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사태서 확인된 자본주의 원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THE WALL STREET JOURNAL 칼럼
Holman W. Jenkins, Jr. WSJ 칼럼니스트
Holman W. Jenkins, Jr. WSJ 칼럼니스트
최고경영자(CEO)가 받는 인센티브는 논란거리 중 하나다. 일각에서는 CEO가 거액의 급여를 받을 자격이 없다고 지적한다. 그런데 사실 고액 연봉은 CEO의 자질 자체와는 큰 관계가 없다. 왜냐하면 CEO 보수의 목적은 사후 보상이 아니라 사전 통제에 있기 때문이다. 주요 의사 결정자로서 CEO가 회사의 이익을 크게 해치는 행동을 하지 못하게끔 철저하게 설계된 결과물이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회사에서 축출당했다가 복귀하는 과정은 인센티브를 제대로 설정하지 않았을 때 기업 거버넌스에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을 잘 보여줬다.
오픈AI는 안전한 AI를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 조직으로 출발했다가 업계를 선도하는 기업이 됐다. 그런데 CEO인 올트먼이 오픈AI 지분을 전혀 갖고 있지 않은 걸 두고 외부에서는 의아해했다. 오픈AI의 이익과 올트먼의 이익을 일치시켜주는 인센티브 구조가 없었기 때문이다. 옛 이사회가 AI의 부상을 가속화하기 위해 올트먼이 기획한 각종 시도를 100% 신뢰하지 못한 것도 이런 인센티브 구조 부재와 무관하지 않다.
오픈AI는 이익 추구보다 AI가 인류에 도움이 되는 걸 우선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이상적인 헌장을 갖고 있다. 의미 없는 말이다. 포드자동차 창립자인 헨리 포드는 차 자체를 만들 수는 있었지만, 사회가 차 때문에 어떻게 변화하게 될지까지 결정할 수는 없었다. 이처럼 AI의 미래는 기업과 정부, 소비자, 정치인, 규제당국의 손에 달려 있다.
오픈AI의 옛 이사회 역시 AI의 미래를 통제할 능력을 갖추고 있진 않다. 대신 올트먼을 해임해 순식간에 조직의 미래를 위태롭게 할 정도의 영향력은 있었다.
올트먼 해임에 앞장선 인물로 알려진 오픈AI의 공동 창업자 일리야 수츠케바까지 공개적으로 반성했다. 900억달러(약 117조원) 수준의 기업가치가 붕괴할 가능성 앞에서 옛 이사회의 이상주의는 힘을 잃었다.
이 사태의 최대 승리자로 꼽히는 MS는 올트먼을 포함한 인력을 채용하는 방법으로 인수 자금을 한 푼도 들이지 않고 오픈AI를 사실상 집어삼킬 수 있었지만, 너그럽게도 그렇게까지 하진 않았다.
기술 전문 애널리스트인 벤 톰슨은 이번 오픈AI 사태를 통해 영리법인이 회사를 조직하는 데 좋은 방법이라는 걸 깨달았다고 했다. 이것이 뛰어난 성능을 보이며 급성장하고 있는 챗GPT가 아직도 따라잡지 못한 인간의 통찰력이다.
이 글은 영어로 작성된 WSJ 칼럼 ‘Capitalism Works, Says ChatGPT’를 한국경제신문이 번역한 것입니다.
오픈AI는 안전한 AI를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 조직으로 출발했다가 업계를 선도하는 기업이 됐다. 그런데 CEO인 올트먼이 오픈AI 지분을 전혀 갖고 있지 않은 걸 두고 외부에서는 의아해했다. 오픈AI의 이익과 올트먼의 이익을 일치시켜주는 인센티브 구조가 없었기 때문이다. 옛 이사회가 AI의 부상을 가속화하기 위해 올트먼이 기획한 각종 시도를 100% 신뢰하지 못한 것도 이런 인센티브 구조 부재와 무관하지 않다.
불확실한 인센티브의 문제점
오픈AI의 지배구조도 문제였다. 이 문제는 오픈AI뿐 아니라 다른 비영리 단체와 대학에서도 자주 발생한다. 인센티브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이런 집단의 이사회에는 여론에 휘둘리는 구성원이 많아진다.오픈AI는 이익 추구보다 AI가 인류에 도움이 되는 걸 우선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이상적인 헌장을 갖고 있다. 의미 없는 말이다. 포드자동차 창립자인 헨리 포드는 차 자체를 만들 수는 있었지만, 사회가 차 때문에 어떻게 변화하게 될지까지 결정할 수는 없었다. 이처럼 AI의 미래는 기업과 정부, 소비자, 정치인, 규제당국의 손에 달려 있다.
오픈AI의 옛 이사회 역시 AI의 미래를 통제할 능력을 갖추고 있진 않다. 대신 올트먼을 해임해 순식간에 조직의 미래를 위태롭게 할 정도의 영향력은 있었다.
올트먼 해임에 앞장선 인물로 알려진 오픈AI의 공동 창업자 일리야 수츠케바까지 공개적으로 반성했다. 900억달러(약 117조원) 수준의 기업가치가 붕괴할 가능성 앞에서 옛 이사회의 이상주의는 힘을 잃었다.
이 사태의 최대 승리자로 꼽히는 MS는 올트먼을 포함한 인력을 채용하는 방법으로 인수 자금을 한 푼도 들이지 않고 오픈AI를 사실상 집어삼킬 수 있었지만, 너그럽게도 그렇게까지 하진 않았다.
기업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
이번 사태는 CEO가 받는 인센티브를 잘 설계하는 게 기업 거버넌스의 해결책이라는 사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온 언론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최근 언론은 CEO 보수를 부정적으로 보는 프랑스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의 주장에 더 귀 기울여 왔다. 인센티브의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서였다.기술 전문 애널리스트인 벤 톰슨은 이번 오픈AI 사태를 통해 영리법인이 회사를 조직하는 데 좋은 방법이라는 걸 깨달았다고 했다. 이것이 뛰어난 성능을 보이며 급성장하고 있는 챗GPT가 아직도 따라잡지 못한 인간의 통찰력이다.
이 글은 영어로 작성된 WSJ 칼럼 ‘Capitalism Works, Says ChatGPT’를 한국경제신문이 번역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