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남성 호르몬은 죄가 없다…문제는 폭력 용인하는 사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행동
로버트 M.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 문학동네
1040쪽|5만5000원
신경과학자 새폴스키의 '벽돌책'
성범죄자에 '화학적 거세'해도
재범을 완전히 막는데는 실패
일부 영장류, 암컷이 더 공격적
인간의 다양한 행동 원인 탐구
유전·생물·사회학 넘나들며 설명
로버트 M.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 문학동네
1040쪽|5만5000원
신경과학자 새폴스키의 '벽돌책'
성범죄자에 '화학적 거세'해도
재범을 완전히 막는데는 실패
일부 영장류, 암컷이 더 공격적
인간의 다양한 행동 원인 탐구
유전·생물·사회학 넘나들며 설명
‘행동’에 대한 1040쪽짜리 책을 내는 것은 어떤 의미의 행동일까? 최근 국내 출간된 <행동>은 일단 두께로 압도하는 책이다. 1000쪽이 넘는 양장본은 일반적인 책의 3배 분량이다. 무게만 1.5㎏에 달한다. 그야말로 인간 행동에 대한 모든 것을 담겠다는 포부가 전해진다.
저자의 면면을 보면 수긍하게 된다. 책을 쓴 로버트 M 새폴스키는 인간을 비롯한 영장류 스트레스 분야에서 최고 권위자로 꼽힌다. 스트레스가 뇌의 해마에 있는 신경세포를 파괴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입증한 학자다. 현재 스탠퍼드대에서 생물학과 및 의과대학 신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신경과학자가 내놓은 두꺼운 책이라고 겁먹을 필요는 없다. “제인 구달에 코미디언을 섞으면 새폴스키처럼 글을 쓸 것”이라는 뉴욕타임스의 평처럼 깊이 있으면서 재기발랄한 글이다. 신경과학 책이 술술 읽히는, 심지어 가끔은 피식거리는, 진귀한 경험을 하게 한다.
서문부터가 그렇다. “상상은 늘 이렇게 흘러간다”고 새폴스키의 상상이 시작된다. 이 상상은 정체불명 ‘그’의 비밀 벙커에 잠입하는 것. 액션영화를 떠올리게 하는 격투 묘사 문장들이 흘러가고, 상상은 새폴스키의 이 같은 선언으로 끝맺으며 ‘그’의 정체를 밝힌다. “아돌프 히틀러. 인류에 대한 범죄를 저지른 죄로 너를 체포한다.” 인간이 폭력적 상상을 하곤 한다는 것, 즉 인간이 폭력을 싫어하지 않는다는 책의 핵심 논쟁점을 ‘인류 최악의 폭력을 저지른 히틀러에 대한 폭력’이라는 딜레마 상황을 통해 풀어낸 것이다.
책은 인간 행동 중에서도 특히 폭력, 공격성, 경쟁에 주목한다. 특정 행동이 벌어지기 1초 전, 몇 분~며칠 전, 몇 달 전 등 줌렌즈를 뒤로 당기면서 점차 인간 행동의 궁극적 원인을 찾아 나간다.
새폴스키는 신경생물학과 유전학, 사회학, 심리학 등 분과를 넘나들며 인간 행동의 원인을 분석한다. 잘못 퍼져 있는 통념은 과학적 논박으로 바로잡는다. 흔히 테스토스테론, 즉 남성 호르몬이 폭력성의 원인이라고 오해한다. 하지만 (인간을 포함해) 거세한 수컷이라고 공격성이 제거되지는 않는다. 미국 일부 주에서 성범죄자에게 화학적 거세를 실시하지만, 재범을 완벽히 막지는 못한다. 영장류와 설치류 일부 종은 암컷이 수컷보다 사회적으로 지배적이고 더 공격적이다.
“공격성은 보통 테스토스테론보다 사회적 학습에 더 의존하는 일이고, 일반적으로는 테스토스테론 농도 차이가 누가 남들보다 더 공격적일지 설명해주지 않는다.” 즉, ‘생물학적 남성’과 폭력성은 상관이 없고, 폭력성을 남자다운 특성으로 추켜세워주는 사회적 분위기가 폭력성을 부추길 수 있다.
신경과학자가 추적한 폭력의 원인은 결국 ‘맥락’에 있다. ‘나쁜 행동’을 설명하려면 유전자나 호르몬을 따지는 게 아니라 성차별과 극심한 소득 격차 같은 맥락을 들여다봐야 한다는 것이다.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은 약자에게 화풀이해 스트레스를 줄인다. 반대로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 평등하고 공정한 사회는 폭력을 억제한다. 책은 “유전자는 필연성이 아니라 가능성과 취약성의 문제”라며 “유전자가 무언가를 단독으로 결정하는 일은 없다”고 강조한다.
책은 인간이 이타적 행동 역시 가능한 존재라는 데 주목한다. 베트남전이 진행 중이던 1968년 3월 16일. 한 미군 중대가 소위의 명령에 따라 미라이라는 마을에서 비무장 민간인을 공격했다. 아기와 노인을 포함해 350~500명을 죽였고, 시체를 훼손하고 우물에 처박았다. 이 끔찍한 학살을 멈추려고 총 든 동료들을 막아선 사람은 불과 25세의 휴 톰프슨 주니어 준위였다.
이 사례가 다소 교과서적으로 느껴진다면 1725년 출생한 영국 성공회 사제 존 뉴턴은 어떨까. 찬송가 ‘어메이징 그레이스’를 작곡한 것으로 유명한 그는 젊어서 노예선 선장이었다. 일을 그만둔 지 35년이나 지난 후에야 노예제를 비난하는 소책자를 냈다. “뉴턴이 더디게 휘청거리면서도 끝끝내 나아가서 도덕적 거인이 된 것을 볼 때, 어리석고 모순적이고 나약한 우리에게도 희망이 있다고 느낀다.”
새폴스키는 이 책을 쓰게 된 개인적 계기에 대해 “나는 천성이 극도로 비관적”인데 아이가 생긴 이후 “세상이 그렇게까지 나쁘진 않음을 보여주는 증거를 찾아보았다”고 설명한다. 새폴스키가 이 책을 쓴 건 탁월한 행동이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저자의 면면을 보면 수긍하게 된다. 책을 쓴 로버트 M 새폴스키는 인간을 비롯한 영장류 스트레스 분야에서 최고 권위자로 꼽힌다. 스트레스가 뇌의 해마에 있는 신경세포를 파괴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입증한 학자다. 현재 스탠퍼드대에서 생물학과 및 의과대학 신경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신경과학자가 내놓은 두꺼운 책이라고 겁먹을 필요는 없다. “제인 구달에 코미디언을 섞으면 새폴스키처럼 글을 쓸 것”이라는 뉴욕타임스의 평처럼 깊이 있으면서 재기발랄한 글이다. 신경과학 책이 술술 읽히는, 심지어 가끔은 피식거리는, 진귀한 경험을 하게 한다.
서문부터가 그렇다. “상상은 늘 이렇게 흘러간다”고 새폴스키의 상상이 시작된다. 이 상상은 정체불명 ‘그’의 비밀 벙커에 잠입하는 것. 액션영화를 떠올리게 하는 격투 묘사 문장들이 흘러가고, 상상은 새폴스키의 이 같은 선언으로 끝맺으며 ‘그’의 정체를 밝힌다. “아돌프 히틀러. 인류에 대한 범죄를 저지른 죄로 너를 체포한다.” 인간이 폭력적 상상을 하곤 한다는 것, 즉 인간이 폭력을 싫어하지 않는다는 책의 핵심 논쟁점을 ‘인류 최악의 폭력을 저지른 히틀러에 대한 폭력’이라는 딜레마 상황을 통해 풀어낸 것이다.
책은 인간 행동 중에서도 특히 폭력, 공격성, 경쟁에 주목한다. 특정 행동이 벌어지기 1초 전, 몇 분~며칠 전, 몇 달 전 등 줌렌즈를 뒤로 당기면서 점차 인간 행동의 궁극적 원인을 찾아 나간다.
새폴스키는 신경생물학과 유전학, 사회학, 심리학 등 분과를 넘나들며 인간 행동의 원인을 분석한다. 잘못 퍼져 있는 통념은 과학적 논박으로 바로잡는다. 흔히 테스토스테론, 즉 남성 호르몬이 폭력성의 원인이라고 오해한다. 하지만 (인간을 포함해) 거세한 수컷이라고 공격성이 제거되지는 않는다. 미국 일부 주에서 성범죄자에게 화학적 거세를 실시하지만, 재범을 완벽히 막지는 못한다. 영장류와 설치류 일부 종은 암컷이 수컷보다 사회적으로 지배적이고 더 공격적이다.
“공격성은 보통 테스토스테론보다 사회적 학습에 더 의존하는 일이고, 일반적으로는 테스토스테론 농도 차이가 누가 남들보다 더 공격적일지 설명해주지 않는다.” 즉, ‘생물학적 남성’과 폭력성은 상관이 없고, 폭력성을 남자다운 특성으로 추켜세워주는 사회적 분위기가 폭력성을 부추길 수 있다.
신경과학자가 추적한 폭력의 원인은 결국 ‘맥락’에 있다. ‘나쁜 행동’을 설명하려면 유전자나 호르몬을 따지는 게 아니라 성차별과 극심한 소득 격차 같은 맥락을 들여다봐야 한다는 것이다.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은 약자에게 화풀이해 스트레스를 줄인다. 반대로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 평등하고 공정한 사회는 폭력을 억제한다. 책은 “유전자는 필연성이 아니라 가능성과 취약성의 문제”라며 “유전자가 무언가를 단독으로 결정하는 일은 없다”고 강조한다.
책은 인간이 이타적 행동 역시 가능한 존재라는 데 주목한다. 베트남전이 진행 중이던 1968년 3월 16일. 한 미군 중대가 소위의 명령에 따라 미라이라는 마을에서 비무장 민간인을 공격했다. 아기와 노인을 포함해 350~500명을 죽였고, 시체를 훼손하고 우물에 처박았다. 이 끔찍한 학살을 멈추려고 총 든 동료들을 막아선 사람은 불과 25세의 휴 톰프슨 주니어 준위였다.
이 사례가 다소 교과서적으로 느껴진다면 1725년 출생한 영국 성공회 사제 존 뉴턴은 어떨까. 찬송가 ‘어메이징 그레이스’를 작곡한 것으로 유명한 그는 젊어서 노예선 선장이었다. 일을 그만둔 지 35년이나 지난 후에야 노예제를 비난하는 소책자를 냈다. “뉴턴이 더디게 휘청거리면서도 끝끝내 나아가서 도덕적 거인이 된 것을 볼 때, 어리석고 모순적이고 나약한 우리에게도 희망이 있다고 느낀다.”
새폴스키는 이 책을 쓰게 된 개인적 계기에 대해 “나는 천성이 극도로 비관적”인데 아이가 생긴 이후 “세상이 그렇게까지 나쁘진 않음을 보여주는 증거를 찾아보았다”고 설명한다. 새폴스키가 이 책을 쓴 건 탁월한 행동이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