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 "정상회의 머지않은 시점 가속화 노력"…외교부 "여러 안 소통중"
"한반도 평화안정이 3국 공동이익…기후 등 국제사회 공동과제도 함께 대응"
한중일 3국이 26일 열린 외교장관 회의에서 다음 단계인 3국 정상회의 준비를 가속하기로 합의했다.

다만 의장국인 한국이 희망했던 연내 개최는 사실상 어려워진 것으로 전해졌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이날 오후 부산 누리마루 APEC하우스에서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과 1시간 40여분간 3국 외교장관 회의를 한 뒤 기자들과 만나 "정상회의에 필요한 준비를 가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세 장관은 3국 협력 체제의 '최정점'인 정상회의를 상호 편리한 가장 빠른 시기에 개최하기로 한 합의를 재확인했다고 그는 전했다.

이어 "앞으로 정상회의 개최가 머지않은 시점에 가시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중일은 지난 9월 차관보급 고위관리회의(SOM)에서 정상회의를 '상호 편리한 가장 빠른 시기에' 개최하자고 합의한 바 있다.

이번 3국 외교장관 간 합의는 이러한 입장을 유지하면서 정상회의 개최에 더욱 속도를 붙이자는 취지로 해석된다.

다만 박 장관은 3국 정상회의 상세 시점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이번 회의에서 구체적으로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지금 합의된 정상회담 개최 일시는 없다.

여러 일시 안(案)을 갖고 소통중이라고 보면 된다"며 "준비를 가속하기로 했기 때문에 그 결과에 따라 구체적 날짜가 정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는 남은 시일이 촉박해 3국은 내년 초를 염두에 두고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3국 외교장관회의 개최 직전 연합뉴스TV에 출연해 "(3국 정상회의 연내 개최의) 문을 닫진 않았지만 지금 연내 열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준비를 가속하자는 합의에 따라 중국과 원활하게 협의가 이뤄지는지가 앞으로 주목할 부분이다.

중국과 일본이 정상회의 논의에 임하는 태도 차이가 있느냐는 질문에 외교부 당국자는 "방향성에 관해서는 중국도 같은 입장"이라고 답했다.
한중일 외교장관 "3국 정상회의 준비 가속화"…연내 개최는 불발
이날 3국 외교장관들은 향후 3국 협력의 추진 방향도 논의했다.

박 장관은 "그간 코로나19 등 여러 여건으로 인해 한동안 3국 협력이 어려움을 겪었지만 오늘 회의에서 3국 협력을 조속히 복원하고 정상화해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소개했다.

한국 측은 정체된 정부간 협의체를 적극 가동해 3국 협력 제도화를 공고히 하고, 3국 국민이 체감할 실질협력을 발굴하며, 3국 협력이 역내 안정과 번영에 기여하도록 저변을 확대하는 것을 3대 추진 방향으로 제시했다.

실질협력과 관련해 미래세대 교류 사업을 중점협력 사업으로 추진하자고 제의했고 중국, 일본도 동의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미래세대 교류 분야 사업을 지속적으로 대폭 확대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3국은 한반도 문제를 포함한 지역 정세와 우크라이나·중동사태 등 국제정세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으며 기후환경, 보건 등 국제사회 공동과제 대응에도 기여하는 방향으로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한반도 평화안정이 3국과 세계의 공동 이익이라는 점을 재확인했으며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각급에서 소통을 이어가기로 했다.

박 장관은 최근 북한의 소위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포함한 탄도미사일 발사 등 도발과 핵개발이 역내 평화 안정에 대한 최대 위협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3국 입장엔 차이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이 북한 문제에 대해 주도적으로 발언했고 일본도 입장을 같이한 반면 중국은 자신들의 기본적 입장을 간략하게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각 당사국이 냉정과 자제를 유지해야 하며 북한의 합리적 안보 우려를 중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박 장관은 회의 석상과 오찬에서 "3국 협력이 부산 세계박람회와 함께할 수 있길 바란다"며 2030 부산 엑스포 지지를 거듭 당부했다.

이번 회의 이후 한중일 3국 외교장관이 함께 결과를 발표하는 공동기자회견은 열리지 않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