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던 집 안 팔려"…이달 입주 전망 '흐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입주전망지수 19.5포인트 '뚝'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72.9
석달 연속 뛰던 서울 하락 반전
집들이 물량 많은데 거래 가뭄
10월 수도권 입주율 소폭↓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72.9
석달 연속 뛰던 서울 하락 반전
집들이 물량 많은데 거래 가뭄
10월 수도권 입주율 소폭↓
이달 전국 아파트 입주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주택 사업자 비율이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거래 부진 속에 기존 집을 팔아 잔금을 치르는 데 어려움을 겪는 아파트 계약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달 준공 물량이 쏟아질 예정인 것도 부담이다. 입주 경기 악화에 따라 계약 취소 물량이 증가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입주율(2~3개월의 입주 지정 기간에 자금을 완납한 가구 비중)이 낮아지면 건설사의 유동성 위기가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제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지수가 하락했다. 7월 94.4에서 지난달 109.0까지 석 달 연속 상승세를 탄 서울은 이달 83.3으로 25.7포인트 떨어졌다. 경기도도 지난달 109.6에서 이달 76.4로 대폭 내려앉으며 기준선인 100을 밑돌았다. 지방(90.0→71.4)도 부정 전망이 더 커졌다. 지난달 108.3에서 이달 72.7로 35.6포인트 떨어진 세종의 낙폭이 가장 컸다.
입주 전망 악화를 점치는 목소리가 높은 건 이달 집들이 물량 자체가 많은 게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에 따르면 이달 전국 입주 예정 물량은 3만4003가구로 6월(3만7314가구) 후 가장 많다. 서울(6702가구), 부산(5265가구), 경북(4054가구)은 월간 기준 올 들어 최다 물량이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대출금리 상승과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판매 중단, 급매 소진 등의 여파로 매수심리가 꺾이면서 기존 주택 매각이 제때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커졌다.
수도권은 지난달에도 입주율이 하락했다. 9월 81.5%에서 지난달 80.7%로 떨어졌다. 서울(85.4%→82.2%)의 낙폭이 두드러졌다.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매물은 이날 25만6557건으로 두 달 전(23만2580건)보다 10% 증가하는 등 매물이 쌓이고 있다. 매도자와 매수자의 눈치싸움 속에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두 달 연속 감소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이 지난달 아파트 계약자의 미입주 사유를 조사한 결과 ‘기존 주택매각 지연’(36.2%→41.7%)과 ‘분양권 매도 지연’(10.6%→14.6%)이란 답변 비율이 상승했다.
노희순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전 입주 지연 사유인 잔금대출, 세입자 미확보 대신 주택 매각 지연이 늘어난 게 눈에 띈다”며 “사업자 입장에선 미분양이나 계약 취소 우려가 커진 셈”이라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입주율 하락은 건설사의 자금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
이달 준공 물량이 쏟아질 예정인 것도 부담이다. 입주 경기 악화에 따라 계약 취소 물량이 증가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입주율(2~3개월의 입주 지정 기간에 자금을 완납한 가구 비중)이 낮아지면 건설사의 유동성 위기가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전국 입주전망지수, 72.9로 집계
8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이달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지난달(92.4)보다 19.5포인트 급락한 72.9로 조사됐다. 지난 2월(72.1) 후 최저치다. 상반기(1~6월) 월평균 수치(77.9)보다 낮다. 입주전망지수는 주택업체 모임인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지수화한 값이다. 이 지수가 100을 넘으면 실입주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는 뜻이다.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제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지수가 하락했다. 7월 94.4에서 지난달 109.0까지 석 달 연속 상승세를 탄 서울은 이달 83.3으로 25.7포인트 떨어졌다. 경기도도 지난달 109.6에서 이달 76.4로 대폭 내려앉으며 기준선인 100을 밑돌았다. 지방(90.0→71.4)도 부정 전망이 더 커졌다. 지난달 108.3에서 이달 72.7로 35.6포인트 떨어진 세종의 낙폭이 가장 컸다.
입주 전망 악화를 점치는 목소리가 높은 건 이달 집들이 물량 자체가 많은 게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에 따르면 이달 전국 입주 예정 물량은 3만4003가구로 6월(3만7314가구) 후 가장 많다. 서울(6702가구), 부산(5265가구), 경북(4054가구)은 월간 기준 올 들어 최다 물량이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대출금리 상승과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판매 중단, 급매 소진 등의 여파로 매수심리가 꺾이면서 기존 주택 매각이 제때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커졌다.
○입주율 하락에 자금난 우려도
지난달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소폭 개선됐다. 9월 65.1%에서 지난달 70.9%로 5.8%포인트 상승했다. 대형 건설사 아파트를 중심으로 광주·전라권의 입주율이 62.9%에서 74.3%로 11.4%포인트 뛰는 등 지방 입주율이 61.6%에서 68.8%로 개선된 영향이 컸다. 하지만 거래 가뭄과 매물 적체 현상이 이어져 지방에서 입주율이 하락하는 흐름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수도권은 지난달에도 입주율이 하락했다. 9월 81.5%에서 지난달 80.7%로 떨어졌다. 서울(85.4%→82.2%)의 낙폭이 두드러졌다.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매물은 이날 25만6557건으로 두 달 전(23만2580건)보다 10% 증가하는 등 매물이 쌓이고 있다. 매도자와 매수자의 눈치싸움 속에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두 달 연속 감소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이 지난달 아파트 계약자의 미입주 사유를 조사한 결과 ‘기존 주택매각 지연’(36.2%→41.7%)과 ‘분양권 매도 지연’(10.6%→14.6%)이란 답변 비율이 상승했다.
노희순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전 입주 지연 사유인 잔금대출, 세입자 미확보 대신 주택 매각 지연이 늘어난 게 눈에 띈다”며 “사업자 입장에선 미분양이나 계약 취소 우려가 커진 셈”이라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입주율 하락은 건설사의 자금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