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로템, 2050년 탄소중립 목표…2030년까지 탄소배출량 42%↓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50년 탄소중립 달성 위한 'ROTEM' 전략 수립
SBTi 권고안 반영…2040년 RE100 달성도 목표
SBTi 권고안 반영…2040년 RE100 달성도 목표

이번 이행 전략은 기업의 탄소중립 목표를 독립적으로 평가해 공신력을 부여하는 글로벌 연합기구 '과학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BTi)'가 제시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 권고안을 반영해 수립됐다고 현대로템 측은 설명했다.
현대로템은 사명인 'ROTEM(로템)'의 영문 이니셜에서 착안해 5대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수립했다. △Reduction(온실가스 감축) △Offset(온실가스 상쇄) △Transition(저탄소 사회로의 전환) △Eco-design(제품 생애주기 저탄소화) △Mobilization(탄소중립 관리) 등으로 요약된다.
현대로템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사업장 내 유휴 부지와 지붕 등 태양광 자가발전 시스템을 도입해 추가 전력에 대해 사업자로부터 재생에너지를 구매하는 전력직접구매계약(PPA) 등을 활용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업무용 차량을 순차적으로 친환경 전기차로 교체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기존 액화천연가스(LNG)를 수소 기반 연료로 대체할 계획이다.
제품 생애주기 저탄소화와 탄소중립 관리는 각각 원재료부터 제품의 폐기 전 과정에서 저탄소화를 추진한다. 또한 수소전기트램 및 바이오가스 활용 등 수소 기반 기술을 강화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탄소중립 관리 체계를 개편한다.
현대로템은 이러한 전략을 바탕으로 RE100(전 사업장 재생에너지 100%) 도입을 2050년보다 10년 앞선 2040년 이전에 도입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회사 관계자는 "친환경 철도차량과 수소 인프라 등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배성수 기자 bae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