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대. 올해 전국에 보급된 배달용 전기 이륜차 숫자다. 2025년까지 배달용 내연 이륜차 3만3400대를 전기 이륜차로 전환하겠다고 공언한 서울시의 올해 배달용 전기 이륜차 신청 대수는 ‘제로’다.

소음 등을 유발해 주택가 민원의 핵심 진원으로 거론돼 온 배달 오토바이의 전기 이륜차 전환이 난항을 겪고 있다. 약 50만 명으로 추산되는 배달 라이더가 전기 이륜차를 꺼리기 때문이다.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당근 정책’은커녕 기본적인 인프라도 갖춰지지 않은 상태라는 평가가 나온다.

23일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보조금 지급 기준 전기 이륜차 출고 대수는 1만4795대다. 이 중 배달용은 204대에 불과했다. 1.37% 비중이다. 올해(11월 23일 기준)는 보조금을 받아 출고된 전기 이륜차가 6461대다. 배달용 비중은 0.2%로 더 떨어졌다.

비중 확대를 위한 보조금 추가 지급이나 별도의 인센티브는 계획돼 있지 않다. 배달 플랫폼업계 관계자는 “배달용으로 보조금을 받으려면 접수일 기준 유상운송보험을 6개월 이상 유지해야 하는 등 요건이 까다롭다”고 했다.

배달 플랫폼·대행업체 또한 전기 이륜차 보급에 어려움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배달의민족(배민)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이 라이더에게 지급한 전기 이륜차는 40여 대에 불과하다.

배달 대행 브랜드 ‘생각대로’를 운영하는 로지올은 배달용 전기 이륜차 도입에 나섰지만 영업 중인 배달 라이더들을 설득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로지올 관계자는 “배달 라이더 대다수가 자영업자처럼 독립적으로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전기 이륜차로 전환하도록 유도할 방안이 마땅찮다”고 말했다.

전기 이륜차 보급이 늦어지는 가장 큰 원인은 정부와 관련 기업 누구도 먼저 ‘총대’를 메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배터리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을 책임져야 할 환경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적극적인 투자에 앞서 전기 이륜차 보급률이 올라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업체들은 인프라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투자를 정부에 촉구하고 있다.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이 배터리 교환소다. 기존의 충전식 전기 이륜차는 1회 충전 시 주행 거리가 70~80㎞에 불과하다. 하루에 150㎞ 이상을 운행하는 전업 배달 라이더라면 하루에 최소 1회 이상 충전해야 하는 셈이다.

이륜차 제조업체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놓은 것이 배터리 교환형 전기 이륜차다. 하지만 전기 이륜차 업체 간 배터리 호환이 불가능하다는 게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박동휘/황동진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