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의 봄' 선물한 RCO…'소리의 조향사'와 브론프만 환상적 만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RCO 내한 공연
오베른 서곡부터 노래하듯 연주
백발 피아니스트 예핌 브론프만
리스트 협주곡서 여전한 테크닉
느린 템포의 차이콥스키 교향곡
섬세했던 관악·강렬했던 현악
카리스마와 조화 동시에 펼쳐내
오베른 서곡부터 노래하듯 연주
백발 피아니스트 예핌 브론프만
리스트 협주곡서 여전한 테크닉
느린 템포의 차이콥스키 교향곡
섬세했던 관악·강렬했던 현악
카리스마와 조화 동시에 펼쳐내
따스한 광채와 투명성, 그리고 뛰어난 연주 기교.
올해로 창단 135주년을 맞이한 로열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RCO)가 자부하는 미덕이다. 1895년부터 50년 동안 이 악단의 상임 지휘자로 재임한 빌럼 멩엘베르흐(1871~1951)가 갈고 닦은 악단 고유의 사운드이기도 하다.
기능적으로도 최고를 자랑하는 악단이지만 RCO를 유럽 최고의 악단으로 만든 핵심엔 그들이 상주하고 있는 로열콘세르트헤바우홀이 있다. 이 공연장의 어쿠스틱은 빈무직페라인잘과 유럽 내에서 최고 명성을 양분하고 있다. RCO는 악단보다 먼저 완공된 이 공연장에 가장 적합하게 자신들의 소리를 조율해왔다. 이 악단의 세 가지 매력을 아무 데서나 음미할 수 없다는 얘기다.
롯데콘서트홀에서 지난 11일 열린 공연은 악단의 속살을 모처럼 유감없이 발휘한 최고의 내한 공연 중 하나로 기록될 것 같다. 갑작스레 영하로 떨어진 날씨를 뚫고 공연장을 찾아온 청중을 악단은 봄날의 화창한 햇살로 따스하게 감싸 안았다.
음악의 적정 온도를 조절한 것은 아시아 투어에 객원으로 나선 이탈리아 지휘자 파비오 루이지의 몫이었다. 자신만의 향수 브랜드를 가지고 있을 만큼 조향에 관심이 많은 그는 향기만큼이나 소리의 밸런스를 다루는 데도 탁월한 재능을 발휘했다.
오페라 지휘자로서도 남다른 경력을 쌓은 루이지는 첫 곡 베버의 ‘오베론’ 서곡에서부터 짧고 굵게 방점을 찍었다. 오케스트라가 펼치는 오페라의 다양한 극적 효과 속에서 청중의 심장을 가로지른 건 비단결 같은 현악 파트에 실려온 아름다운 칸타빌레(노래하듯 연주)였다.
이어진 예핌 브론프만과의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2번’ 협연은 청중을 다른 방식으로 압도했다. 20세기부터 최고의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로 명성이 자자했던 브론프만의 연주는 눈을 감고 들으면 환갑을 훌쩍 넘긴 그의 나이를 짐작할 수 없을 정도로 여전한 테크닉으로 건반을 장악했다.
강력하고 풍성한 사운드로 오케스트라와 동등하게 대결할 때의 카리스마도 훌륭했지만, 사이사이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아름다운 음색이 특히 돋보였다. 마치 오케스트라와 작은 목소리로 속삭이듯 앙상블을 이룰 때는 그가 탁월한 실내악 연주가이기도 했다는 사실을 새삼 상기시켰다. 사실 후자의 매력이 훨씬 월등했는데, 이는 테크닉이 이미 경지에 올라 굳이 미덕으로 내세울 필요가 없는 거장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변화무쌍하고 엄청난 스케일의 협주곡을 마친 뒤에도 그는 슈만 ‘아라베스크’와 쇼팽의 ‘혁명’ 에튀드를 무심한 듯 연주하며 청중의 뜨거운 환호에 답했다.
2부 차이콥스키 교향곡 5번에서 오케스트라는 (국내에서도 매우 빈번하게 연주되는 ‘사골’ 레퍼토리임에도 불구하고) 그들만의 감동을 심어주었다. 루이지는 3악장 왈츠를 제외하고 시종일관 일반적인 연주보다 느린 템포를 설정했다. 악단이 본질적으로 품고 있던 소리의 스펙트럼을 최대한 폭넓게 과시할 줄 알았다.
‘소리의 조향사’답게 금관 사운드까지도 절제하며 밸런스를 유지하던 그의 지휘는 그럼에도 한순간도 텐션을 놓치는 법이 없었다. 대부분 유려한 선율, 혹은 감정의 극단적인 과잉으로 마무리되는 이 교향곡에서 그가 추구한 것은 얄팍한 감정 이면에 숨어 있는 인간의 다양한 정서였다.
그 정서들의 표현은 목관 악기 주자들의 독주로 더욱 깊어졌다. 단원 개개인이 지닌 개성과 잠재력이 오케스트라와 탁월한 조화를 이루는 것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었다.
2018년 다니엘레 가티가 상임지휘자직을 사임한 이후 오랫동안 객원지휘 체제로 활동하는 와중에도 여전히 무너지지 않는 그들만의 ‘조화 속 개성’은 각 파트 수석의 보이지 않는 활약 덕분이기도 하다. 이틀 전까지 일본 투어를 마치고 온 것이 무색하리만큼 에너지가 넘쳤던 단원들은 연주를 끝내고 밝은 얼굴로 서로 포옹하기도 했다. 이번 내한 공연에서는 동아국제콩쿠르 1회 우승자인 리비우 프루나루를 악장으로 만날 수 있어 특히 반가웠다.
노승림 음악칼럼니스트
올해로 창단 135주년을 맞이한 로열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RCO)가 자부하는 미덕이다. 1895년부터 50년 동안 이 악단의 상임 지휘자로 재임한 빌럼 멩엘베르흐(1871~1951)가 갈고 닦은 악단 고유의 사운드이기도 하다.
기능적으로도 최고를 자랑하는 악단이지만 RCO를 유럽 최고의 악단으로 만든 핵심엔 그들이 상주하고 있는 로열콘세르트헤바우홀이 있다. 이 공연장의 어쿠스틱은 빈무직페라인잘과 유럽 내에서 최고 명성을 양분하고 있다. RCO는 악단보다 먼저 완공된 이 공연장에 가장 적합하게 자신들의 소리를 조율해왔다. 이 악단의 세 가지 매력을 아무 데서나 음미할 수 없다는 얘기다.
롯데콘서트홀에서 지난 11일 열린 공연은 악단의 속살을 모처럼 유감없이 발휘한 최고의 내한 공연 중 하나로 기록될 것 같다. 갑작스레 영하로 떨어진 날씨를 뚫고 공연장을 찾아온 청중을 악단은 봄날의 화창한 햇살로 따스하게 감싸 안았다.
음악의 적정 온도를 조절한 것은 아시아 투어에 객원으로 나선 이탈리아 지휘자 파비오 루이지의 몫이었다. 자신만의 향수 브랜드를 가지고 있을 만큼 조향에 관심이 많은 그는 향기만큼이나 소리의 밸런스를 다루는 데도 탁월한 재능을 발휘했다.
오페라 지휘자로서도 남다른 경력을 쌓은 루이지는 첫 곡 베버의 ‘오베론’ 서곡에서부터 짧고 굵게 방점을 찍었다. 오케스트라가 펼치는 오페라의 다양한 극적 효과 속에서 청중의 심장을 가로지른 건 비단결 같은 현악 파트에 실려온 아름다운 칸타빌레(노래하듯 연주)였다.
이어진 예핌 브론프만과의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2번’ 협연은 청중을 다른 방식으로 압도했다. 20세기부터 최고의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로 명성이 자자했던 브론프만의 연주는 눈을 감고 들으면 환갑을 훌쩍 넘긴 그의 나이를 짐작할 수 없을 정도로 여전한 테크닉으로 건반을 장악했다.
강력하고 풍성한 사운드로 오케스트라와 동등하게 대결할 때의 카리스마도 훌륭했지만, 사이사이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아름다운 음색이 특히 돋보였다. 마치 오케스트라와 작은 목소리로 속삭이듯 앙상블을 이룰 때는 그가 탁월한 실내악 연주가이기도 했다는 사실을 새삼 상기시켰다. 사실 후자의 매력이 훨씬 월등했는데, 이는 테크닉이 이미 경지에 올라 굳이 미덕으로 내세울 필요가 없는 거장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변화무쌍하고 엄청난 스케일의 협주곡을 마친 뒤에도 그는 슈만 ‘아라베스크’와 쇼팽의 ‘혁명’ 에튀드를 무심한 듯 연주하며 청중의 뜨거운 환호에 답했다.
2부 차이콥스키 교향곡 5번에서 오케스트라는 (국내에서도 매우 빈번하게 연주되는 ‘사골’ 레퍼토리임에도 불구하고) 그들만의 감동을 심어주었다. 루이지는 3악장 왈츠를 제외하고 시종일관 일반적인 연주보다 느린 템포를 설정했다. 악단이 본질적으로 품고 있던 소리의 스펙트럼을 최대한 폭넓게 과시할 줄 알았다.
‘소리의 조향사’답게 금관 사운드까지도 절제하며 밸런스를 유지하던 그의 지휘는 그럼에도 한순간도 텐션을 놓치는 법이 없었다. 대부분 유려한 선율, 혹은 감정의 극단적인 과잉으로 마무리되는 이 교향곡에서 그가 추구한 것은 얄팍한 감정 이면에 숨어 있는 인간의 다양한 정서였다.
그 정서들의 표현은 목관 악기 주자들의 독주로 더욱 깊어졌다. 단원 개개인이 지닌 개성과 잠재력이 오케스트라와 탁월한 조화를 이루는 것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었다.
2018년 다니엘레 가티가 상임지휘자직을 사임한 이후 오랫동안 객원지휘 체제로 활동하는 와중에도 여전히 무너지지 않는 그들만의 ‘조화 속 개성’은 각 파트 수석의 보이지 않는 활약 덕분이기도 하다. 이틀 전까지 일본 투어를 마치고 온 것이 무색하리만큼 에너지가 넘쳤던 단원들은 연주를 끝내고 밝은 얼굴로 서로 포옹하기도 했다. 이번 내한 공연에서는 동아국제콩쿠르 1회 우승자인 리비우 프루나루를 악장으로 만날 수 있어 특히 반가웠다.
노승림 음악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