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아침의 예술가] 조각·영상·음악…경계없는 '예술 실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제와 문화의 가교 한경
미디어아트 작가 전소정
미디어아트 작가 전소정
조각을 전공한 작가 전소정은 멈춰 있는 조각 작품을 기록하기 위해 작업기를 촬영하다가 비디오의 매력에 빠졌다. 그렇게 그는 국경을 넘나들며 다른 사람의 스토리를 영상으로 옮기는 길을 택했다.
전 작가는 비디오가 보이지 않는 것까지 비출 수 있는지 연구하며 영상을 통한 감각의 활성화에 집중했다. 관객들이 영상 속 인물과 함께 무언가를 만지는 듯한 느낌을 받기도 하고, 그들이 내는 작은 소리에도 반응하게 된다는 이유다.
전 작가는 영상부터 출판, 음반 활동에까지 나서며 경계 없는 예술 실험을 이어왔다. 2014년에는 송은미술대상에서 대상을 받았고, 2년 뒤인 2016년에는 광주비엔날레 눈 예술상을 받았다. 2018년 에르메스재단 미술상을 수상하며 국내 미디어아트의 새로운 얼굴로 거듭났다.
그는 국립현대미술관이 꼽은 ‘올해의 작가상 2023’ 후보자 네 명 중 한 명이다. 서울 소격동 바라캇컨템포러리에서 개인전을 여는 전 작가는 이곳에서도 타인의 소리에 주목한 3채널 영상 ‘오버톤’을 메인 작품으로 내놨다. 소리 하나만을 따라 남북을 가로질러 이동한 가야금 연주자 박순아의 여정에 영감을 받아 만든 작품이다. 한국과 독일, 과테말라에서 활동하는 세 명의 작곡가가 각각 가야금, 고토, 고쟁을 위한 곡을 만들어내는 1시간30분가량의 영상을 세 개의 패널에 담았다. 세 개 화면은 전부 크기가 다르고 어긋나게 배치됐다. 관객이 앉아서 관람할 때 어느 화면에 집중하는가에 따라 이야기의 중심이 달라진다. 전시는 내년 1월 7일까지.
최지희 기자 mymasaki@hankyung.com
전 작가는 비디오가 보이지 않는 것까지 비출 수 있는지 연구하며 영상을 통한 감각의 활성화에 집중했다. 관객들이 영상 속 인물과 함께 무언가를 만지는 듯한 느낌을 받기도 하고, 그들이 내는 작은 소리에도 반응하게 된다는 이유다.
전 작가는 영상부터 출판, 음반 활동에까지 나서며 경계 없는 예술 실험을 이어왔다. 2014년에는 송은미술대상에서 대상을 받았고, 2년 뒤인 2016년에는 광주비엔날레 눈 예술상을 받았다. 2018년 에르메스재단 미술상을 수상하며 국내 미디어아트의 새로운 얼굴로 거듭났다.
그는 국립현대미술관이 꼽은 ‘올해의 작가상 2023’ 후보자 네 명 중 한 명이다. 서울 소격동 바라캇컨템포러리에서 개인전을 여는 전 작가는 이곳에서도 타인의 소리에 주목한 3채널 영상 ‘오버톤’을 메인 작품으로 내놨다. 소리 하나만을 따라 남북을 가로질러 이동한 가야금 연주자 박순아의 여정에 영감을 받아 만든 작품이다. 한국과 독일, 과테말라에서 활동하는 세 명의 작곡가가 각각 가야금, 고토, 고쟁을 위한 곡을 만들어내는 1시간30분가량의 영상을 세 개의 패널에 담았다. 세 개 화면은 전부 크기가 다르고 어긋나게 배치됐다. 관객이 앉아서 관람할 때 어느 화면에 집중하는가에 따라 이야기의 중심이 달라진다. 전시는 내년 1월 7일까지.
최지희 기자 mymasak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