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구의회 행정사무조사 결과 발표…학연·지연 등 엮여
구청의 허술한 관리·감독 시스템도 도마…"자체 정상화 운영 불가능"
'선수단 임용·운영비 부적절'…광주 북구청 검도부 총체적 부실
혈연에 의한 선수 임용과 부적절한 운영비 사용 등 광주 북구청 직장운동경기부(검도부)의 총체적 부실이 드러났다.

광주 북구의회 행정사무조사 특별위원회(특위)는 28일 북구청 검도부 운영에 대한 행정사무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북구청 검도부 선수 가운데 2명은 광주시 검도회 관계자들의 자녀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1명은 경기 출전 기록이 전혀 없는데도 선수로 임용됐다.

특히 2019년 이후 임용된 선수 19명 중 11명이 서석고-조선대 출신으로 학연과 지연 등 특정 관계에 치중된 선수 선발 결과에 주목했다.

특위는 시 검도회 임원이 신규·재임용 과정에서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사실을 확인하고 선수 채용에 관여한 것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검도 장비 구입이나 전지훈련 등 운영비를 부적절하게 지출한 사례도 적발됐다.

북구청 검도부는 지난해 5차례에 걸쳐 2천400여만원 상당의 검도 장비를 업체 2곳에서 구입했는데 죽도 등 일부 물품은 다른 업체보다 비싼 가격에 구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업체는 모두 시 검도회 임원과 연관된 이들이 운영하는 곳으로 간판도 없이 비정상적으로 운영하거나 원룸 건물에 사업자 등록만 해놓은 유령 업체로 확인됐다.

2019년 12월부터 올해 6월까지 4차례 이뤄진 제주도 전지훈련에는 1천900여만원을 사용했지만 결과 보고서나 증빙자료가 부실한 것으로 파악됐다.

관리·감독 책임이 있는 북구의 허술한 시스템도 드러났다.

도복이나 호구, 운동복 등 물품을 구입할 때 쪼개기식으로 편법 수의계약을 체결하거나 계약심사를 회피했다.

특히 예산편성 기준에 따르면 현장 근무자 근무복은 20만원으로 책정돼 있는데 선수단에는 매년 한벌당 100만원에 가까운 고가의 의류를 구입해 지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관 특채(이직)를 목적으로 한 특수 대회에 출전하는 선수들에게 여비를 지급하기도 했다.

특위는 이러한 문제를 포함해 모두 8개 분야에서 27건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북구에 선수단 운영을 원점에서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특위는 북구청이 검도부 운영을 시 검도회로 이관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달라고 요구했다.

사실상 북구가 선수단 운영을 중단해야 한다는 취지다.

특위는 결과보고서에서 "좁은 지역사회에서 34년간 검도라는 한 종목의 실업팀을 관례로 운영하면서 이어온 조직과 그 인적 관계를 고려할 때 검도부 운영을 정상화하기엔 불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구가 선수단 운영을 계속한다면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강구하고 체계적인 관리·감독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부연했다.

특위는 오는 29일 이러한 내용의 결과보고서를 채택하고 오는 31일 본회의 의결을 거쳐 북구에 전달한다는 계획이다.

북구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검도부 운영위원회를 열어 관련자 징계 및 선수단 운영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앞서 북구의회는 올해 8월 검도부 선수 2명의 성비위 사실이 드러나자 특위를 꾸려 61일간 행정사무조사를 실시했다.

북구청 검도부 선수였던 A씨는 지난해 7월 주점에서 만난 20대 여성이 머물던 숙박업소에 침입해 성폭행한 혐의로 1심에서 징역 3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됐다.

북구는 이 일을 계기로 소속 선수단에 대한 특별 감사를 벌여 또 다른 선수 B씨가 2021년 성추행 혐의로 기소유예 처분을 받은 사실을 확인했다.

두 사람은 각각 문제가 불거지기 직전 자진 사직했으나 북구는 이와 별개로 두 사람을 해임 조치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