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은 17일 삼성증권에 대해 "주주환원율 상단이 올라간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5만9000원에서 6만5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이 증권사 백두산 연구원은 "주주환원 정책이 의미 있게 진전된 점이 긍정적"이라며 "과거 점진적으로 상향되던 배당성향은 대외 변수로 2020년부터 최근까지 35~39% 사이에서 정체된 바 있다"고 분석했다.이어 "다만 이번 중장기 주주환원율 목표를 50%로 제시함으로써 주주환원 밴드 상단이 열린 점을 주목한다"며 "비록 북(book·자금운용한도)을 활용한 기업금융(IB) 사업 확대 등으로 자기자본 확대 필요성이 존재하지만, 중장기적으로 보면 배당성향 제고를 통해 배당수익률 매력이 개선될 점은 명확하다"고 설명했다.이에 따라 한국투자증권은 삼성증권의 올해 예상 배당수익률을 7%대로 제시했다.다만 삼성증권은 지난해 4분기 실적에선 시장의 기대를 충족하지 못했다. 삼성증권의 지난해 4분기 지배주주 순이익은 1477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인 1550억원을 소폭 밑돌았다. 운용손익이 부진하고 판관비가 확대된 영향이다.고정삼 한경닷컴 기자 jsk@hankyung.com
※한경 마켓PRO 텔레그램을 구독하시면 프리미엄 투자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텔레그램에서 ‘마켓PRO’를 검색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딥시크로 30% 넘게 올랐지만차단 움직임에 8%가량 내려의료 영상 판독문 시장 주목올해 의료AI 매출 확대 전망딥시크 관련주로 불리는 딥노이드가 상승세를 멈추고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단기간 주가가 급등한 데다가 개인정보 유출 우려로 딥시크를 차단하는 움직임이 일면서 투자심리 위축으로 이어지면서다.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딥노이드는 지난 14일 3.24% 내린 7470원에 거래를 마쳤다. 딥시크 관련주로 불리며 이달 들어 30% 넘게 오르던 주가는 최근 이틀 연속 조정을 받으며 8%가량 하락했다. 의료영상 AI 판독 기술을 보유한 딥노이드는 이달 초 딥시크를 활용해 의료 AI 플랫폼을 선보이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딥노이드는 지난해 매출액 108억원, 영업손실 10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468% 늘었고, 영업손실은 40억원가량 더 확대됐다. 딥노이드는 2021년 기술특례로 상장한 코스닥 상장사다. 당시 산업용과 의료 AI 시장이 본격화되지 않은 만큼 일정 기간 적자는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최근 시장에선 딥시크를 통해 저비용 AI 모델의 실현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자체 생성형 AI 모델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주목받는다. 특히 의료 AI 분야에서 딥노이드가 유의미한 자체 AI
예비부부들이 결혼 준비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이용하는 서비스인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이에 따라 스드메 서비스를 묶어서 제공하는 결혼준비대행업체들이 등장해 결혼서비스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문제는 예비부부가 개별 스드메 서비스 가격이 얼마인지 잘 모르는 상태에서 소위 '깜깜이 계약'을 맺고 있고, 필수적인 항목 또한 '옵션'이라는 형태로 만만치 않은 액수의 추가 요금을 내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에 공정거래위원회는 18개 결혼준비대행업체의 이용약관을 심사해 필수적인 서비스 요금을 따로 받도록 구성한 조항과 추가금과 위약금 기준을 불명확하게 표시한 조항 등 6개 유형의 불공정 약관조항을 시정함으로써, 결혼준비대행업체의 스드메 갑질에 제동을 걸었습니다.사진파일 구입비·드레스 피팅비 등 별도 항목서 제외…기본 제공 서비스에 포함결혼준비대행업체들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패키지 서비스에는 서비스 자체 정도만 포함되도록 하고, 별도로 2~30개의 옵션을 두어 이에 대해 추가 요금을 내도록 하는 이원화된 요금체계를 두고 있는데요.하지만 옵션 중 일부 사진파일(원본·수정본) 구입비, 드레스 피팅비, 메이크업 스타트비는 기본 스드메 서비스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돼 있거나 불가분의 관계에 있어 사실상 필수적인 서비스임에도 예비부부에게 별도의 비용을 청구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었습니다.이에 결혼준비대행업체들은 이러한 옵션이 필수적인 항목이 맞다고 인정하면서도 가격이 낮아 보이는 효과로 예비부부를 유인하기 위해 요금을 이원화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은 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