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휴머노이드 로봇 CEO 미카.  사진=딕타도르 홈페이지
AI 휴머노이드 로봇 CEO 미카. 사진=딕타도르 홈페이지
미국과 유럽 등에서 인공지능(AI)에 대한 오용과 부작용 방지를 위한 정부 규제 움직임이 활발해지는 가운데 최근 세계 최초 AI 최고경영자(CEO)로 임명된 ‘미카’가 재조명받고 있다. 폴란드 주류기업 딕타도르가 지난 9월 임명한 AI 휴머노이드 로봇은 데이터 분석을 통한 기업의 주요 의사결정을 하고 있다. 일각에선 AI 로봇이 사람의 일자리를 대체하면서 사회 갈등 등의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폭스비즈니스는 5일(현지시간) ‘미카, 세계 최초 AI 휴머노이드 로봇 CEO가 되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다. 딕타도르가 지난 9월 CEO로 임명한 AI 탑재 로봇 ‘미카’의 역할과 이와 관련한 사회 반응을 살펴봤다. 미카는 팀 회의 진행, 잠재 고객 목록 확인, 이사회에 데이터 분석을 기반한 합리적인 결정 제공 등을 하고 있다. 미카 CEO는 임명 당시 “로봇 CEO로서 주말 없이 연중무휴로 24시간 일한다”며 “AI 마법을 불러일으킬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마렉 졸드로브스키 딕타도르 회장은 “단순 홍보용으로 미카를 임명한 게 아니라 실제 회사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다”며 “의사결정 시 회사의 전략적 목표에 따라 광범위한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다”고 설명했다. 개인적 편견이 없고 조직의 최대 이익을 우선시하는 공정하고 전략적인 선택을 한다는 것이다. 마렉 회장은 AI가 사람을 고용하거나 해고할 우려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인사 관련 결정은 사람들로 구성된 경영진이 한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AI를 탑재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등장이 향후 5~10년 이내에 기업의 업무처리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AI의 확산이 기회이자 위협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미카와 같은 AI 로봇이 인력 시장을 장악할 것에 대한 우려하는 시각이 있다. 세계경제포럼(WEF)은 AI 기술로 인해 2027년까지 일자리 1400만 개가 사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골드만삭스는 AI로 인해 기업과 사람의 생산성이 많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전 세계 기업의 절반이 AI 인력을 도입하면 글로벌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향후 10년 동안 7% 증가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실리콘밸리=최진석 특파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