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스키 매출, 수입 맥주 넘어서/사진=연합뉴스
위스키 매출, 수입 맥주 넘어서/사진=연합뉴스
와인의 인기가 주춤해진 사이 위스키의 위상이 커지고 있다.

23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 스카치·버번·라이 등 위스키류 수입량은 2만6937t(톤)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6.8% 늘었다. 올해를 아직 두 달 남기고 역대 연간 최대치인 2002년 2만7379t 수준에 육박해 사실상 올해 연간 수입량 신기록이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위스키 수입량은 2021년 1만5662t에서 지난해 2만7038t으로 72.6% 급증했고, 올해는 사상 처음으로 3만t을 넘어설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위스키의 인기는 최근 몇 년 사이 선호도가 급등한 하이볼로 촉발됐다는 분석이다. MZ세대(1980∼2000년대 출생 세대)를 중심으로 위스키에 탄산수나 토닉워터를 넣어 마시는 하이볼이 인기를 끌면서 위스키 수입도 늘어났다는 것.

하이볼을 계기로 "위스키는 비싼 술"이라는 인식이 옅어지고, 보다 대중화됐다는 평가도 있다.

실제로 수입되는 위스키도 예전에 비해 중저가 제품이 대폭 늘었다. 올해 1월부터 10월 위스키 수입량은 지난해 동기 대비 26.8% 늘었지만, 수입액은 2억2천146만달러로 1.5% 증가하는 데 그쳤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위스키가 많이 들어왔다는 의미다. 하이볼은 탄산수나 토닉워터에 타 먹기 때문에 굳이 고가의 위스키가 필요하지 않고, 편하게 즐길 수 있는 중저가 제품의 인기가 이전보다 높아졌다는 것.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위스키를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영국으로 2만1698t을 수입해 전체의 80.6%를 차지했다. 미국 3161t, 일본 1043t, 아일랜드 616t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위스키의 인기와 반비례해 와인의 수입량은 줄어들었다. 같은 기간 와인 수입량은 4만7500t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8.8% 줄었고 수입액은 4억2678만달러로 11.6% 감소했다.

와인 수입량은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홈술(집에서 마시는 술)·혼술(혼자서 마시는 술) 문화가 확산하면서 급증했지만, 지난해 엔데믹(endemic·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 이후 감소세로 돌아섰다. 와인 수입량은 2019년 4만3495t에서 2020년 5만4127t, 2021년 7만6575t까지 급증했지만, 2022년 7만1020t으로 소폭 줄어든 데 이어 올해 더 감소했다.

와인 수입량 감소 폭은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19년 20.1% 감소한 이후 가장 컸고, 수입액이 줄어든 것은 2009년 32.5% 하락 이후 처음이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