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고래' 남편에게 유산 남기고 싶지 않아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0대 여성, 이혼 소송 준비 중 큰 병 진단
"남은 시간 얼마 없어…평생 모은 재산 어떻게…"
"남은 시간 얼마 없어…평생 모은 재산 어떻게…"

6일 YTN 라디오 '조인섭 변호사의 상담소'에는 이 같은 이유로 이혼 소송 절차를 밟는 과정에서 자신이 사망한다면 재산을 남편이 아닌 친정 부모가 상속할 방법이 없을지를 묻는 A씨의 사연이 공개됐다.
하지만 A씨의 남편은 결혼 후 금주하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았고 주사 또한 심해졌다. A씨는 "20년이 넘는 결혼생활 동안 남편의 음주와 주사 때문에 너무나도 큰 고통을 받았다"며 "내 나이도 곧 예순을 바라보고 있다. 하루하루 나이를 먹어가고 체력이 달리다 보니, 남편을 견디기 힘들어졌다"고 털어놨다.
이어 "고민 끝에 나는 남편과 이혼하기로 했다. 다행히 아이들도 나를 지지해줬다"면서도 "그런데 남편은 이혼만은 절대 안 된다고 했고, 어쩔 수 없이 이혼 소송을 알아보던 중, 최근 병원에서 큰 병을 진단받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사연을 접한 박경내 법무법인 신세계로 변호사는 "A씨의 경우 아직 이혼 절차를 진행하고 있진 않으나, 남편이 협의이혼을 거부하고 있어 이혼을 위해서는 이혼소송을 제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혼 청구권은 신분상의 권리이기 때문에, 이혼 판결이 확정되기 전에 당사자가 사망할 경우 이혼이 성립될 수 없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A씨의 재산은 원칙적으로 자녀와 배우자에게 상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만약 A씨가 부모님에게 재산을 드리고자 하는 상황이라면 생전에 적법한 절차를 통해 증여하거나, 유증하는 게 좋겠다"고 조언했다.
이와 관련, 박 변호사는 "A씨가 이혼소송을 청구해 배우자와 이혼하면서 미성년자인 자녀의 친권자 및 양육자로 지정된 이후에 사망하게 된다면, A씨의 배우자는 친권자 지정 청구를 할 수 있다"며 "만약 배우자가 이러한 청구를 하지 않을 경우 자녀 본인, 또는 A씨 부모님과 같은 친족이 미성년후견인 선임 청구를 할 수 있고, 배우자가 친권자 지정 청구를 한 경우에도 이러한 청구가 자녀들의 의사와 복리에 부합하지 않다는 점을 주장 및 입증해 A씨의 부모님을 자녀의 미성년후견인으로 지정받기를 구할 수 있겠다"고 설명했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