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메가시티 동참하나…서울과 '통합연구반' 구성 논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동환 시장 "수도권 재편 필수
실용적 관점서 메가시티 접근"
고양시 인구, 경기북부 3분의 1
특별자치도 추진 난항 겪을 듯
실용적 관점서 메가시티 접근"
고양시 인구, 경기북부 3분의 1
특별자치도 추진 난항 겪을 듯
경기 김포시, 구리시에 이어 고양시도 ‘서울 메가시티론’에 조건부 찬성 입장을 밝혔다. 서울시는 각 도시와 만들었던 협의체를 개편해 서울 편입에 대한 큰 그림을 함께 그리는 ‘서울 편입 통합연구반’을 꾸리기로 했다. 사실상 메가시티론에 고양시도 참가 의사를 나타내면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신설을 추진하는 경기도는 난감해하는 모습이다.
오세훈 서울시장과 이동환 고양시장은 21일 서울시청에서 만나 메가시티 방안을 논의했다. 오 시장은 “양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연구반을 꾸려 객관적인 분석을 할 것”이라며 “추후엔 관련 지자체와 서울시가 함께 참여하는 가칭 ‘서울시 편입 통합연구반’으로 확대 개편하겠다”고 말했다. 통합연구반에서 서울 편입 때의 쟁점을 종합적으로 논의해 메가시티론에 대한 공감대를 넓히겠다는 게 오 시장의 구상이다.
이 시장은 오 시장과의 면담 후 기자들과 만나 메가시티 흐름에 보조를 맞추는 동시에 각 지역의 개별 경쟁력을 강화하며 연대하는 ‘수도권 재편’이 필요한 때임을 강조했다. 도시공학 박사인 이 시장은 “메가시티는 일회성·단발성 이슈가 아니라 세계적 추세”라며 “정치적 접근은 지양하고 도시 경쟁력을 높이는 실용적 관점에서 메가시티에 접근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두 지자체장은 메가시티를 공동 연구하자는 데 합의를 이뤘지만 시각 차도 드러냈다. 오 시장은 여전히 ‘서울 편입’이란 용어를 썼고, 이 시장은 ‘수도권 재편’을 강조했다. 이 시장은 “서울시 편입은 (고양이 서울에) 종속되는 의미이고, 고양시가 바라는 방안은 아니다”며 “서울과 인접 지자체가 서로 독립된 형태로 존재하면서 인프라와 권한 등을 나누는 기능 중심의 연합이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수도권 재편을 위해 정부가 포함되는 다자협의체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경기도가 추진 중인 경기북부특별자치도도 이 틀 안에서 논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고양시기 서울 메가시티 논의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나타내면서 김동연 경기지사가 추진 중인 경기북부특별자치도 구상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양시 인구는 107만 명 규모로, 분도 시 경기북도의 인구 예상치인 360만 명 중 3분의 1에 육박한다. 경기도 북도 편입을 꺼리는 김포시나 인구가 18만 명인 구리시와는 파장이 다를 수 있다는 분석이다. 행정구역 개편에는 무엇보다 해당 지자체와 주민들의 의사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도가 추진 중인 주민투표도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커졌다. 이 시장은 경기도의 경기북도 구상에 대해 “군사지역, 과밀억제권역, 그린벨트 등 북부에 산재한 규제 해소가 먼저”라는 유보적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혔다.
최해련/김대훈 기자 haeryon@hankyung.com
오세훈 서울시장과 이동환 고양시장은 21일 서울시청에서 만나 메가시티 방안을 논의했다. 오 시장은 “양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연구반을 꾸려 객관적인 분석을 할 것”이라며 “추후엔 관련 지자체와 서울시가 함께 참여하는 가칭 ‘서울시 편입 통합연구반’으로 확대 개편하겠다”고 말했다. 통합연구반에서 서울 편입 때의 쟁점을 종합적으로 논의해 메가시티론에 대한 공감대를 넓히겠다는 게 오 시장의 구상이다.
이 시장은 오 시장과의 면담 후 기자들과 만나 메가시티 흐름에 보조를 맞추는 동시에 각 지역의 개별 경쟁력을 강화하며 연대하는 ‘수도권 재편’이 필요한 때임을 강조했다. 도시공학 박사인 이 시장은 “메가시티는 일회성·단발성 이슈가 아니라 세계적 추세”라며 “정치적 접근은 지양하고 도시 경쟁력을 높이는 실용적 관점에서 메가시티에 접근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두 지자체장은 메가시티를 공동 연구하자는 데 합의를 이뤘지만 시각 차도 드러냈다. 오 시장은 여전히 ‘서울 편입’이란 용어를 썼고, 이 시장은 ‘수도권 재편’을 강조했다. 이 시장은 “서울시 편입은 (고양이 서울에) 종속되는 의미이고, 고양시가 바라는 방안은 아니다”며 “서울과 인접 지자체가 서로 독립된 형태로 존재하면서 인프라와 권한 등을 나누는 기능 중심의 연합이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수도권 재편을 위해 정부가 포함되는 다자협의체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경기도가 추진 중인 경기북부특별자치도도 이 틀 안에서 논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고양시기 서울 메가시티 논의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나타내면서 김동연 경기지사가 추진 중인 경기북부특별자치도 구상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양시 인구는 107만 명 규모로, 분도 시 경기북도의 인구 예상치인 360만 명 중 3분의 1에 육박한다. 경기도 북도 편입을 꺼리는 김포시나 인구가 18만 명인 구리시와는 파장이 다를 수 있다는 분석이다. 행정구역 개편에는 무엇보다 해당 지자체와 주민들의 의사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도가 추진 중인 주민투표도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커졌다. 이 시장은 경기도의 경기북도 구상에 대해 “군사지역, 과밀억제권역, 그린벨트 등 북부에 산재한 규제 해소가 먼저”라는 유보적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혔다.
최해련/김대훈 기자 haery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