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황 개선에도…중형 조선 4사는 '고난의 항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주 난항·인력난 등에 적자 지속
조선업황 개선에도 중형 조선 4사는 여전히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 3분기 일제히 흑자로 돌아선 HD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등 대형 3사와 달리 올해 내내 적자에 허덕이는 모양새다.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조선사에 밀리고 인력난, 원자재값 급등에 치인 영향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케이조선, 대한조선, 대선조선, HJ중공업 등 중형 조선 4사는 모두 3분기를 비롯해 올해 누적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1~9월 케이조선은 107억원, 대선조선은 877억원, HJ중공업은 1272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실적을 공개하지 않는 대한조선도 적자를 낸 것으로 추정된다. 유동성 위기에 몰린 대선조선은 지난달 12일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을 신청했다. 중형 조선사들이 무너지면 지역 중소 협력업체들도 연쇄 도산해 조선산업 생태계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중형 4사의 수주 난항과 이에 따른 적자는 중국 조선사에 밀린 영향이 가장 크다. 이들 기업은 중·소형 벌크선, 탱크선, 컨테이너선 등을 주로 건조하는데 중국 기업이 15~20%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수주를 싹쓸이하고 있다. 중형 선박은 기술 격차가 크지 않은 데다 이 선박을 발주하는 선사도 중형 업체들이어서 신조선가가 수주를 좌우하는 분위기다.
인력난으로 중형 4사의 생산 역량이 저하된 점도 수주를 따내지 못한 이유로 꼽힌다. 중형 4사는 올 상반기 중형 컨테이너선, 중형 가스선을 하나도 수주하지 못했다. 업계 관계자는 “가뜩이나 사람이 부족한 와중에 대형사로 간 이직자가 늘어 기존에 수주한 선박을 제때 만들 수 있을지조차 미지수”라고 토로했다.
중국 조선사의 ‘굴기’에 따라 주력 선종 중 하나인 소형 컨테이너선 신조선가는 떨어지고 있다.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2750TEU(1TEU=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급 피더 컨테이너선 신조선가는 이달 4125만달러로 지난해(4200만달러)보다 소폭 하락했다. 선박을 건조할 수 있는 도크가 부족해 가격이 계속 오르는 대형 컨테이너선과 대비된다.
업계에선 중형 조선사인 현대미포조선이 사업모델 전환을 통해 생존 전략을 짠 사례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는 말이 나온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19일 업계에 따르면 케이조선, 대한조선, 대선조선, HJ중공업 등 중형 조선 4사는 모두 3분기를 비롯해 올해 누적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1~9월 케이조선은 107억원, 대선조선은 877억원, HJ중공업은 1272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실적을 공개하지 않는 대한조선도 적자를 낸 것으로 추정된다. 유동성 위기에 몰린 대선조선은 지난달 12일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을 신청했다. 중형 조선사들이 무너지면 지역 중소 협력업체들도 연쇄 도산해 조선산업 생태계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중형 4사의 수주 난항과 이에 따른 적자는 중국 조선사에 밀린 영향이 가장 크다. 이들 기업은 중·소형 벌크선, 탱크선, 컨테이너선 등을 주로 건조하는데 중국 기업이 15~20%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수주를 싹쓸이하고 있다. 중형 선박은 기술 격차가 크지 않은 데다 이 선박을 발주하는 선사도 중형 업체들이어서 신조선가가 수주를 좌우하는 분위기다.
인력난으로 중형 4사의 생산 역량이 저하된 점도 수주를 따내지 못한 이유로 꼽힌다. 중형 4사는 올 상반기 중형 컨테이너선, 중형 가스선을 하나도 수주하지 못했다. 업계 관계자는 “가뜩이나 사람이 부족한 와중에 대형사로 간 이직자가 늘어 기존에 수주한 선박을 제때 만들 수 있을지조차 미지수”라고 토로했다.
중국 조선사의 ‘굴기’에 따라 주력 선종 중 하나인 소형 컨테이너선 신조선가는 떨어지고 있다.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2750TEU(1TEU=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급 피더 컨테이너선 신조선가는 이달 4125만달러로 지난해(4200만달러)보다 소폭 하락했다. 선박을 건조할 수 있는 도크가 부족해 가격이 계속 오르는 대형 컨테이너선과 대비된다.
업계에선 중형 조선사인 현대미포조선이 사업모델 전환을 통해 생존 전략을 짠 사례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는 말이 나온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