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 없었는데…김길수 검거 특진자 공적 과장 논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찰 "제보자 보호하려다 오해 일으켜"
"특진한 경찰관, 결정적인 역할한 것은 확실"
"특진한 경찰관, 결정적인 역할한 것은 확실"

20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청은 지난 6일 김길수를 검거한 유공으로 A 경사와 B 경장을 각각 경위와 경사로 특별승진 임용했다. 의정부경찰서 관계자는 검거 다음 날인 7일 A 경위(당시 경사)의 유공에 대해 "검거 당시 김길수의 여성 지인 B씨와 함께 있으며 밀착 감시를 하다 일반적인 휴대전화 번호와 다른 번호가 뜬 것을 보고 즉시 전파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김길수가 전화했을 당시 A 경위는 김길수의 다른 지인을 감시하고 있었다. 김길수는 B씨가 일하던 가게의 유선전화로 연락했고, 이 전화기에 표시된 전화번호를 전파한 것도 다른 사람이었다.
검거 유공을 왜곡한 것에 대해 의정부경찰서는 검거 당일만 다른 지인과 있었을 뿐 A 경위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확실하다고 주장했다. 또 경찰청에서 김길수 검거 특진 계급으로 경위 정원(TO)을 해당 팀에 배정했는데, 가장 공이 큰 해당 팀에는 경위로 승진할 수 있는 경사가 A 경위밖에 없어 특진 대상자가 됐다는 해명도 내놨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