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민주당, 회복 능력 상실…신당 창당, 말해야 할 때 하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30일 이재명 대표 체제의 민주당에 대해 '회복 능력을 상실한 상태'라고 평가했다. 신당 창당 여부에 대해선 "말해야 할 때는 말하겠다"고 여지를 남겼다.
이 전 대표는 이날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원래 민주당은 수십 년 동안 나름의 면역체계를 갖고 있었다. 내부의 다양성이나 당내 민주주의가 바로 면역체계"라며 "면역체계가 무너지면 회복 능력을 상실하게 되는데, 지금 민주당이 그런 상태"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이재명 대표 체제의 문제점으로 가장 먼저 '침묵'을 꼽았다. 그는 "이상한 침묵이 오랫동안 계속되고 있다. 말이 나옴직 한데 나오지 않는 것이 이상한 침묵인데, 의원들, 당의 구성원들이 당연히 소수의견이나 대안을 얘기할만한 사안에 대해서도 그런 얘기가 나오지 않는다"며 "그것이 당내 민주주의가 억압되고 있다고 느끼게 한다"고 꼬집었다.
특히 "(이재명 대표가) 당장 일주일에 몇 번씩, 며칠씩 법원에 가는데 '이 일을 어떡할까', '이런 상태로 총선을 치를 수 있을까' (우려) 하는 걱정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친명계를 중심으로 병립형 비례제로 돌아가자는 주장이 나오는 것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그는 "우리가 오랫동안 지향했던 가치와 배치되는 결정을 하거나 또는 민주당의 오랜 응원단이었던 시민사회의 기대를 저버렸을 때 그것이 승리로 갈까, 아닐까 이건 좀 따져볼 필요가 있다"며 "승부와 관계없이 약속을 지키는 걸 국민들은 더 바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신당 창당'에 대해서는 "무엇이 국가를 위해서 제가 할 일일까를 늘 골똘히 생각한다. 예전부터 개인보다는 당, 당보다는 국가를 우선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살아왔고 지금도 마찬가지"라며 "말해야 할 때는 말 하겠다"고 답했다.
그는 "민주당이 예전부터 견지해 온 하나의 원칙이 있다. 다당제를 지지해 온 편"이라며 "여러 여론조사를 보면 30%, 30%, 30%로 나온다. 두 개 정당이 30% 지지를 받고, 둘 다 싫다는 사람들이 30%쯤 된다. '이 시험지에는 정답이 없다' 하는 분들께 선택 기회를 드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슬기 한경닷컴 기자 seulkee@hankyung.com
이 전 대표는 이날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원래 민주당은 수십 년 동안 나름의 면역체계를 갖고 있었다. 내부의 다양성이나 당내 민주주의가 바로 면역체계"라며 "면역체계가 무너지면 회복 능력을 상실하게 되는데, 지금 민주당이 그런 상태"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이재명 대표 체제의 문제점으로 가장 먼저 '침묵'을 꼽았다. 그는 "이상한 침묵이 오랫동안 계속되고 있다. 말이 나옴직 한데 나오지 않는 것이 이상한 침묵인데, 의원들, 당의 구성원들이 당연히 소수의견이나 대안을 얘기할만한 사안에 대해서도 그런 얘기가 나오지 않는다"며 "그것이 당내 민주주의가 억압되고 있다고 느끼게 한다"고 꼬집었다.
특히 "(이재명 대표가) 당장 일주일에 몇 번씩, 며칠씩 법원에 가는데 '이 일을 어떡할까', '이런 상태로 총선을 치를 수 있을까' (우려) 하는 걱정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친명계를 중심으로 병립형 비례제로 돌아가자는 주장이 나오는 것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그는 "우리가 오랫동안 지향했던 가치와 배치되는 결정을 하거나 또는 민주당의 오랜 응원단이었던 시민사회의 기대를 저버렸을 때 그것이 승리로 갈까, 아닐까 이건 좀 따져볼 필요가 있다"며 "승부와 관계없이 약속을 지키는 걸 국민들은 더 바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신당 창당'에 대해서는 "무엇이 국가를 위해서 제가 할 일일까를 늘 골똘히 생각한다. 예전부터 개인보다는 당, 당보다는 국가를 우선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살아왔고 지금도 마찬가지"라며 "말해야 할 때는 말 하겠다"고 답했다.
그는 "민주당이 예전부터 견지해 온 하나의 원칙이 있다. 다당제를 지지해 온 편"이라며 "여러 여론조사를 보면 30%, 30%, 30%로 나온다. 두 개 정당이 30% 지지를 받고, 둘 다 싫다는 사람들이 30%쯤 된다. '이 시험지에는 정답이 없다' 하는 분들께 선택 기회를 드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슬기 한경닷컴 기자 seulk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