억원) 등 세 종목이 나란히 3위권을 기록했다. 상반기 과도한 고평가 논란에 더해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수요 둔화가 겹치면서 주가가 조정받자 이차전지주가 공매도의 집중 타깃이 된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들 이차전지주의 반등에 이견이 없었지만 그 연속성을 두고선 말들이 달랐다. 추세적이 아닌 일시적 상승일 것이라는 의견이다. 안형진 빌리언폴드자산운용 대표는 "공매도 금지가 펀더멘털 개선 요소는 아니기 때문에 상승세를 계속 이어가긴 어려운 측면이 있다"면서도 "적어도 이번 주 수일은 꽤 큰 폭으로 상승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공매도 잔고 비중이 큰 종목들도 공매도 금지 수혜 종목들로 묶여 이날 매수세가 크게 몰릴 것으로 예측된다.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이날 기준 공매도 잔고 비율이 높은 종목들로 호텔신라(7.8%), HLB(7.2%), 엘앤에프(6.6%), 에코프로(6.4%), 네패스(6%), 주성엔지니어링(6%), 다원시스(5.9%), 에스티큐브(5.9%) 등이 있다.
증권사 한 지점장은 "공매도가 많이 나왔던 종목들부터 시작해서 벌써부터 '공매도 금지 수혜주 리스트'가 이미 나돌고 있는 만큼 개인들의 매수세도 당분간 바이오와 게임, 이차전지 등 관련 섹터에 몰릴 전망"이라며 "다만 우려되는 것은 기업 펀더멘털 중심의 투자로 시선을 돌리려는 시기에 이런 조치가 단행돼서 호실적 기반의 대형주로 갈 수급이 주춤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선 공매도의 한시적 금지를 무조건 주가 상승으로만 연결짓다간 투자 낭패를 볼 수 있단 우려도 제기됐다. 박세익 체슬리투자자문 전무는 "기업의 주가에 가장 큰 변수는 기업의 내재가치와 금리인데 공매도는 '주가 변동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라며 "공매도가 금지됐다고 해서 무조건 주가가 올라가는 게 아니라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어 "단기적 반등 요인만 될 뿐 논리적인 인과관계가 없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투자 시 이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전날 오후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은 임시금융위원회를 통해 '증권시장 공매도 금지조치안'을 의결했다. 이후 정부 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내년 6월 말까지 증시에 상장된 모든 종목의 공매도를 공매도 전면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코스피와 코스닥, 코넥스 전 종목이 대상이 된다.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것을 예상해 갖고 있지 않은 주식을 빌려서 파는 투자 기법을 뜻한다. 이후 주가가 내려가면 싸게 사서 주식으로 되갚아 이익을 내는 식이다. 공매도 전면 금지는 역대 이번이 네 번째다. 앞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11년 유럽 재정위기, 2020년 코로나19 위기 당시 공매도가 한시적으로 금지됐다. 이후 2021년 5월부터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지수 구성 종목에 한해 공매도를 다시 허용했지만, 다른 중소형주들에 대해선 현재까지도 공매도 금지가 계속 적용되고 있다.
주가 폭락기도 아닌데 왜…당국 '깜짝 발표'에 여의도 술렁
당국의 깜짝 결단에 여의도는 술렁이고 있다. 설마설마하던 일이 현실화하면서 하우스마다 대응책을 찾기에도 분주하다. 이들은 대형자본의 시세조종 교란을 막기 위해선 필요한 조치였단 시각을 내놓는가 하면 공매도의 부작용이 우려되는 증시 폭락기가 아닌데도 굳이 금지조치를 시행할 필요가 있겠냐는 비판도 적지 않다.앞서 공매도를 금지했던 시기는 각각 2008년 금융위기, 2011년 유럽 재정위기, 2020년 코로나 팬데믹 때다. 금지 조치로 국내 증시는 하락세를 멈추고 반등 효과를 봤다. 2020년 당시만 봐도 공매도 금지 기간(2020년 3월 16일~2021년 5월 2일) 동안 각각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는 각각 77.7%, 87.7% 상승했다. 패닉셀링(공포에 의한 투매)이 출현할 만큼 위기 상황인 증시에 공매도 금지를 일시적으로 허용하는 건 금융 안정화 차원에서 적절한 조치다. 하지만 앞선 세 차례 시기와 지금의 상황을 견주기에는 상황이 다르다는 지적이 많다. 올 9월 이후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가 각각 7%, 15%대 빠지기는 했지만 금융위기와 팬데믹 수준의 위기 국면인지는 의문이라는 것이다.
한 헤지펀드 운용사 대표는 "위법적인 공매도 관행을 개선해야 하는 것엔 동의하나 지금이 적절한 시기인가에 대해선 의문"이라며 "정치적인 목적에서 정책수단을 이용하게 되면 혼란과 사회적 비용만 키우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지금 시장에 서서히 나타나는 동력(모멘텀)은 미국 금리 동결로 국채 수익률이 급락하면서 만들낸 것"이라며 "원화 환율 급락으로 외국인 수급이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많이 빠진 주식이 반등하는 것인데 공매도 금지의 효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짚었다.
이경준 혁신IB자산운용 대표도 "시장이 그늘을 벗어나 막 활기를 되찾는 시기 타이밍 좋게 공매도 금지 조치를 내놓는 건 정책이 아닌 정치에 가까워 보인다. 공매도가 '숏커버링'(공매도한 주식을 되갚기 위하 다시 주식을 사들이는 것)으로 인해 가격을 밀어 올려주는 기능도 있지 않느냐"며 "여러 순기능을 제쳐두고 성급히 결정한 듯해 아쉬움이 크며 오히려 불법 공매도에 대한 처벌이 더 시급해 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주 증시 전망 밝다…이차전지주 급등랠리 올 듯
이번 주 증시 흐름에 대해선 대체로 낙관하는 분위기다. 증권가에선 전일 밤부터 이날 아침까지 공매도 잔고비율이 높거나 최근 공매도가 집중됐던 이른바 '숏커버링 수혜주 후보군'을 정리해 공유하고 있다. 공매도 주식이 급등할 경우 공매도 포지션을 잡은 이들은 주가 상승 시 손실을 막고자 숏커버링을 하게 된다. 때문에 공매도 금지 땐 과매도를 막는 효과에 더해 숏커버링으로 인한 매수 쏠림이 주가를 밀어 올리는 효과까지 보게 된다.시장은 특히 공매도 거래대금 최상위권인 이차전지 종목들의 강한 반등을 점쳤다. 직전 거래일인 지난 3일 기준 유가증권시장에서 포스코퓨처엠과 LG에너지솔루션은 각각 공매도 거래대금 555억원, 434억원을 기록해 공매도 거래 상위 1, 2위에 이름을 올렸다. 코스닥시장에서도 에코프로비엠(737억원), 에코프로(649억원), 엘앤에프(242억원) 등 세 종목이 나란히 3위권을 기록했다. 상반기 과도한 고평가 논란에 더해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수요 둔화가 겹치면서 주가가 조정받자 이차전지주가 공매도의 집중 타깃이 된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들 이차전지주의 반등에 이견이 없었지만 그 연속성을 두고선 말들이 달랐다. 추세적이 아닌 일시적 상승일 것이라는 의견이다. 안형진 빌리언폴드자산운용 대표는 "공매도 금지가 펀더멘털 개선 요소는 아니기 때문에 상승세를 계속 이어가긴 어려운 측면이 있다"면서도 "적어도 이번 주 수일은 꽤 큰 폭으로 상승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공매도 잔고 비중이 큰 종목들도 공매도 금지 수혜 종목들로 묶여 이날 매수세가 크게 몰릴 것으로 예측된다.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이날 기준 공매도 잔고 비율이 높은 종목들로 호텔신라(7.8%), HLB(7.2%), 엘앤에프(6.6%), 에코프로(6.4%), 네패스(6%), 주성엔지니어링(6%), 다원시스(5.9%), 에스티큐브(5.9%) 등이 있다.
증권사 한 지점장은 "공매도가 많이 나왔던 종목들부터 시작해서 벌써부터 '공매도 금지 수혜주 리스트'가 이미 나돌고 있는 만큼 개인들의 매수세도 당분간 바이오와 게임, 이차전지 등 관련 섹터에 몰릴 전망"이라며 "다만 우려되는 것은 기업 펀더멘털 중심의 투자로 시선을 돌리려는 시기에 이런 조치가 단행돼서 호실적 기반의 대형주로 갈 수급이 주춤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선 공매도의 한시적 금지를 무조건 주가 상승으로만 연결짓다간 투자 낭패를 볼 수 있단 우려도 제기됐다. 박세익 체슬리투자자문 전무는 "기업의 주가에 가장 큰 변수는 기업의 내재가치와 금리인데 공매도는 '주가 변동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라며 "공매도가 금지됐다고 해서 무조건 주가가 올라가는 게 아니라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어 "단기적 반등 요인만 될 뿐 논리적인 인과관계가 없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투자 시 이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