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으로, 풀로 물들여 한없이 '자연'스럽기에…더없이 고운 한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예 완상
'백의민족' 별칭만큼 흰옷 즐겼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재료 본연의 소색'
색 빠지면서 고유의 청아한 느낌 줘
형언 못할만큼 다채로운 질감인 것도
'자연에서 얻어' 지은 옷감이기 때문
'백의민족' 별칭만큼 흰옷 즐겼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재료 본연의 소색'
색 빠지면서 고유의 청아한 느낌 줘
형언 못할만큼 다채로운 질감인 것도
'자연에서 얻어' 지은 옷감이기 때문
한복은 우리 옷이다. 우리 옷이란 우리나라 기후와 산하 지형 특성, 나아가 그에 적응해온 사람들이 지닌 정서와 미감에 맞는 옷이라는 뜻이다.
시대별로 한복의 외형은 변했지만 한복에는 선인들이 가졌던 시대, 경제, 문화를 아우르는 미에 대한 안목과 감각이 집약된 조형미가 있다. 한복의 특징으로 꼽는 단정한 직선, 부드러운 곡선, 겹쳐 입되 부하지 않은 형태와 구조의 아름다움, 나아가 입는 사람을 우선해 생각하는 타자성은 한복뿐 아니라 우리의 건축, 조경, 공예품에서도 두루 볼 수 있는 공통점이다.
굳이 우리 옷이라고 강조하지 않아도 한복은 아름답다. 어릴 적 할머니는 혼사 등 중요한 일로 나들이할 때면 전날 자신의 치마, 저고리를 꺼내 손질한 뒤 안방 벽에 걸어두셨다. 우윳빛 신부 면사포 같던 단속곳과 적삼 그리고 광택이 나는 양단 저고리, 치마 모두 어찌나 고급스럽고 매혹적이던지 방문턱에 앉아 어른 눈치 보며 한복에 다가가 겉을 손끝으로 한번 훑어볼까 말까 망설이던 기억이 난다. 여름 출타할 때마다 할아버지가 등나무 토시 소매에 끼고 즐겨 입으시던 소색(消色) 세모시 두루마기는 어찌 그리 잠자리 고운 날개처럼 가볍고 움직일 때마다 살랑살랑하던지.
한복은 옷걸이에 걸어뒀을 때보다 사람이 입었을 때 자태가 살아나는 옷이다. 한복을 제대로 입으려면 손이 많이 간다. 잣물로 풀 먹이고, 새하얀 동정을 고쳐 달고, 고름을 맨 뒤 겨드랑이와 어깨선이 제자리에 오도록 매 다듬어 한복 선을 다잡아 입는다. 한복은 얇은 옷을 여러 겹 덧입어 형태와 부피, 멋을 낸다. 단순히 같은 형태를 여러 겹 입는다면 옷매무새가 둔탁해지고 입는 사람도 불편함을 느낄 것이다. 하지만 한복을 입은 사람마다 생각보다 허리, 가슴 옥죄는 곳 없이 편안하다고 입 모아 이야기한다. 억지로 단단한 지지대를 몸에 매고 옥죄어 인위적인 부피감과 잘록한 선을 만드는 서양 복식과 가장 다른 지점이다.
한복 짓는 이의 아이디어와 솜씨, 사람 몸과 움직임을 읽는 감각 덕분에 한복을 입는 사람은 불편함을 잊는다. 몸을 타고 흐르는 이지한 직선, 유연한 곡선을 아우르며 넉넉한 품과 움직임의 여유를 즐길 수 있다. 어깨선을 고쳐 달아 옷 폭과 길이를 달리할 여지가 있고 살이 찌거나 세월이 흘러 체형과 유행이 변해도 넉넉한 치마폭을 줄이거나 늘려 입을 수 있다. 한복은 포용과 변용의 폭이 크다.
한복 맵시는 형태만큼이나 색과 질감이 중요하다. 명나라 사신과 서양 사람들의 기록에는 ‘조선 사람들은 모두 흰옷을 입는다’는 내용이 있다. 일본 민예운동가 야나기 무네요시 역시 한국민을 ‘백(白)의 민족’이라고 했다. 하지만 실제 한복의 색, 질감은 다채롭다. 우리 색은 무미건조한 백색이 아니라 재료의 본색에서 얻은 소색이 기본이다. 원색이라도 원색 기준 색상과 명도가 1~2도씩 낮다. 중간색은 차분하고 세련된 느낌을 준다. 한복에서 노랑은 치자로 물들여 얻고, 빨간색과 분홍색은 앵두나 홍화, 진달래에서 얻는다. 초록은 황련으로, 보라색과 파란색은 쪽에서, 갈색은 설익은 감에서 얻어 염(染)한다. 식물염은 색이 점점 빠지며 경박함과 화려함이 사라지고 청아함과 편안함이 남는다. 섬유 역시 자연에서 얻어 직조한 것이므로 정제되지 않은 다채로운 질감이 있다. 한복에 형언하기 어려운 색이 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다.
요즘은 편리함과 실용을 앞세워 서양 의복을 일상복으로 삼기에 특별한 날에나 한복을 입는다. 수년간 한복을 일상복으로 회복하기 위해 정부가 한복주간을 정하고 개량한복, 한복을 응용한 교복, 단체복 등의 아이디어를 내 상용화·대중화에 노력했다. 그런데도 제대로 제작된 한복을 보기도, 한복을 갖춰 입은 이를 보기도 어렵다. 이러다 멋들어진, 제대로 된 우리 한복은 박물관에나 가야 볼 수 있을 것이라는 볼멘소리도 들린다. 그러나 한복 현대화·대중화를 현대 디자인의 관점에서 시도하는 이들은 도대체 우리 전통 한복의 기준을 어디에 둬야 하는지 묻기도 한다. 새로운 한복을 짓기 위해 옛 한복의 외형과 방법, 재료를 복원하고 연구하는 일은 중요하다. 그러나 한복의 미는 보이는 것, 유물과 글에 있지 않다. 직선과 유연한 곡선을 아우르며 조화로운 미를 구현하고, 화학 염료의 경박함보다는 전통 식물 염료의 자연성을 추구하며, 인간에게 이로움을 우선해온 것이 우리 옷의 본색(本色)이다.
홍지수 미술평론가·큐레이터
시대별로 한복의 외형은 변했지만 한복에는 선인들이 가졌던 시대, 경제, 문화를 아우르는 미에 대한 안목과 감각이 집약된 조형미가 있다. 한복의 특징으로 꼽는 단정한 직선, 부드러운 곡선, 겹쳐 입되 부하지 않은 형태와 구조의 아름다움, 나아가 입는 사람을 우선해 생각하는 타자성은 한복뿐 아니라 우리의 건축, 조경, 공예품에서도 두루 볼 수 있는 공통점이다.
굳이 우리 옷이라고 강조하지 않아도 한복은 아름답다. 어릴 적 할머니는 혼사 등 중요한 일로 나들이할 때면 전날 자신의 치마, 저고리를 꺼내 손질한 뒤 안방 벽에 걸어두셨다. 우윳빛 신부 면사포 같던 단속곳과 적삼 그리고 광택이 나는 양단 저고리, 치마 모두 어찌나 고급스럽고 매혹적이던지 방문턱에 앉아 어른 눈치 보며 한복에 다가가 겉을 손끝으로 한번 훑어볼까 말까 망설이던 기억이 난다. 여름 출타할 때마다 할아버지가 등나무 토시 소매에 끼고 즐겨 입으시던 소색(消色) 세모시 두루마기는 어찌 그리 잠자리 고운 날개처럼 가볍고 움직일 때마다 살랑살랑하던지.
한복은 옷걸이에 걸어뒀을 때보다 사람이 입었을 때 자태가 살아나는 옷이다. 한복을 제대로 입으려면 손이 많이 간다. 잣물로 풀 먹이고, 새하얀 동정을 고쳐 달고, 고름을 맨 뒤 겨드랑이와 어깨선이 제자리에 오도록 매 다듬어 한복 선을 다잡아 입는다. 한복은 얇은 옷을 여러 겹 덧입어 형태와 부피, 멋을 낸다. 단순히 같은 형태를 여러 겹 입는다면 옷매무새가 둔탁해지고 입는 사람도 불편함을 느낄 것이다. 하지만 한복을 입은 사람마다 생각보다 허리, 가슴 옥죄는 곳 없이 편안하다고 입 모아 이야기한다. 억지로 단단한 지지대를 몸에 매고 옥죄어 인위적인 부피감과 잘록한 선을 만드는 서양 복식과 가장 다른 지점이다.
한복 짓는 이의 아이디어와 솜씨, 사람 몸과 움직임을 읽는 감각 덕분에 한복을 입는 사람은 불편함을 잊는다. 몸을 타고 흐르는 이지한 직선, 유연한 곡선을 아우르며 넉넉한 품과 움직임의 여유를 즐길 수 있다. 어깨선을 고쳐 달아 옷 폭과 길이를 달리할 여지가 있고 살이 찌거나 세월이 흘러 체형과 유행이 변해도 넉넉한 치마폭을 줄이거나 늘려 입을 수 있다. 한복은 포용과 변용의 폭이 크다.
한복 맵시는 형태만큼이나 색과 질감이 중요하다. 명나라 사신과 서양 사람들의 기록에는 ‘조선 사람들은 모두 흰옷을 입는다’는 내용이 있다. 일본 민예운동가 야나기 무네요시 역시 한국민을 ‘백(白)의 민족’이라고 했다. 하지만 실제 한복의 색, 질감은 다채롭다. 우리 색은 무미건조한 백색이 아니라 재료의 본색에서 얻은 소색이 기본이다. 원색이라도 원색 기준 색상과 명도가 1~2도씩 낮다. 중간색은 차분하고 세련된 느낌을 준다. 한복에서 노랑은 치자로 물들여 얻고, 빨간색과 분홍색은 앵두나 홍화, 진달래에서 얻는다. 초록은 황련으로, 보라색과 파란색은 쪽에서, 갈색은 설익은 감에서 얻어 염(染)한다. 식물염은 색이 점점 빠지며 경박함과 화려함이 사라지고 청아함과 편안함이 남는다. 섬유 역시 자연에서 얻어 직조한 것이므로 정제되지 않은 다채로운 질감이 있다. 한복에 형언하기 어려운 색이 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다.
요즘은 편리함과 실용을 앞세워 서양 의복을 일상복으로 삼기에 특별한 날에나 한복을 입는다. 수년간 한복을 일상복으로 회복하기 위해 정부가 한복주간을 정하고 개량한복, 한복을 응용한 교복, 단체복 등의 아이디어를 내 상용화·대중화에 노력했다. 그런데도 제대로 제작된 한복을 보기도, 한복을 갖춰 입은 이를 보기도 어렵다. 이러다 멋들어진, 제대로 된 우리 한복은 박물관에나 가야 볼 수 있을 것이라는 볼멘소리도 들린다. 그러나 한복 현대화·대중화를 현대 디자인의 관점에서 시도하는 이들은 도대체 우리 전통 한복의 기준을 어디에 둬야 하는지 묻기도 한다. 새로운 한복을 짓기 위해 옛 한복의 외형과 방법, 재료를 복원하고 연구하는 일은 중요하다. 그러나 한복의 미는 보이는 것, 유물과 글에 있지 않다. 직선과 유연한 곡선을 아우르며 조화로운 미를 구현하고, 화학 염료의 경박함보다는 전통 식물 염료의 자연성을 추구하며, 인간에게 이로움을 우선해온 것이 우리 옷의 본색(本色)이다.
홍지수 미술평론가·큐레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