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훈련법인 통한 숙련 외국인 확보 시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직업능력개발훈련법인협의회, "D4-6 비자 제도 개선해야" 주장
중소기업의 인력난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가운데 직업훈련법인을 통한 숙련인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직업능력개발훈련협의회(회장 이태희)는 1일 외국인 직업훈련법인 일반연수생 비자(D4-6) 제도를 통한 숙련인력 확보 방안에 대한 전문가 세미나를 열고 현행 숙련외국인력 도입 체계와 문제점을 논의했다.
이날 주제 발표에 나선 이태희 회장은 “기술 연수를 통해 숙련 외국인을 채용하기 위해 2017년 D4-6 비자 제도를 도입했지만, 실제 중소기업에 취업하려면 기준이 지나치게 까다로워 산업현장에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며 “제도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D4-6 비자로 입국한 외국인이 취업하려면 숙련인력 비자(E7-4)로 변경해야 하는데, 이 조건이 너무 엄격해 기술 교육을 마치면 본국으로 돌아가거나 불법 체류자 방식으로 한국에 남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며 “이들을 생산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비자 제도를 대폭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광석 인하대 다문화정책학과 교수도 “외국인이 자비로 한국에 건너와서 기술교율을 마치고도 한국어 능력 시험 4급 및 기술자격증 획득이라는 엄격한 자격요건을 갖춰야만 취업이 가능하도록 돼 있어 산업현장에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숙련인력으로 국내 고용이 수월하도록 자격 요건을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남경 서울현대교육재단 이사장은 “일본은 학력과 나이 기준을 철폐해 필요한 외국인력을 채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며 “한국도 산업현장의 실정에 맞는 외국인 채용이 가능하도록 입국 문턱을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선 중기선임기자
중소기업의 인력난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가운데 직업훈련법인을 통한 숙련인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직업능력개발훈련협의회(회장 이태희)는 1일 외국인 직업훈련법인 일반연수생 비자(D4-6) 제도를 통한 숙련인력 확보 방안에 대한 전문가 세미나를 열고 현행 숙련외국인력 도입 체계와 문제점을 논의했다.
이날 주제 발표에 나선 이태희 회장은 “기술 연수를 통해 숙련 외국인을 채용하기 위해 2017년 D4-6 비자 제도를 도입했지만, 실제 중소기업에 취업하려면 기준이 지나치게 까다로워 산업현장에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며 “제도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D4-6 비자로 입국한 외국인이 취업하려면 숙련인력 비자(E7-4)로 변경해야 하는데, 이 조건이 너무 엄격해 기술 교육을 마치면 본국으로 돌아가거나 불법 체류자 방식으로 한국에 남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며 “이들을 생산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비자 제도를 대폭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광석 인하대 다문화정책학과 교수도 “외국인이 자비로 한국에 건너와서 기술교율을 마치고도 한국어 능력 시험 4급 및 기술자격증 획득이라는 엄격한 자격요건을 갖춰야만 취업이 가능하도록 돼 있어 산업현장에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숙련인력으로 국내 고용이 수월하도록 자격 요건을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남경 서울현대교육재단 이사장은 “일본은 학력과 나이 기준을 철폐해 필요한 외국인력을 채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며 “한국도 산업현장의 실정에 맞는 외국인 채용이 가능하도록 입국 문턱을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선 중기선임기자