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2023 장내기생충 감염 실태조사 결과 공개
5대강유역 주민 장내기생충 감염률 일년새 '뚝'…5.3%→3.7%
최근 5%대를 유지하던 5대강 유역 주민의 장내기생충 감염률이 3%대로 떨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질병관리청은 14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장내기생충 감염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질병청은 지자체와 협력해 한강, 낙동강, 섬진강, 영산강, 금강 등 5대강 유역 중 장내기생충 질환 유행지역 36개 시·군 주민 2만6천408명을 대상으로 간흡충, 장흡충, 회충 등 11종의 장내기생충 감염을 진단·분석했다.

조사 결과 장내기생충 감염률은 3.7%로 전년 대비 3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내기생충 감염률은 2019년 5.0%에서 2020년 5.9%로 올랐다가 2021년 5.2%로 떨어진 후 지난해에는 5.3%를 기록했다.

기생충별로는 민물고기 생식 등으로 인한 간흡충 감염률이 2.0%로 가장 높았다.

이어 장흡충 1.5%, 편충 0.1%, 참굴큰입흡충 0.04% 순이었다.

과거에 유행했던 토양매개성 기생충인 회충은 검출되지 않았다.

지역별로는 섬진강 유역 장내기생충 감염률이 5.0%로 가장 높았으나, 이 역시 전년 대비 1.8%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이어 낙동강 유역 3.3%, 한강 유역 2.7%, 영산강 유역 1.5%, 금강 유역 1.1% 순이었다.

질병청은 장내 기생충 감염률이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자연산 민물고기 생식으로 인한 기생충 감염이 많아 섭취에 주의를 기울여달라고 당부했다.

지영미 청장은 "질병청은 더욱 적극적으로 보건소와 협력해 감염을 예방하고 감시체계를 강화하겠다"며 "국민 여러분께서도 자연산 민물고기 생식을 자제해달라"고 밝혔다.

5대강유역 주민 장내기생충 감염률 일년새 '뚝'…5.3%→3.7%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