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조섭 화우 선임외국변호사 "경제 역동성 큰 중동, 법률시장도 커질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터뷰
라마단 기간엔 근로시간 단축
진출기업들 문화 차이 파악하고
아랍어·상거래 관습 신경써야
라마단 기간엔 근로시간 단축
진출기업들 문화 차이 파악하고
아랍어·상거래 관습 신경써야
“중동 법률시장은 경제 성장과 맞물려 갈수록 커질 겁니다.”
이조섭 법무법인 화우 선임외국변호사(사진)는 19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 변호사는 2014년부터 9년간 카타르 도하에서 생활했다. 미국 로펌 K&L게이츠와 영국계 로펌 핀센트메이슨에서 각종 인프라 건설사업과 관련한 법률 자문을 맡았다. 지난 8월 화우에 합류해 ‘해외 건설 자문 및 분쟁 해결팀’을 이끌고 있다.
이 변호사는 “과거 중동에 진출한 기업은 건설사와 조선사가 대부분이었지만 이제는 정보기술(IT), 플랫폼, 신재생에너지 등 업종이 다양해지고 있다”며 “이들 기업을 따라 여러 해외 로펌이 중동에 진출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동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들이 특히 신경 써야 할 것으로 문화의 차이를 들었다. 이 변호사는 “중동에선 건설 현장 근로자들을 위해 기도실을 마련하고 라마단(단식) 기간에는 근로시간 단축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며 “근로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 같은 차이를 반영해 사업계획을 짜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랍어와 현지 상거래 관습도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변호사는 “현지 협력회사 직원이 아랍어 표기는 다르지만 영문으로는 똑같은 새 회사를 차려 한국 기업의 송금 실수를 유도하는 일이 있었다”며 “중동 지역 주요 국가에선 공식 법률문서가 모두 아랍어이기 때문에 특히 이 같은 상황에 잘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이 변호사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을 두고는 “아직 중동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우려할 단계는 아니다”고 했다. 그는 “국내 기업들이 주로 진출한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 카타르 등은 전장과 꽤 떨어져 있다”며 “주변 지역으로 얼마나 확전되는지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외국 기업들이 중동에서 벌어진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중재를 활용하는 일이 늘어난 것도 주목할 만한 변화로 꼽았다. 이 변호사는 “현지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면 서류 제출과 변론 모두 아랍어로 해야 하지만 중재에선 이 같은 불편함이 덜하다”며 “중재 당사자가 직접 증인으로 채택한 전문가를 통해 합리적으로 주장을 펼치는 것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우디 등 걸프협력회의(GCC) 회원국 등 일부 지역에서 중재법을 신설하고 중재기관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도 중재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했다.
박시온 기자 ushire908@hankyung.com
이조섭 법무법인 화우 선임외국변호사(사진)는 19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 변호사는 2014년부터 9년간 카타르 도하에서 생활했다. 미국 로펌 K&L게이츠와 영국계 로펌 핀센트메이슨에서 각종 인프라 건설사업과 관련한 법률 자문을 맡았다. 지난 8월 화우에 합류해 ‘해외 건설 자문 및 분쟁 해결팀’을 이끌고 있다.
이 변호사는 “과거 중동에 진출한 기업은 건설사와 조선사가 대부분이었지만 이제는 정보기술(IT), 플랫폼, 신재생에너지 등 업종이 다양해지고 있다”며 “이들 기업을 따라 여러 해외 로펌이 중동에 진출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동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들이 특히 신경 써야 할 것으로 문화의 차이를 들었다. 이 변호사는 “중동에선 건설 현장 근로자들을 위해 기도실을 마련하고 라마단(단식) 기간에는 근로시간 단축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며 “근로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 같은 차이를 반영해 사업계획을 짜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랍어와 현지 상거래 관습도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변호사는 “현지 협력회사 직원이 아랍어 표기는 다르지만 영문으로는 똑같은 새 회사를 차려 한국 기업의 송금 실수를 유도하는 일이 있었다”며 “중동 지역 주요 국가에선 공식 법률문서가 모두 아랍어이기 때문에 특히 이 같은 상황에 잘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이 변호사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을 두고는 “아직 중동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우려할 단계는 아니다”고 했다. 그는 “국내 기업들이 주로 진출한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 카타르 등은 전장과 꽤 떨어져 있다”며 “주변 지역으로 얼마나 확전되는지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외국 기업들이 중동에서 벌어진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중재를 활용하는 일이 늘어난 것도 주목할 만한 변화로 꼽았다. 이 변호사는 “현지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면 서류 제출과 변론 모두 아랍어로 해야 하지만 중재에선 이 같은 불편함이 덜하다”며 “중재 당사자가 직접 증인으로 채택한 전문가를 통해 합리적으로 주장을 펼치는 것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우디 등 걸프협력회의(GCC) 회원국 등 일부 지역에서 중재법을 신설하고 중재기관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도 중재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했다.
박시온 기자 ushire90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