첩의 딸이 무슨 죄? 잊혀진 '조선의 아니 에르노' 김명순을 깨우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연극 '의붓자식' 연출한 윤사비나 인터뷰
나혜석 김원주와 함께 근대 대표하는 여성 문인
기생 출신 첩의 딸이자 강간사건으로 저평가된 인물
희곡 '의붓자식' 아르코예술극장 무대서 부활
"소설 '탄실이와 주영이' 등 그의 인생 연구 매진할 것"
나혜석 김원주와 함께 근대 대표하는 여성 문인
기생 출신 첩의 딸이자 강간사건으로 저평가된 인물
희곡 '의붓자식' 아르코예술극장 무대서 부활
"소설 '탄실이와 주영이' 등 그의 인생 연구 매진할 것"
"근대 최초로 등단한 여성 극작가임에도 불구하고 역사에서 지워진 김명순의 작품과 그의 인생을 기록하고 싶습니다."
지난 3~5일 서울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공연한 연극 '의붓자식'을 연출한 윤사비나(사진)의 말이다. '의붓자식'은 100년 전인 1923년 작가 김명순(1896~1951)이 쓴 동명의 희곡을 무대화한 작품이다. 사흘 간의 공연이 끝난 뒤 참신한 연출과 깊이 있는 서사 등으로 호평을 받았다. 종로문화재단이 주최·주관하는 제6회 '종로문화다양성연극제' 선정작 중 하나다.
김명순은 작가 나혜석·김원주 등과 함께 대표적인 근대 초기 여성 문인으로 꼽히는 작가다. '매일신보'의 사회부 기자로 입사한 조선 세번째 여성 기자 등 화려한 이력을 가졌지만, 기생 출신 첩의 딸이라는 꼬리표와 일본 유학 중 겪은 강간사건 등으로 문단에서 제대로 조명받지 못했다. 윤사비나는 2019년부터 지난 4년 간 김명순을 기록하는 데 '올인'했다. '의붓자식'을 비롯해 김명순의 또 다른 희곡 '두 애인' 원작을 현대적으로 의역하는 작업부터 시작했다. 2020년 남산예술센터 '서치라이트'를 시작으로 한국연극 100주년 기념공연 '언도큐멘타', 2021년 '인터랙티브 시어터' 등 다양한 형태로 작가 김명순과 그의 희곡을 알리기 위한 시도를 이어갔다. 최근 TV 드라마 등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배우 옥자연도 남산예술센터 공연에서부터 함께 무대에 선 인연으로 이번 작품에 출연했다.
"김명순의 작품은 마치 노벨문학상 수상자 아니 에르노의 작품처럼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글쓰기를 통해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김명순이란 중요한 작가의 희곡이 무대화됐다는 기록을 역사에 남기겠다는 일종의 소명감을 갖고 작품을 만들었어요."
이번 작품은 김명순이 쓴 원작 희곡에 그의 수필과 시, 역사적 기록 등을 참고해 드라마를 완성했다. 작품에 등장하는 의붓자매 성실·부실·탄실 등 세 자매 각각의 모습엔 모두 작가 김명순의 모습이 투영돼 있다. 한 가정 내에서 일어나는 내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루기 때문에 무대 위로 객석을 올려 관객들이 무대를 둘러싸고 앉게 만들었다. "원래 객석이 600석 정도 되는 큰극장인데, 일부러 원래 있던 객석을 텅 비우고 무대 위에 의자를 100개 정도 두는 식으로 관객들의 자리를 마련했어요. 관객이 제3자로서 김명순의 이야기를 '관찰'하는 게 아니라, 그의 인생을 같이 '체험'하도록 만들고 싶어서요."
소수자의 외침도 사회에서 하나의 목소리로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았다. 윤사비나는 "이 작품은 여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지만, 담고 있는 메시지는 여성을 넘어서 전체 소수자에게 적용될 수 있다"며 "사회적 약자라는 이유 때문에 한 개인의 꿈과 열정이 무시돼선 안된다는 메시지가 전달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윤사비나는 당분간 '김명순 기록 작업'을 이어나가겠다고 했다. "김명순이 쓴 소설 '탄실이와 주영이'와 그의 인생을 좀더 연구해서, 그의 삶 전체를 다루는 이야기를 써보고 싶습니다. 장르에 관계없이 김명순의 인생을 오롯이 담아내고 싶어요."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
지난 3~5일 서울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공연한 연극 '의붓자식'을 연출한 윤사비나(사진)의 말이다. '의붓자식'은 100년 전인 1923년 작가 김명순(1896~1951)이 쓴 동명의 희곡을 무대화한 작품이다. 사흘 간의 공연이 끝난 뒤 참신한 연출과 깊이 있는 서사 등으로 호평을 받았다. 종로문화재단이 주최·주관하는 제6회 '종로문화다양성연극제' 선정작 중 하나다.
김명순은 작가 나혜석·김원주 등과 함께 대표적인 근대 초기 여성 문인으로 꼽히는 작가다. '매일신보'의 사회부 기자로 입사한 조선 세번째 여성 기자 등 화려한 이력을 가졌지만, 기생 출신 첩의 딸이라는 꼬리표와 일본 유학 중 겪은 강간사건 등으로 문단에서 제대로 조명받지 못했다. 윤사비나는 2019년부터 지난 4년 간 김명순을 기록하는 데 '올인'했다. '의붓자식'을 비롯해 김명순의 또 다른 희곡 '두 애인' 원작을 현대적으로 의역하는 작업부터 시작했다. 2020년 남산예술센터 '서치라이트'를 시작으로 한국연극 100주년 기념공연 '언도큐멘타', 2021년 '인터랙티브 시어터' 등 다양한 형태로 작가 김명순과 그의 희곡을 알리기 위한 시도를 이어갔다. 최근 TV 드라마 등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배우 옥자연도 남산예술센터 공연에서부터 함께 무대에 선 인연으로 이번 작품에 출연했다.
"김명순의 작품은 마치 노벨문학상 수상자 아니 에르노의 작품처럼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글쓰기를 통해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김명순이란 중요한 작가의 희곡이 무대화됐다는 기록을 역사에 남기겠다는 일종의 소명감을 갖고 작품을 만들었어요."
이번 작품은 김명순이 쓴 원작 희곡에 그의 수필과 시, 역사적 기록 등을 참고해 드라마를 완성했다. 작품에 등장하는 의붓자매 성실·부실·탄실 등 세 자매 각각의 모습엔 모두 작가 김명순의 모습이 투영돼 있다. 한 가정 내에서 일어나는 내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루기 때문에 무대 위로 객석을 올려 관객들이 무대를 둘러싸고 앉게 만들었다. "원래 객석이 600석 정도 되는 큰극장인데, 일부러 원래 있던 객석을 텅 비우고 무대 위에 의자를 100개 정도 두는 식으로 관객들의 자리를 마련했어요. 관객이 제3자로서 김명순의 이야기를 '관찰'하는 게 아니라, 그의 인생을 같이 '체험'하도록 만들고 싶어서요."
소수자의 외침도 사회에서 하나의 목소리로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았다. 윤사비나는 "이 작품은 여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지만, 담고 있는 메시지는 여성을 넘어서 전체 소수자에게 적용될 수 있다"며 "사회적 약자라는 이유 때문에 한 개인의 꿈과 열정이 무시돼선 안된다는 메시지가 전달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윤사비나는 당분간 '김명순 기록 작업'을 이어나가겠다고 했다. "김명순이 쓴 소설 '탄실이와 주영이'와 그의 인생을 좀더 연구해서, 그의 삶 전체를 다루는 이야기를 써보고 싶습니다. 장르에 관계없이 김명순의 인생을 오롯이 담아내고 싶어요."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